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성(省)@권성 - 권성(權省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승(權昇)의 맏아들이며, 여주 목사(驪州牧使) 권현(權睍)의 형으로, 무과(武科)에 급제하여 결성(結城)과 부안(扶安) 두 고을의 현감(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성(省) - 안성(安省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문과에 급제하여 보문각 직학사(寶文閣直學士)ㆍ상주 판관(尙州判官)을 지내고, 조선 개국 후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참찬(參贊) 등을 지냄.
?~142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성(筬) - 허성(許筬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유희춘(柳希春)의 문인으로, 일본에 통신사로 다녀온 후 일본의 침략 가능성을 직고하고, 임진왜란 때는 군병모집에 진력함.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,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.
1548~1612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성(誠)@민성 - 민성(閔誠)
조선 전기의 유학. 노수신(盧守愼)과 친분이 있어, 서우량(徐友諒)과 함께 자(字)를 지어줄 것을 청함. 노수신이 보낸 시들이 《소재집(穌齋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성(誠) - 이성(李誠)
조선 전기의 종친. 파림군(坡林君) 이주(李珘)의 아들이며, 독송정(獨松亭) 김개(金鎧)의 둘째 사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성(誠)@허성 - 허성(許誠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하양(河陽). 판한성부사(判漢城府事) 허주(許周)의 아들이며 안동 부사(安東府使)를 지낸 허관(許寬)의 아버지로, 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을 지냄.
1382~144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하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성^간(成^簡) - 우^율(牛^栗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성리학자인 문간공(文簡公) 우계(牛溪) 성혼(成渾)과 문성공(文成公)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를 함께 부르는 말.
한국>조선후기ㅣ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ㅣ강원도>강릉ㅣ서울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성^호(惺^虎) - 호^성(虎^惺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문경호(文景虎)와 박성(朴惺)을 함께 부르는 말. 정철(鄭澈)을 간흉으로 비판했기 때문에 죄 없는 사람에 대해 무고한 사람을 말함.
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성간(成澗) - 유성간(柳成澗)
고려 원종(元宗) 때의 문신. 한림학사(翰林學士) 유순(柳淳)의 아들로, 정당문학(政堂文學)ㆍ영의정(領議政)을 지냄. 서산유씨(瑞山柳氏)의 시조가 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성건(成乾) - 박성건(朴成乾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박언(朴彦)의 아들로, 1472년(성종 3) 춘당대시(春塘臺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전적(典籍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성검토(成檢討) - 성헌(成憲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. 한림원 검토(翰林院檢討)를 지냈으며, 1568년(선조 2)에 병과 급사중(兵科給事中)을 지낸 왕새(王璽)와 함께 황태자 책립의 조서를 반포하기 위해 사신으로 옴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성경(成卿) - 이응(李凝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1566년(명종 21)에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호조 좌랑(戶曹佐郞)을 지냄.
1499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성경(盛卿) - 이만영(李萬榮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평(咸平)으로, 이석(李碩)의 아들. 사재감 첨정(司宰監僉正)을 지냈으며, 문장(文章)과 행의(行誼)로 유명하여 《함평선행록(咸平善行錄)》에 행적이 올라 있음.
1510~154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성경(聖卿) - 동현(董賢)
중국 전한(前漢) 때의 문신. 애제(哀帝)의 총애를 받아 권력을 휘두르다 애제가 죽은 후 자살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성계(成季) - 계우(季友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 환공(桓公)의 아들. 형인 장공(莊公)이 죽자 그의 아들 반(般)을 세우려 하였으나 반이 살해되자 진(陳) 나라로 망명하였다가, 뒤에 장공의 아들인 신(申)을 희공(僖公)으로 옹립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성계(成季)@임성계 - 임성계(林成季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흥국군 판관(興國軍判官)을 지냈고, 주희(朱熹)와 교유하였으며 저서로 《애헌가전(艾軒家傳)》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성계(成季)@이소기 - 이소기(李昭玘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소식(蘇軾)의 문인(門人)으로 문장에 뛰어났으며, 흡주 지사(歙州知事)을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성계(成桂) - 유성계(柳成桂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서산(瑞山)으로, 정당문학(政堂文學)을 지낸 유숙(柳淑)의 아버지. 태상경(太常卿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성고(成考) - 성종(成宗)@조선
조선 제9대 왕. 재위 1469~1494. 세종(世宗)과 세조(世祖)가 이룩한 치적을 기반으로 찬란한 문화정책을 펼쳤으며, 《경국대전(經國大典)》과 《국조오례의(國朝五禮儀)》를 완성하는 등 국가통치체제를 완비함.
1457~149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성공(成公) - 여조겸(呂祖謙)
중국 남송(南宋)의 학자. 주희(朱熹)와 함께 북송(北宋) 도학자의 어록을 편집하여 《근사록(近思錄)》을 찬함.
1137~118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