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강희(姜僖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예조 참판 강징(姜澂)의 아들로,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을 거쳐 신창 현감(新昌縣監)을 역임함.
1492~153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강희경(姜希經)
고려 선종(宣宗) 때의 문신.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동지밀직제학(同知密直提學)ㆍ평의사(評議使) 등을 거쳐 내사령(內史令)에 이름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희맹(姜希孟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지돈녕부사 강석덕(姜碩德)의 아들. 뛰어난 문장가로, 경사(經史)와 전고(典故)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. 저서에 《금양잡록(衿陽雜錄)》ㆍ《사숙재집(私淑齋集)》 등이 있음.
1424~148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강희안(姜希顔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시ㆍ글씨ㆍ그림에 모두 뛰어나 삼절(三絶)이라 불림.
1417~146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희이(姜希夷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인. 나식(羅湜)과 시문(詩文)으로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문인
-
강희철(姜熙哲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훈도(訓導)를 지낸 강필주(姜弼周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함종 , 인명>문사>유학
-
강희철(康希哲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신천(信川). 충순위 전력부위(忠順衛展力副尉) 강귀형(康貴亨)의 아들로, 명종 때 내금위 어모장군(內禁衛禦侮將軍)ㆍ절충장군(折衝將軍)을 거쳐 무직(武職)으로 당상관에 오름.
1492~158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
-
개공(蓋公)
중국 진(秦)~전한(前漢) 때의 은자. 《노자(老子)》에 밝았으며 악신공(樂臣公)을 스승으로 섬겼음. 한(漢) 나라 조참(曹參)이 제상(齊相)이 되었을 때 개공(蓋公)에게서 황로학(黃老學)으로 정치하는 법을 들으며 스승으로 받듦.
중국>전한ㅣ중국>진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개국공신(開國功臣)@고려
고려 태조(太祖) 1년에 태봉왕(泰封王) 궁예(弓裔)를 몰아내고 왕건(王建)을 왕으로 추대한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(勳號).
918 한국>고려전기 , 법제>제도
-
개국공신(開國功臣)@조선
조선 태조(太祖) 1년에 이성계(李成桂)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로가 큰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(勳號).
1392 한국>조선전기 , 법제>제도
-
개국사(開國寺)
고려 태조(太祖) 왕건(王建)이 후삼국을 통일한 후 개성(開城)의 탄현문(炭峴門) 밖에 세웠던 사찰. 몽고(蒙古)의 침입 때 소실된 것을 충숙왕(忠肅王) 때 목헌(木軒)이 중창함.
935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유적>건물>사찰
-
개령(開寧)
경상북도 김천시(金泉市) 및 구미시(龜尾市) 일부 지역의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.
경상도>개령 , 지명>행정지명
-
개로왕(蓋鹵王)
백제의 제21대 왕. 재위 455~475. 비유왕(毗有王)의 맏아들이며, 문주왕(文周王)의 아버지. 북위(北魏)를 이용하여 고구려의 남하 정책을 저지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으며, 475년 고구려의 침입 때 붙잡혀 참수됨.
?~475 한국>백제 , 경기도>광주 , 인명>왕실>국왕
-
개방(開方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의 공자(公子). 제(齊) 나라에 벼슬할 때 관중(管仲)의 배척을 받았으나, 관중이 죽은 뒤 제 환공(齊桓公)에게 중용되었으며, 수조(豎刁)ㆍ역아(易牙)와 함께 국정을 전횡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개산송당(蓋山松堂)
조선 명종(明宗) 때 박광옥(朴光玉)이 전라도 나주(羅州) 선도면(船道面)에 지은 집의 당호(堂號). 이곳에서 문하생들과 함께 성리학을 연구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유적>건물>사제
-
개성(開城)
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한 고려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. 고려의 수도.
경기도>개성 , 지명>행정지명
-
개성최씨(開城崔氏)
통일신라 말에 대상(大相)을 지낸 최우달(崔佑達)을 시조로 하는 성씨. 본래 황주(黃州)를 본관으로 했으나 이성계(李成桂)가 조선을 개국한 후 개성(開城)으로 관향을 고쳐 하사함.
한국>통일신라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집단>성씨
-
개암집(介庵集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학자인 강익(姜翼)의 시문집(詩文集). 초간본(初刊本)은 1686년(숙종 12)에 양천익(梁天翼)이 함양(咸陽)의 남계서원(灆溪書院)에서 목판으로 간행함.
168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 , 문헌>서명
-
개암집(開巖集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우굉(金宇宏)의 시문집(詩文集). 4권 2책. 임진왜란 등의 병화(兵火)를 거치면서 거의 산일되었으나, 후손 김여용(金汝鎔)이 수집하여 1729년(영조 5)에 간행함.
1729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개연(蓋延)
중국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 때의 무신. 후한의 건국공신인 이십팔장(二十八將) 가운데 한 사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