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세종대왕실록(世宗大王實錄) - 세종실록(世宗實錄)
조선 제4대 세종(世宗)의 재위 32년간의 역사를 서술한 책. 활자본. 163권 154책. 황보인(皇甫仁)ㆍ김종서(金宗瑞)ㆍ정인지(鄭麟趾) 등이 참여하여 1454년(단종 2)에 필사본이 완성되었고, 1473년(성종 4)에 간행함.
147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세종장헌대왕실록(世宗莊憲大王實錄) - 세종실록(世宗實錄)
조선 제4대 세종(世宗)의 재위 32년간의 역사를 서술한 책. 활자본. 163권 154책. 황보인(皇甫仁)ㆍ김종서(金宗瑞)ㆍ정인지(鄭麟趾) 등이 참여하여 1454년(단종 2)에 필사본이 완성되었고, 1473년(성종 4)에 간행함.
147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세좌(世佐) - 이세좌(李世佐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이극감(李克堪)의 아들로, 무오사화 때 김종직(金宗直)을 극형에 처하도록 주장함. 연산군의 생모인 윤씨(尹氏) 폐위에 극간하지 않고 사약을 전하였다는 죄목으로 갑자사화 때 자살의 명을 받음.
1445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주(世柱) - 홍세주(洪世柱)
조선 효종(孝宗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.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홍만종(洪萬宗)의 아버지로, 영천 군수(榮川郡守) 등을 지냄. 문집으로 《정허당집(靜虛堂集)》이 있음.
1612~166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준(世俊)@안세준 - 안세준(安世俊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순흥(順興). 첨정(僉正)을 지낸 안담(安霮)과 중종(中宗) 때의 문신인 안여지(安汝止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세준(世俊)@성세준 - 성세준(成世俊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성세정(成世貞)의 형이며 성운(成運)의 아버지. 1507년(중종 2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선공감 부정(繕工監副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준(世俊) - 김세준(金世俊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김문경(金文卿)의 아들로, 1507년(중종 2) 증광시(增廣試)에 급제하여 목사(牧使)를 지냄. 조욱(趙昱)과 교유하여 관련 시편(詩篇)이 《용문집(龍門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준(世俊)@이세준 - 이세준(李世俊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성주(星州)로, 이구(李構)의 아버지. 충무위 부사직(忠武衛副司直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세준(世𤎱) - 박세준(朴世𤎱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오랫동안 대간(臺諫)을 지냈으며, 송시열(宋時烈)과 김수항(金壽恒)의 신원을 요청함. 선조(宣祖) 때 상의원 정(尙衣院正)을 지낸 박응인(朴應寅)의 증손.
1634~1700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철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증(世曾) - 송세증(宋世曾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진천(鎭川). 송선효(宋善孝)의 아들이며, 찬성(贊成) 송찬(宋贊)과 승지(承旨) 송하(宋賀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진천 , 인명>문사>유학
-
세진(世晉) - 이세진(李世晉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교관(敎官) 이견손(李堅孫)의 아버지로, 영릉 참봉(英陵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진(世珍) - 조세진(趙世珍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한양(漢陽). 조선 개국공신(開國功臣) 조영무(趙英茂)의 아버지로, 예의 판서(禮儀判書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진(世縝) - 심세진(沈世縝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삼척(三陟). 사복시 정(司僕寺正)에 추증(追贈)된 심위(沈渭)의 아들로, 참의(參議)를 역임함.
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삼척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진(世震) - 김세진(金世震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의성(義城). 군수(郡守)를 지낸 김홍(金洪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문사>유학
-
세집(世緝) - 나세집(羅世緝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성균 생원(成均生員) 나빈(羅彬)의 아들이며 대사간(大司諫)을 지낸 나세찬(羅世纘)의 형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차우(洗車雨) - 세거우(洗車雨)
칠석(七夕) 전날인 음력 7월 6일에 내리는 비를 일컫는 말. 견우(牽牛)와 직녀(織女)가 서로 타고 갈 수레를 씻기 때문에 내리는 비라 함.
사상>현상>자연현상
-
세찬(世纘) - 나세찬(羅世纘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두 차례 장원급제로 문명(文名)을 떨쳤으며, 권신(權臣)을 서슴지 않고 탄핵하는 기개가 있었음.
1498~1551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창(世彰) - 유세창(柳世彰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유희(柳禧)의 아들. 이정(李楨)의 서재(書齋)인 대관대(大觀臺)를 중수하고 지은 상량문(上樑文)이 《구암집(龜巖集)》에 실려 있음.
1657~1715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유학
-
세창(世昌)@정세창 - 정세창(鄭世昌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명종(明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진양(晉陽). 1501년(연산군 7) 식년시(式年試) 무과(武科)에 급제하여 장연 현감(長淵縣監)ㆍ광흥창 수(廣興倉守) 등을 지냄.
1474~155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창(世昌)@왕월 - 왕월(王越)
중국 명(明) 나라 대종(代宗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병부 상서(兵部尙書) 등을 역임하였으며, 환관 왕직(汪直) 등과 결탁하여 권세를 누림. 조선 성종(成宗) 때 경복궁(景福宮) 안에서 멀리 바람에 날려온 그의 시권(詩券)을 주워 주년사(奏年使) 편에 부쳤다 함.
1423~1498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