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소^황(蘇^黃) - 파^곡(坡^谷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시인으로, 당송팔대가(唐宋八大家)의 한 사람인 소식(蘇軾)과 그의 문인(門人)이자 강서시파(江西詩派)의 시조인 황정견(黃庭堅)을 함께 부르는 말. 시문(詩文)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소가(騷歌) - 이소(離騷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굴원(屈原)이 지은 서정적 장편 서사시(敍事詩)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소간(昭簡)@탁영 - 탁영(卓英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보문각 대제학(寶文閣大提學)을 지낸 탁종성(卓宗成)의 아들로, 고종 때 사마시(司馬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였으며, 평장사(平章事) 등을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소간(昭簡)@덕원군 - 덕원군(德源君)
조선 제7대 세조(世祖)의 첫 번째 서자. 근빈박씨(謹嬪朴氏)의 소생으로, 남이(南怡)의 옥사(獄事)를 다스린 공으로 익대공신(翊戴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문소전 제조(文昭殿提調) 등을 지냄. 김종직(金宗直)을 벗삼아 이학(理學)에 종사함.
1449~1498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왕자
-
소간(昭簡)@임유겸 - 임유겸(任由謙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. 사은부사(謝恩副使)로 명(明) 나라에 가서 조선 표류민을 데려오는 교섭을 담당함. 《성종실록(成宗實錄)》과 《연산군일기(燕山君日記)》편찬에 참여함.
1456~1527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풍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소간(昭簡) - 남휘(南暉)
조선 태종(太宗)~문종(文宗) 때의 문신. 태종의 넷째 딸 정선공주(貞善公主)의 부마(駙馬)가 되어 의산군(宜山君)에 봉해짐.
?~145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소갈객(消渴客) - 두보(杜甫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문신. 율시(律詩)에 뛰어났으며,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. '시성(詩聖)'으로 불리며,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.
712~77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소갈선옹(小葛仙翁) - 갈홍(葛洪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학자ㆍ도사. 정은(鄭隱)에게 선도(仙道)를 배움. 관내후(關內侯) 등의 관직을 지내다가 물러나 나부산(羅浮山)에 들어가 저술과 연단(煉丹)에 전념함. 저서에 《포박자(抱朴子)》ㆍ《신선전(神仙傳)》이 있음.
283~343?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ㅣ인명>문사>학자
-
소강(少江) - 손광유(孫光裕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무신. 아계(鵝溪) 이산해(李山海)의 이웃에 우거하였으며, 《아계유고(鵝溪遺稿)》에 증시(贈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관인>무신
-
소강(昭剛) - 익녕군(益寧君)
조선 제3대 태종(太宗)의 여덟째 서자. 절제사(節制使) 박종지(朴從智)의 딸인 운봉 박씨(雲峯朴氏)와 혼인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소강(昭江) - 소양강(昭陽江)
강원도 중부지역을 남서류하여 춘천(春川) 북쪽에서 북한강(北漢江)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. 경관이 아름다워 시(詩)에 자주 차운(次韻) 되었음.
강원도>춘천ㅣ강원도>인제ㅣ강원도>양구 , 지명>자연지명
-
소강공(召康公) - 소공(召公)
중국 주(周) 나라의 종친. 문왕(文王)의 아들이며 무왕(武王)의 동생. 은(殷) 왕조의 후손 무경(武庚)의 반란을 진압하고 성왕(成王)을 옹립한 뒤 형 주공(周公)과 함께 성왕을 보필하여 왕조의 기반을 확립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소강남(小江南)@순천 - 순천(順天)
전라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세조(世祖) 때 편제된 진관(鎭管) 체제에 따라 주진(主鎭)으로서 전라도 동남부 지역의 중심지가 됨.
전라도>순천 , 지명>행정지명
-
소강남(小江南) - 조계산(曹溪山)
전라남도 순천(順川) 북서부에 있는 산 이름.
전라도>순천 , 지명>자연지명
-
소강절(邵康節) - 소옹(邵雍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 때의 학자. 이지재(李之才)에게 천문(天文)ㆍ역수(易數) 등을 배우고,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유교의 역철학(易哲學)을 발전시켜 특이한 수리철학(數理哲學)을 완성함.
1011~107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소경(少卿)@공수 - 공수(龔遂)
중국 한(漢) 나라의 문신. 발해군(渤海郡) 난민(亂民)을 잘 다스려 양민(良民)으로 만들어서, 백성을 잘 다스린 관리의 전형으로 칭송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소경(少卿) - 병길(丙吉)
중국 전한(前漢) 소제(昭帝)~선제(宣帝) 때의 문신. 위태자(衛太子) 사건으로 투옥당한 선제를 구출한 뒤 황제로 세움. 승상(丞相)으로서 위상(魏相)과 함께 국정을 보좌한 공으로, 기린각(麒麟閣)에 초상이 모셔짐.
?~B.C.55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소경(昭敬) - 선조(宣祖)@조선
조선 제14대 왕. 재위 1567~1608. 중종(中宗)의 손자이며, 덕흥대원군(德興大院君)의 셋째 아들. 초기에는 이황(李滉)ㆍ이이(李珥)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국정 쇄신에 노력하였으나, 재위 기간의 대부분을 치열한 당쟁(黨爭)과 전란(戰亂) 속에서 보냄.
1552~160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소경(昭頃) - 성녕대군(誠寧大君)
조선 제3대 태종(太宗)의 넷째 아들. 어머니는 원경왕후(元敬王后)로,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용모가 단정하여 태종의 특별한 총애를 받아 대광보국(大匡輔國)의 위계까지 올랐으나 14살 때 홍역으로 요절함.
1405~141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소경(蘇卿) - 소무(蘇武)
중국 전한(前漢) 무제(武帝)~선제(宣帝) 때의 충신. 무제 때 흉노(匈奴)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었으나 절개를 지키다가 19년 만에 돌아와 전속국(典屬國)이 되었으며, 후에 선제를 옹립한 공으로 관내후(關內侯)에 봉해짐.
?~B.C.60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