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소군(少君) - 두광국(竇廣國)
중국 한(漢) 문제(文帝)~경제(景帝) 때의 외척. 문제(文帝)의 황후의 아우이자, 경제(景帝)의 외삼촌으로, 문제는 장안(長安)에 거처케 하며 벼슬을 주지 않았으나, 경제는 장무후(章武侯)에 봉해 줌.
?~B.C.151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인척
-
소군(昭君) - 왕소군(王昭君)
중국 전한(前漢) 원제(元帝)의 후궁. 흉노(匈奴)와의 화친정책으로 호한야 선우(呼韓邪單于)에게 시집가 연지(閼氏)가 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후궁
-
소권(紹權) - 채소권(蔡紹權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인천(仁川). 인천군(仁川君) 채수(蔡壽)의 아들로, 대사헌(大司憲)ㆍ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ㆍ형조 판서(刑曹判書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소금강(小金剛)@설악산 - 설악산(雪嶽山)
강원도 양양(襄陽)ㆍ인제(麟蹄)ㆍ속초(束草)에 걸쳐 있는 산 이름.
강원도>인제ㅣ강원도>양양 , 지명>자연지명
-
소금강(小金剛) - 관악산(冠岳山)
서울과 안양(安養)ㆍ시흥(始興)ㆍ과천(果川)의 경계에 있는 산. 북한산(北漢山)ㆍ남한산(南漢山) 등과 함께 서울분지를 이중으로 둘러싼 자연의 방벽으로, 옛 서울의 요새지를 이루었음.
경기도>금천ㅣ경기도>과천ㅣ서울 , 지명>자연지명
-
소금강산(小金剛山) - 속리산(俗離山)
충청도 보은(報恩)ㆍ괴산(槐山), 경상도 상주(尙州)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.
충청도>보은ㅣ경상도>상주 , 지명>자연지명
-
소기(昭玘) - 이소기(李昭玘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소식(蘇軾)의 문인(門人)으로 문장에 뛰어났으며, 흡주 지사(歙州知事)을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소기(蘇己) - 달기(妲己)
중국 은(殷) 나라 마지막 왕인 주왕(紂王)의 비(妃). 유소국(有蘇國) 출신. 주왕과 함께 포학하고 음란한 행위를 자행하다가 주(周) 나라 무왕(武王)이 주왕을 정벌했을 때 참수(斬首)됨.
중국>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소기묘(小己卯) - 기대승(奇大升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(四端七情)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.
1527~157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ㅣ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소나적사야(蘇那的沙野) - 지공(指空)
인도 마갈제국(摩竭提國)의 승려. 원(元) 나라에 있다가 1326년 고려에 와서 머물렀던 고승으로, 나옹 혜근(懶翁惠勤)의 스승임. 회암사지(檜巖寺址)에 승탑(僧塔)이 남아 있으며, 이색(李穡)이 부도명(浮圖銘)을 지음.
?~1363 한국>고려후기 , 기타지역ㅣ중국ㅣ경기도>양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소난(小難) - 백광훈(白光勳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. 본관은 해미(海美). 박순(朴淳)ㆍ양응정(梁應鼎)ㆍ노수신(盧守愼)에게서 수학함. 당시(唐詩)의 시풍(詩風)을 주장하여 최경창(崔慶昌)ㆍ이달(李達)과 함께 삼당시인(三唐詩人)이라 불리고, 이산해(李山海)ㆍ최립(崔笠) 등과 더불어 팔문장(八文章)으로 일컬어짐.
1537~158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문사>문인
-
소낭(蘇娘) - 소혜(蘇蕙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전진(前秦) 부견(符堅) 때의 열녀. 연파장군(連波將軍)을 지낸 두도(竇滔)의 아내로 두도가 죄를 입어 귀양가자, 남편을 그리워한 나머지 비단을 짜서 회문선도(回文旋圖)를 만들어 시(詩)를 써 보내주었다는 고사가 있음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열녀
-
소노(蘇老) - 소식(蘇軾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ㆍ시인. 당송팔대가(唐宋八大家)의 한 사람으로, 왕안석(王安石)의 신법(新法)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, 문장에 능하여 〈적벽부(赤壁賦)〉 등 명작을 남김.
1037~110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소노천(蘇老泉) - 소순(蘇洵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인ㆍ학자. 당송팔대가(唐宋八大家)의 한 사람으로, 예리한 논법(論法)과 정열적인 평론(評論)으로 구양수(歐陽修)의 인정을 받아 명성을 떨쳤으며, 아들 소식(蘇軾)ㆍ소철(蘇轍)과 함께 ‘삼소(三蘇)’로 일컬어짐.
1009~106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소뇌궤식례(少牢饋食禮) - 의례(儀禮)
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. 13경(經) 중의 하나이며, 《주례(周禮)》ㆍ《예기(禮記)》와 함께 삼례(三禮)로 불림. 관혼상제(冠婚喪祭)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소단미(燒斷尾) - 김반(金泮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강서(江西). 권근(權近)의 문인으로 경서에 정통하여 김구(金鉤)ㆍ김말(金末)과 함께 경학삼김(經學三金)으로 불림.
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강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소단미선생(燒斷尾先生) - 김반(金泮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강서(江西). 권근(權近)의 문인으로 경서에 정통하여 김구(金鉤)ㆍ김말(金末)과 함께 경학삼김(經學三金)으로 불림.
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강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소단장군(騷壇將軍) - 모영(毛穎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성민(洪聖民)이 지은 작품의 인물. 수(愁)ㆍ성(性)ㆍ정(情)ㆍ지(志)ㆍ기(氣) 등을 의인화하여 지은 〈천군견지수공수성(天君遣志帥攻愁城)〉에 무신으로 등장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소대(小戴) - 대성(戴聖)
중국 전한(前漢) 선제(宣帝) 때의 학자. 숙부 대덕(戴德)이 엮은 《대대례(大戴禮)》 85편을 간추려 《소대례(小戴禮)》 49편을 편찬함. 이 《소대례》가 곧 오늘날 전해지는 《예기(禮記)》임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소대(蘇臺) - 고소대(姑蘇臺)
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오왕(吳王) 부차(夫差)가 고소산(姑蘇山) 위에 쌓은 대(臺)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유적>건물>누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