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세희(世熙) - 안세희(安世熙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참봉(參奉) 안봉조(安奉祖)의 아들로, 음보(蔭補)로 벼슬하여 동부 주부(東部主簿) 등을 지냄.
1481~153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세희(世熹) - 박세희(朴世熹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조광조(趙光祖)의 일파로 몰려 강계(江界)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죽음.
1491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소(劭) - 이소(李劭)
고려 고종(高宗)~원종(元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로, 민부 전서(民部典書)를 지낸 이윤온(李允蒕)의 아버지. 1254년(고종 41) 국자감시(國子監試)에 급제하여, 전법 판서(典法判書)ㆍ합문지후(閤門祗候)ㆍ지삼사사(知三司事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소(昭)@손소 - 손소(孫昭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이시애(李施愛)의 난 때 종사관(從事官)으로 출정, 난이 평정된 뒤 적개공신(敵愾功臣)에 책록되고, 내섬시 정(內贍寺正)으로 특진됨.
1433~14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소(昭) - 박소(朴昭)
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정몽주(鄭夢周)의 문인(門人)으로, 안음 현감(安陰縣監)에 제수되어 청렴한 치적을 보임.
1347~1426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소(昭)@이소 - 이소(李昭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무신. 본관은 광주(廣州)로, 평안도 절도사(平安道節度使) 이수철(李守哲)의 아들. 이시애(李施愛)의 난 토벌에 참여하였고, 건주위(建州衛)를 공격하였으며, 동여진(東女眞)을 정벌함. 전라우도 수군절도사(全羅右道水軍節度使)를 지냄.
1441~1499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소(瀟) - 김소(金瀟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의성(義城)으로, 창원 부사(昌原府使) 김복일(金復一)의 아들. 호원(灝元) 권문해(權文海)의 생질(甥姪)로, 《초간집(草澗集)》에 김소(金瀟)에 대한 제문(祭文)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문사>유학
-
소(玿) - 박소(朴玿)
고려 후기의 유학. 본관은 함양(咸陽). 함양부원군(咸陽府院君) 박충좌(朴忠佐)의 아들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유학
-
소(紹) - 권소(權紹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대사헌(大司憲)을 지낸 권민수(權敏手)의 아들로, 숙부인 권달수(權達手)에게 출계(出系)함.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를 지낸 권찬(權纘)의 동생으로, 안동 부사(安東府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관인>문신
-
소(紹)@박소 - 박소(朴紹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으로, 조광조 등 신진사류(新進士類)와 더불어 왕도정치(王道政治) 구현을 위하여 힘씀.
1493~153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합천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소(蘇) - 박소(朴蘇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충주(忠州). 개성 유수(開城留守)를 지낸 육봉(六峰) 박우(朴祐)와 기묘명현(己卯名賢) 눌재(訥齋) 박상(朴祥)의 조부로 은산 군사(殷山郡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소(韶) - 소소(簫韶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순(舜) 임금이 지었다는 음악 이름. 아홉 곡조를 연주하자 봉황새가 날아와 춤을 추었다 함.
고대 , 중국 , 기타>가무
-
소^구(蘓^歐) - 구^소(歐^蘇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인인 구양수(歐陽脩)와 소식(蘇軾)을 함께 부르는 말. 문장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소^대(小^大) - 대^소(大^小)
《대학(大學)》과 《소학(小學)》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 , 문헌>기타문헌
-
소^두(蘇^杜) - 두^소(杜^蘇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 두보(杜甫)와 송(宋) 나라의 시인 소식(蘇軾)을 함께 부르는 말. 시(詩)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.
중국>송ㅣ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소^매(蘇^梅) - 매^소(梅^蘇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 때의 문신ㆍ문인인 매요신(梅堯臣)과 소순흠(蘇舜欽)을 함께 부르는 말. 북송(北宋) 때의 대표적 시인을 가리킴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소^유(巢^由) - 허^소(許^巢)
중국 고대 요(堯) 임금 때의 고사(高士)인 허유(許由)와 소보(巢父)를 함께 부르는 말. 요 임금이 그들에게 천하를 주려 하였으나 거절하고 은거함.
고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소^이(蘇^李) - 이^소(李^蘇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인 이백(李白)과 송(宋) 나라의 시인인 소식(蘇軾)을 함께 부르는 말. ‘당송팔대가(唐宋八大家)’에 속하는 인물들로, 시(詩)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.
중국>송ㅣ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소^허(巢^許) - 허^소(許^巢)
중국 고대 요(堯) 임금 때의 고사(高士)인 허유(許由)와 소보(巢父)를 함께 부르는 말. 요 임금이 그들에게 천하를 주려 하였으나 거절하고 은거함.
고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소^호(韶^頀) - 소^호(韶^濩)
중국 고대 순(舜) 임금이 지었다는 악곡인 소소(簫韶)와, 은(殷) 나라의 탕왕(湯王)이 지었다는 악곡인 대호(大濩) 함께 부르는 말. 태평성대의 음악을 가리킴.
중국>은ㅣ고대 , 중국 , 기타>가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