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소릉(昭陵)@현덕왕후 - 현덕왕후(顯德王后)
조선 제5대 문종(文宗)의 비(妃)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권전(權專)의 딸. 단종(端宗)의 어머니로, 세종(世宗) 때 세자빈에 책봉되었으나 가례(嘉禮)를 행하지 못한 채 4년 만에 죽자 현덕(顯德)이란 시호가 내려졌으며, 문종이 즉위한 후 왕후로 추봉(追封)됨.
1418~144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홍주ㅣ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소릉(昭陵) - 인종(仁宗)@송
중국 북송(北宋)의 제4대 황제. 재위 1022~1063. '경력(慶曆)의 치(治)'라는 북송의 최전성기를 누렸지만 말년에는 재정 곤란에 빠짐.
1010~106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소릉(昭陵)@태종 - 태종(太宗)@당
중국 당(唐) 나라 제2대 황제. 재위 626~649. 고조(高祖)의 아들이며, 당 나라의 실질적인 창건자로, 돌궐족(突厥族)을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하였으며, ‘정관(貞觀)의 치(治)’로 일컬어지는 성세(盛世)를 이루어 후세 제왕의 모범이 됨.
598~64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소릉(韶陵) - 원종(元宗)@고려
고려 제24대 왕. 재위 1260~1274. 고종(高宗)의 맏아들로, 어머니는 안혜태후 유씨(安惠太后柳氏). 한때 임연(林衍)에 의해 폐위당하였으나 원(元)의 도움으로 복귀함. 전민변정도감(田民辨整都監)을 설치하고, 강화도(江華島)에서 개성(開城)으로 환도(還都)하였으며, 삼별초(三別抄)의 난을 진압함.
1219~1274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소릉수(少陵叟) - 두보(杜甫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문신. 율시(律詩)에 뛰어났으며,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. '시성(詩聖)'으로 불리며,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.
712~77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소립(素立) - 박소립(朴素立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1563년(명종 18) 이조 좌랑(吏曹佐郞)으로 있을 때 척신 이량(李樑)과 사이가 나빠 대사헌 이감(李戡)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으나 심의겸(沈義謙)의 도움으로 복직됨. 선조 즉위에 공을 세워 대사성(大司成)ㆍ대사헌(大司憲)ㆍ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를 지냄.
1514~158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소만요(小蠻腰) - 양류소만요(楊柳小蠻腰)
버들가지 같은 소만(小蠻)의 허리. 당(唐) 나라 시인 백거이(白居易)가 버들가지를 자신의 가기(家妓) 중에 춤을 잘 추는 소만의 허리에 비유하여 읊은 시에서 유래한 말로, 가느다란 버들가지를 뜻함.
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소명윤(蘇明允) - 소순(蘇洵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인ㆍ학자. 당송팔대가(唐宋八大家)의 한 사람으로, 예리한 논법(論法)과 정열적인 평론(評論)으로 구양수(歐陽修)의 인정을 받아 명성을 떨쳤으며, 아들 소식(蘇軾)ㆍ소철(蘇轍)과 함께 ‘삼소(三蘇)’로 일컬어짐.
1009~106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소명태자(昭明太子) - 소통(蕭統)
중국 남북조시대 양(梁) 나라의 태자ㆍ문인. 제1대 황제인 무제(武帝)의 맏아들로, 유교(儒敎)와 불교(佛敎)에 조예가 깊고 특히 시문(詩文)에 뛰어났으며, 양 나라 이전 문인들의 명작을 모아 《문선(文選)》을 편찬함.
501~531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왕실>왕자
-
소모(小毛) - 모장(毛萇)
중국 전한(前漢) 때의 학자. 모형(毛亨)이 지은 《모시고훈전(毛詩詁訓傳)》을 증보한 것으로 전해짐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소모공(小毛公) - 모장(毛萇)
중국 전한(前漢) 때의 학자. 모형(毛亨)이 지은 《모시고훈전(毛詩詁訓傳)》을 증보한 것으로 전해짐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소무황제(昭武皇帝) - 무제(武帝)@남북조(전조)
중국 남북조시대 전조(前趙)의 왕. 재위 310~318. 고조(高祖) 유연(劉淵)의 넷째 아들로, 형인 태자 유화(劉和)를 죽이고 왕위를 찬탈함. 즉위 후 진(晉) 나라를 공격하여 회제(懷帝)와 민제(愍帝)를 사로잡는 등 폭정을 일삼다가 국란(國亂) 속에 죽음.
?~318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소문(召文) - 의성(義城)
경상북도 중앙에 동서로 길게 위치한 고을 이름. 지금의 고을은 옛 의성(義城)과 옛 비안(比安)이 합해 이루어진 것으로, 옛 의성은 현재 의성군의 동부에 해당함.
경상도>의성 , 지명>행정지명
-
소문(小文) - 종병(宗炳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송(宋) 나라의 은자(隱者). 금(琴)ㆍ서(書)ㆍ화(畫)에 뛰어나 삼절(三絶)이라 불렸고, 노장학(老莊學)에 깊은 조예를 지니고 형산(衡山)에 은거하면서 조정에서 불러도 일체 응하지 않았음.
375~443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ㅣ인명>예술인>서화가
-
소문(少文) - 종병(宗炳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송(宋) 나라의 은자(隱者). 금(琴)ㆍ서(書)ㆍ화(畫)에 뛰어나 삼절(三絶)이라 불렸고, 노장학(老莊學)에 깊은 조예를 지니고 형산(衡山)에 은거하면서 조정에서 불러도 일체 응하지 않았음.
375~443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ㅣ인명>예술인>서화가
-
소문(蘇文) - 연개소문(淵蓋蘇文)
고구려 말기의 재상ㆍ무신. 혼란한 고구려 말기에 정권을 잡아 자신을 제거하려는 대인(大人)들을 모두 제거하고 보장왕(寶藏王)을 옹립하여 대막리지(大莫離支)에 오름.
?~665 한국>고구려 , 인명>관인>무신
-
소문국(召文國) - 의성(義城)
경상북도 중앙에 동서로 길게 위치한 고을 이름. 지금의 고을은 옛 의성(義城)과 옛 비안(比安)이 합해 이루어진 것으로, 옛 의성은 현재 의성군의 동부에 해당함.
경상도>의성 , 지명>행정지명
-
소문성(召文城) - 의성(義城)
경상북도 중앙에 동서로 길게 위치한 고을 이름. 지금의 고을은 옛 의성(義城)과 옛 비안(比安)이 합해 이루어진 것으로, 옛 의성은 현재 의성군의 동부에 해당함.
경상도>의성 , 지명>행정지명
-
소미(少微) - 강지(江贄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 때의 학자. 《자치통감(資治通鑑)》 294권을 선별하여 50권으로 엮어 《자치통감절요(資治通鑑節要)》를 만들었으나 당시에는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다가, 후손 강묵(江默)이 주희(朱熹)의 문하에 출입하면서 질정(質正) 하여 유명해짐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소미산인(少微山人) - 김일손(金馹孫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스승인 김종직(金宗直)이 쓴 조의제문(弔義帝文)을 실록(實錄)에 기재한 일로 인해 훈구파(勳舊派)의 미움을 사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사형당함.
1464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ㅣ경상도>밀양ㅣ경기도>용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