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세창(世昌)@경세창 - 경세창(慶世昌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이세좌(李世佐)의 옥사(獄事)에 연루되어 유배되었으나, 중종 때에 관직이 회복되어 홍문관 부제학ㆍ대사간ㆍ도승지 등을 두루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창(世昌)@이현손 - 이현손(李賢孫)
조선 전기의 종친. 이신요(李神饒)의 아들로, 김굉필(金宏弼)ㆍ이심원(李深源)의 문인(門人). 독실한 행실로 모범을 보이고, 주계군(朱溪君) 이심원의 유고(遺稿)를 수습하여 전함.
1467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세창(世昌)@강세창 - 강세창(姜世昌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강희맹(姜希孟)이 지은 자설(字說)이 《사숙재집(私淑齋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세창(世昌) - 두연(杜衍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문신. 재상이면서도 매우 검소하였으며, 청렴강직하기로 이름남. 부필(富弼) 등과 함께 많은 개혁을 함. 사위가 죄를 지어 재상에서 물러남.
978~105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창(世昌)@성세창 - 성세창(成世昌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허백당(虛白堂) 성현(成俔)의 아들이며,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(門人).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풀려났으나,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다시 유배되어 죽음.
1481~154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채(世采) - 박세채(朴世采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성리학자. 김상헌(金尙憲)ㆍ김집(金集)에게 수학하고,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의 문묘배향을 주장함. 예송논쟁(禮訟論爭) 때 기년설(朞年說)을 지지하고 많은 저서를 남김.
1631~169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세철(世哲) - 조세철(趙世哲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양(豊壤). 조익희(趙益禧)의 아들로, 1516년(중종 11)에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부사(府使)를 지냄.
1477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청(世淸) - 경세청(慶世淸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진산 군수(珍山郡守) 경면(慶綿)의 아들이며, 홍문관 부제학(副提學) 경혼(慶渾)의 아버지. 지평(持平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촌(細村) - 이문좌(李文佐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김일손(金馹孫)ㆍ권오복(權五福) 등과 함께 김종직(金宗直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, 안협 현감(安峽縣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춘(世春)@임세춘 - 임세춘(林世春)
고려 말기의 문신. 평택임씨(平澤林氏)의 중시조. 세자전객령(世子典客令) 겸 연희궁부사(延禧宮副使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평택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춘(世春) - 권세춘(權世春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영사원종공신(寧社原從功臣)에 책록된 권도(權濤)의 아버지로, 사포서 별좌(司圃署別坐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충(世充) - 왕세충(王世充)
중국 수(隨) 말~당(唐) 초의 무신. 수 양제(煬帝)의 신임을 얻어 고위직에 올랐으나 황제 양동(楊侗)을 폐위하고 스스로 정국(鄭國)을 세워 왕위에 오름. 후에 이세민(李世民)에게 패퇴하여 항복함.
?~621 중국>당ㅣ중국>수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세충(世忠)@최세충 - 최세충(崔世忠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형조 참판(刑曹參判)을 지낸 최응현(崔應賢)의 맏아들로, 도총부 도사(都摠府都事)ㆍ금구 현령(金溝縣令) 등을 지냄.
1453~1531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충(世忠)@한세충 - 한세충(韓世忠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~고종(高宗) 때의 무신. 남송(南宋) 초에 악비(岳飛)ㆍ유광세(劉光世)ㆍ장준(張浚) 등의 군벌 병력과 협력하여 금(金) 나라의 침략을 저지하는 전공을 세움.
1089~115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세충(世忠)@송세충 - 송세충(宋世忠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이심원(李深源)의 문인(門人)으로, 승문원 박사(承文院博士)를 거쳐 경상도 도사(慶尙道都事) 등을 역임함.
1468~1527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은진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충(世忠) - 김세충(金世忠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김예손(金禮孫)의 아버지로, 종묘서 부봉사(宗廟署副奉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칙(世則) - 이세칙(李世則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연안(延安). 이숙기(李叔琦)의 아들로, 1483(성종 14) 식년시(式年試)에 합격하였으며, 지조가 출중하고 시문에 능하였음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문사>유학
-
세침(世忱) - 배세침(裵世忱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장기(長鬐). 참봉(參奉) 배연수(裵延壽)의 아들로, 1570년(선조 3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1539~?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유학
-
세침(世琛) - 여세침(呂世琛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사섬시 부정(司贍寺副正) 여윤수(呂允秀)의 아들로, 장악원 첨정(掌樂院 僉正) 등을 역임함
1490~157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세침(世琛)@조세침 - 조세침(趙世琛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순창(淳昌). 전력부위(展力副尉) 조지원(趙之瑗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창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