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소경(蘇卿)@소식 - 소식(蘇軾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ㆍ시인. 당송팔대가(唐宋八大家)의 한 사람으로, 왕안석(王安石)의 신법(新法)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, 문장에 능하여 〈적벽부(赤壁賦)〉 등 명작을 남김.
1037~110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소경(騷經) - 이소(離騷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굴원(屈原)이 지은 서정적 장편 서사시(敍事詩)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소경대왕(昭敬大王) - 선조(宣祖)@조선
조선 제14대 왕. 재위 1567~1608. 중종(中宗)의 손자이며, 덕흥대원군(德興大院君)의 셋째 아들. 초기에는 이황(李滉)ㆍ이이(李珥)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국정 쇄신에 노력하였으나, 재위 기간의 대부분을 치열한 당쟁(黨爭)과 전란(戰亂) 속에서 보냄.
1552~160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소경왕(昭敬王) - 선조(宣祖)@조선
조선 제14대 왕. 재위 1567~1608. 중종(中宗)의 손자이며, 덕흥대원군(德興大院君)의 셋째 아들. 초기에는 이황(李滉)ㆍ이이(李珥)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국정 쇄신에 노력하였으나, 재위 기간의 대부분을 치열한 당쟁(黨爭)과 전란(戰亂) 속에서 보냄.
1552~160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소계(所開) - 하윤린(河允潾)
고려 충정왕(忠定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하륜(河崙)의 아버지로, 선관서 승(膳官署丞)을 거쳐 순흥 부사(順興府使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사후에 협찬공신(協贊功臣)에 추록되고, 진양부원군(晉陽府院君)에 봉해짐.
1321~1397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소계(蘇季) - 소진(蘇秦)
중국 춘추전국시대 연(燕) 나라의 경대부. 낙양(洛陽) 출신으로 귀곡자(鬼谷子) 왕허(王詡)의 문하생이며, 각국에 진(秦) 나라에 대항하는 합종론(合縱論)을 유세하여 육국(六國)의 재상이 됨.
?~B.C.317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소고(嘯皐)@박승임 - 박승임(朴承任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반남(潘南)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심학(心學)과 성리학(性理學)을 깊이 연구하였으며, 영주(榮州)의 구산정사(龜山精舍)에 제향됨.
1517~158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소고(嘯皐) - 박건(朴乾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전한(典翰)을 지낸 박융(朴融)의 아들로, 충무위 부사직(忠武衛副司直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무신
-
소고(小姑) - 소고산(小孤山)
강서성 팽택현(江西省 彭澤縣) 북쪽과 안휘성 숙성현(安徽省 宿松縣) 동쪽에 있는 산 이름. 속세에서는 계산(髻山)이라 불림. 팽려(彭廬)에 있는 대고산(大孤山)과 구별하여 소고라 부름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소고문집(嘯皐文集) - 소고집(嘯皐集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박승임(朴承任)의 문집. 제자 김륵(金玏)ㆍ오운(吳澐)ㆍ배응경(裵應褧) 등이 이산서원(伊山書院)에서 간행함.
160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문헌>서명
-
소고선생문집(嘯皐先生文集) - 소고집(嘯皐集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박승임(朴承任)의 문집. 제자 김륵(金玏)ㆍ오운(吳澐)ㆍ배응경(裵應褧) 등이 이산서원(伊山書院)에서 간행함.
160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문헌>서명
-
소공(召公)@소호 - 소호(召虎)
중국 주(周) 나라 선왕(宣王) 때의 현신(賢臣). 군사(軍事)에 유능하여 회이(淮夷)를 정벌하는 등 공을 세우고, 방숙(方叔)과 함께 중흥(中興)의 시대를 이끎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소공(小公) - 방신우(方臣祐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환관. 원(元) 나라에 들어가 망고태(忙古台)라는 이름을 하사받고 수원황태후(壽元皇太后)의 시중을 들었으며, 고려로 돌아와 중모군(中牟君)에 봉해짐.
?~1343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환관
-
소공(蕭公) - 소하(蕭何)
중국 전한(前漢) 고조(高祖) 때의 재상. 고조를 도와 천하를 통일한 개국공신(開國功臣)으로, 한 나라 왕조 경영의 기초를 다졌으며, 진(秦) 나라의 법률을 참고하여 《구장률(九章律)》을 편찬함.
?~B.C.193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경대부
-
소공(邵公) - 원안(袁安)
중국 후한(後漢) 명제(明帝)~화제(和帝) 때의 문신. 초왕 영(楚王英)의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당하는 자가 속출할 때, 초군 태수(楚郡太守)로 부임하여 죄안을 다시 심사하여 풀어준 사람이 4백여 인에 이르렀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소과(小科) - 사마시(司馬試)
조선시대의 과거 제도의 하나. 생원시(生員試)와 진사시(進士試)로 구성되는데, 생원시는 오경의(五經義)와 사서의(四書疑)의 제목으로 유교 경전에 관한 지식을, 진사시는 부(賦)와 시(詩)의 제목으로 문예 창작의 재능을 시험함. 초시(初試)와 복시(覆試)로 진행되고, 대과(大科)를 볼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됨.
1393 한국>조선시대 , 법제>제도
-
소광(笑狂) - 조종도(趙宗道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정여립(鄭汝立)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었다가 풀려나고,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안의(安義)의 황석산성(黃石山城)에서 왜적과 싸우다 전사함.
1537~159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소광자(笑狂子) - 조종도(趙宗道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정여립(鄭汝立)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었다가 풀려나고,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안의(安義)의 황석산성(黃石山城)에서 왜적과 싸우다 전사함.
1537~159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소구(小九) - 홍염(洪炎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문인. 형 홍붕(洪朋)ㆍ홍추(洪芻)와 아우 홍우(洪羽) 등과 함께 시문에 능하여 ‘사홍(四洪)’으로 불림. 저작랑(著作郞)ㆍ비서 소감(秘書少監) 등을 지내고, 저서로 《서도집(西渡集)》 등이 있음.
1067~113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소구양(小歐陽) - 구양통(歐陽通)
중국 당(唐) 고종(高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서예가. 구양순(歐陽詢)의 아들로, 아버지 못지않게 글씨로써 이름을 날림. 중서사인(中書舍人)ㆍ사예경(司禮卿) 등을 지냈으며 발해공(渤海公)에 봉해짐.
?~691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