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세칭(世秤) - 목세칭(睦世秤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사천(泗川). 김식(金湜)의 문인으로, 기묘사화(己卯士禍) 이후 과거를 포기하고 향리로 돌아와 학문에 전념함.
1487~155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문사>학자
-
세통(世通) - 성세통(成世通)
조선 전기의 유학(幼學). 본관은 창녕(昌寧). 허백당(虛白堂) 성현(成俔)의 둘째 아들이자, 돈재(遯齋) 성세창(成世昌)의 형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유학
-
세평(世平) - 성세평(成世平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재상을 지낸 성락(成洛)ㆍ성람(成灠)과 성영(成泳)의 아버지. 통례원 좌통례(通禮院左通禮) 등을 지냄.
1516~159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세평(世泙) - 박세평(朴世泙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1516년(중종 11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, 성균관 직강(成均館直講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세필(世弼) - 김세필(金世弼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갑자사화(甲子士禍)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복직되었으나, 조광조(趙光祖)를 사사(賜死)한 중종의 과오를 규탄하다가 장배(杖配)됨. 경학(經學)에 밝았음.
1473~153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세필(世弼)@장세필 - 장세필(張世弼)
조선 전기의 유학. 가난한 살림에도 반드시 술과 고기를 갖추어 어머니를 섬긴 인물로, 남효온(南孝溫)과 교유하였음이 《추강집(秋江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문사>유학
-
세한(勢漢) - 김세한(金勢漢)
경주김씨(慶州金氏)의 시조인 김알지(金閼智)의 아들.
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세한당(歲寒堂) - 정현(鄭礥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온양(溫陽).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를 지낸 정백붕(鄭百朋)의 아들로, 아버지를 도와 대윤(大尹)을 제거하는 데 참여해 위사공신(衛社功臣)에 책록됨. 말년에는 부사(府使)직을 사임하고 양주(楊州) 소요산(逍遙山)에 은거함.
1526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세한재(歲寒齋) - 안종도(安宗道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안경률(安景嵂)의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을 모아 왜적과 싸움. 이감(李戡)ㆍ이중경(李重慶)과 동향(同鄕) 친구로, 권신 이량(李樑)의 비호 아래 현직(顯職)을 두루 지냄.
1522~160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세헌(世憲)@성세헌 - 성세헌(成世憲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을 지낸 성희문(成希文)의 첫째 아들이자, 예조 판서(禮曹判書)를 지낸 성세장(成世章)의 형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유학
-
세헌(世憲) - 김세헌(金世憲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원(金瑗)의 아들로, 1537년(중종 32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사옹원 정(司饔院正)을 지냈음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세현(世賢) - 오세현(吳世賢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복(同福). 오억령(吳億齡)과 오백령(吳百齡)의 아버지로, 사옹원 직장(司饔院直長)을 지냄.
1524~1601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동복 , 인명>관인>문신
-
세현(世賢)@정세현 - 정세현(鄭世賢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석성 현감(石城縣監)을 지낸 정수덕(鄭守德)의 아들. 1525년(중종 20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돈녕부 도정(敦寧府都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세현(世賢)@박세현 - 박세현(朴世賢)
조선 전기의 무신. 이황(李滉)의 조카사위. 무과(武科)에 급제하여 병마절도사(兵馬節度使)를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무신
-
세현(世顯) - 복세현(卜世顯)
조선 전기의 문인. 충청도 홍주(洪州)에 매죽당(梅竹堂)을 짓고 거처하였으며, 심의(沈義)의 《대관재난고(大觀齋亂稿)》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문사>문인
-
세협(世協) - 송세협(宋世協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은진(恩津). 양근 군수(楊根郡守) 송여림(宋汝霖)의 아들이고 안악 군수(安岳郡守) 송세훈(宋世勛)의 동생. 쌍청당(雙淸堂) 옆에 건물을 지었는데, 조카 송남수(宋柟壽)가 증축(增築)하여 절우당(節友堂)이라고 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회덕 , 인명>문사>유학
-
세형(世亨)@안세형 - 안세형(安世亨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주서(注書) 안함(安馠)의 아버지로, 사포(司圃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세형(世亨)@탁세형 - 탁세형(卓世亨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광산(光山). 훈련대장(訓鍊大將) 탁순창(卓順昌)의 둘째 아들이며, 탁세영(卓世英)의 동생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세형(世亨) - 성세형(成世亨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허백당(虛白堂) 성현(成俔)의 아들이자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 성순(成詢)의 아버지. 이천 현감(伊川縣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세형(世珩) - 송세형(宋世珩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산(礪山). 문장에 능하고 행정능력이 뛰어났으며, 특히 재정(財政)에 밝아 시폐(時弊) 개혁에 힘씀.
?~155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태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