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세호(世瑚) - 신세호(辛世瑚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산(靈山). 1502년(연산군 8) 알성시(謁聖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온양 군수(溫陽郡守)ㆍ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세호(世虎) - 정세호(鄭世虎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정상조(鄭尙祖)의 아들이며, 선조(宣祖)의 외할아버지. 국고물(國庫物)의 도절범으로부터 뇌물을 받고 죄과를 눈감아주는 등 비루한 행동이 많아 양사로부터 탄핵을 받았으나,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에 오름.
1486~156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세호(世豪) - 윤세호(尹世豪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1503년(연산군 9)에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전라도 관찰사(全羅道觀察使)로 재임 중 조광조(趙光祖)ㆍ김식(金湜)의 일파로 몰려 파직되었다가 복직된 뒤 공조 판서(工曹判書)를 지냄.
1470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세호(世豪)@박세호 - 박세호(朴世豪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인. 성암(省菴) 김효원(金孝元)과 종유(從遊)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문인
-
세호(世鎬) - 김세호(金世鎬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익기(金益基)의 아들. 1690년(숙종 16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병조 정랑(兵曹正郞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권문해(權文海)의 행장을 씀.
1652~?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세홍(世弘) - 연세홍(延世弘)
조선 전기의 도사. 중종(中宗) 때 홍문관 부제학을 지낸 김구(金絿)와 왕래했던 도사로, 《자암집(自菴集)》에 그와 수창(酬唱)한 〈차금봉연도사압사수(次錦峯延道士押四首)〉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기타인명>도사
-
세화(世華) - 유세화(柳世華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유팽성(柳彭成)의 아들로, 김제 군수(金堤郡守)ㆍ장흥 부사(長興府使)를 지냄. 시부(詩賦)를 잘 지었음.
1504~155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세화(世華)@고려 - 이세화(李世華)@고려
고려 신종(神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정주이씨(貞州李氏)의 시조로, 고종 때 광주 안무사(廣州按撫使)로서 몽고(蒙古)의 침입을 격퇴하였으며, 예부 시랑(禮部侍郞)ㆍ사재경(司宰卿) 등을 지냄.
?~1238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세화(世華)@조선 - 이세화(李世華)@조선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평(富平). 이이재(李以載)의 아들로, 이희재(李熙載)에게 출계함. 이조 판서(吏曹判書)를 지내고, 1689년(숙종 15) 인현왕후(仁顯王后)의 폐비설을 듣고 상소를 올렸으며, 청백리(淸白吏)에 선정됨.
1630~1701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세환(世桓) - 한세환(韓世桓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한운(韓運)의 아들로, 《성종실록(成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함경도 관찰사(咸鏡道觀察使)로 있을 때 기민(饑民) 구제에 힘씀.
1470~1522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세황(世皇) - 세조(世祖)@원
몽고 제국의 제5대 칸으로, 중국 원(元) 나라의 시조. 재위 1260~1294. 칭기즈 칸의 손자이며, 예종(睿宗)의 아들로, 일본ㆍ중앙아시아ㆍ유럽에까지 원정(遠征)하여 대제국을 건설함.
1215~1294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세회(世薈) - 이세회(李世薈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윤구(尹遘)의 사위로, 사섬시 부정(司贍寺副正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세효(世孝) - 최세효(崔世孝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강릉(江陵). 중종(中宗) 때의 화가인 최수성(崔壽峸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유학
-
세후(世煦) - 박세후(朴世煦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(門人). 박사화(朴士華)의 아들로 승정원 동부승지(承政院同副承旨) 등을 역임하였으며, 1545년 하절사(賀節使)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옴.
1494~155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세후(細侯) - 곽급(郭伋)
중국 신(新)~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 때의 문신. 병주 목사(幷州牧使)로 있으면서 은혜로운 정사를 폈는데, 다시 그 지방에 부임하여 서하(西河) 미직(美稷)에 이르자, 아이들이 죽마(竹馬)를 타고 길에 나와 절을 하면서 맞이했다고 함.
중국>후한ㅣ중국>신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세훈(世勛) - 송세훈(宋世勛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은진(恩津). 양근 군수(楊根郡守) 송여림(宋汝霖)의 아들이고 임천 군수(林川郡守) 송남수(宋柟壽)의 아버지로, 안악 군수(安岳郡守)를 지내고 호조 참의(戶曹參議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회덕 , 인명>관인>문신
-
세훈(世勛)@유세훈 - 유세훈(柳世勛)
조선 후기의 학자. 본관은 문화(文化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곽재우(郭再祐)와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, 신천서원(新川書院)ㆍ이양서원(伊陽書院)에 배향됨.
1564~163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문사>학자
-
세훈(世勳) - 박세훈(朴世勳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군자감 부정(軍資監副正) 박사화(朴士華)의 아들로, ‘주동효아(鑄洞孝兒)’로 불림. 조광조(趙光祖) 등이 별과(別科)에 천거하였으나 기묘사화(己卯士禍)가 일어나자 낙향함.
1488~155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세훈(世勳)@오세훈 - 오세훈(吳世勳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우의정(右議政) 오겸(吳謙)의 아버지로, 부사(府使)를 지냄.
1460~151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세휴(世休) - 박복경(朴復卿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울산 군수(蔚山郡守)를 지낼 때 선정을 베풀고 태화루(太和樓)를 중수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울산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