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소암(小庵) - 노수(盧遂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주(光州). 노응세(盧應世)의 아들로, 김대유(金大有)에게 수학하고 이황(李滉)을 사사하였으며, 김응생(金應生)ㆍ정윤량(鄭允良) 등과 함께 영천(永川)에 임고서원(臨皐書院)을 창건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문사>학자
-
소암(巢巖) - 박진경(朴晉慶)
조선 선조(宣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밀양(密陽). 정구(鄭逑)와 장현광(張顯光)의 문인으로, 영숭전 참봉(永崇殿參奉)을 지내고, 병자호란 때 최현(崔晛)과 더불어 의병을 일으킴. 남강서원(南岡書院)에 배향됨.
1581~166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학자
-
소암(疎庵) - 임숙영(任叔英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. 계축화옥(癸丑禍獄) 때 병을 핑계로 참여하지 않았다가 파직됨. 고문(古)에 힘썼으며, 중국 육조(六朝)의 사륙문(四六文)에 뛰어났음.
1576~1623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소암(笑巖) - 오공(悟公)
고려 말~조선 초의 승려. 원천석(元天錫)ㆍ성석린(成石璘) 등과 교유하여 《운곡행록(耘谷行錄)》과 《독곡집(獨谷集)》에 서권(書卷)ㆍ송시(送詩)ㆍ차운시(次韻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소암(笑庵)@강사필 - 강사필(姜士弼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이조 좌랑(吏曹佐郞)을 지낸 강온(姜溫)의 아들. 조욱(趙昱)의 문인으로, 충청 감사(忠淸監司)ㆍ강원 감사(江原監司) 등을 지냄.
1526~15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소암(笑庵) - 오공(悟公)
고려 말~조선 초의 승려. 원천석(元天錫)ㆍ성석린(成石璘) 등과 교유하여 《운곡행록(耘谷行錄)》과 《독곡집(獨谷集)》에 서권(書卷)ㆍ송시(送詩)ㆍ차운시(次韻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소암(素庵) - 상노(商輅)
중국 명(明) 나라 헌종(憲宗) 때의 학자. 절강(浙江) 순안(淳安) 출신으로, 이부 상서(吏部尙書)를 지냄. 성화(成化) 연간에 《속자치통감강목(續資治通鑑綱目)》을 편찬함.
1414~1486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소암(素菴) - 김이원(金履元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대북(大北)에 속하여 임해군(臨海君)을 사사(賜死)하게 하고 소북(小北)을 제거하기 위한 계축옥사(癸丑獄事)를 잘 다스려 익사공신(翼社功臣)에 책훈됨.
1553~161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소암(邵庵) - 우집(虞集)
중국 원(元) 나라의 시인ㆍ학자. 당시(唐詩)를 연구 계승하여, 양재(楊載)ㆍ범곽(范椁)ㆍ게혜사(揭傒斯)와 함께 원시사대가(元詩四大家)로, 또는 유관(柳貫)ㆍ황진(黃溍)ㆍ게혜사와 함께 유림사걸(儒林四傑)로 불림. 만권당(萬卷堂)에 초치(招致)되어 이제현(李齊賢) 등과 교류함.
1272~1348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소암선생집(疎菴先生集) - 소암집(疎菴集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인 임숙영(任叔英)의 시문집. 목판본. 초간본은 권임(權恁)이 유고를 수집하고 이식(李植)이 편정(編定)하였으며, 1635년(인조 13)에 이배원(李培元)ㆍ강여재(姜與載) 등이 충주(忠州)에서 간행함.
1635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충주 , 문헌>서명
-
소암자(疎庵子) - 임숙영(任叔英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. 계축화옥(癸丑禍獄) 때 병을 핑계로 참여하지 않았다가 파직됨. 고문(古)에 힘썼으며, 중국 육조(六朝)의 사륙문(四六文)에 뛰어났음.
1576~1623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소약란(蘇若蘭) - 소혜(蘇蕙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전진(前秦) 부견(符堅) 때의 열녀. 연파장군(連波將軍)을 지낸 두도(竇滔)의 아내로 두도가 죄를 입어 귀양가자, 남편을 그리워한 나머지 비단을 짜서 회문선도(回文旋圖)를 만들어 시(詩)를 써 보내주었다는 고사가 있음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열녀
-
소양(少陽) - 진동(陳東)
중국 송(宋) 나라 흠종(欽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이자 우국지사(憂國之士). 흠종 때 태학생(太學生)으로서 글을 올려 채경(蔡京)ㆍ동관(童貫) 등 6인의 복주(伏誅)를 청하였고, 고종이 남도(南渡)한 뒤에는 이강(李綱)의 유임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는데, 이 일로 인하여 구양철(歐陽澈)과 함께 죽임을 당함.
1086~112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소양(少陽)@박소양 - 박소양(朴少陽)
고려 후기의 유학. 밀직대언(密直代言) 박윤문(朴允文)의 아들로 과거에 여러 번 낙방하고 중국으로 가서 주유(周遊)하였음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유학
-
소양(昭襄) - 윤신달(尹莘達)
고려 태조(太祖)~광종(光宗) 때의 문신ㆍ공신. 파평윤씨(坡平尹氏)의 시조. 왕건(王建)을 도와 후삼국(後三國)을 통일하는 데 공을 세우고 벽상삼한익찬공신(壁上三韓翊贊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삼중대광태사(三重大匡太師) 등을 지냄.
893~973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소양(昭養) - 황맹헌(黃孟獻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공신. 본관은 장수(長水). 영의정 황희(黃喜)의 현손이며 김해 부사(金海府使) 황관(黃瓘)의 아들.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가담하고, 이과(李顆)의 옥사(獄事)를 다스린 공으로 정난공신(定難功臣)에 책록됨.
1472~153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소양당(素養堂) - 김수령(金壽寧)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《국조보감(國朝寶鑑)》ㆍ《동국통감(東國通鑑)》ㆍ《세조실록(世祖實錄)》ㆍ《예종실록(睿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 경사(經史)에 밝고 문장이 뛰어났음.
1436~147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소양사(瀟陽祠) - 소양서원(瀟陽書院)
조선 숙종(肅宗) 때 경상도 문경(聞慶)에 건립된 서원. 정언신(鄭彥信)ㆍ심대부(沈大孚)ㆍ김낙춘(金樂春)ㆍ남영(南嶸) 등을 배향함.
171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문경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소양수(昭陽水) - 소양강(昭陽江)
강원도 중부지역을 남서류하여 춘천(春川) 북쪽에서 북한강(北漢江)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. 경관이 아름다워 시(詩)에 자주 차운(次韻) 되었음.
강원도>춘천ㅣ강원도>인제ㅣ강원도>양구 , 지명>자연지명
-
소양왕(昭襄王)@소왕 - 소왕(昭王)@춘추전국(연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연(燕) 나라의 제후. 재위 B.C.312~B.C.279. 곽외(郭隗)와 악의(樂毅)를 등용하여 부국강병을 꾀했으며, 연 나라를 멸망시키려 한 제(齊) 나라와 전쟁을 일으켜 제 나라의 국력을 약화시킴.
?~B.C.279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