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소요당(逍遙堂) - 권륜(權綸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《세종실록(世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 대사성(大司成)ㆍ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냄.
1415~149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제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소요당(逍遙堂)@박하담 - 박하담(朴河淡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학행(學行)으로 장례원 사평(掌隸院司評) 등에 제수되었으나 응하지 않고 청도(淸道)의 운문산(雲門山) 아래에 소요당(逍遙堂)을 짓고 여생을 보냈으며, 김대유(金大有)와 도의지교(道義之交)를 맺음.
1479~156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문사>문인
-
소요당(逍遙堂)@박세무 - 박세무(朴世茂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대사헌(大司憲) 박소립(朴素立)의 아버지로, 군자감 정(軍資監正) 등을 지내고 《동몽선습(童蒙先習)》을 저술함.
1487~155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소요당(逍遙堂)@강문회 - 강문회(姜文會)
조선 예종(睿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성종 때에는 사표(師表)로 추앙되었으나, 연산군(燕山君)의 폭정으로 관직을 버리고 단성(丹城)으로 낙향하여 후진양성에 힘씀. 저서로 《소요당기(逍遙堂記)》가 있음.
1433~149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단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소요부(邵堯夫) - 소옹(邵雍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 때의 학자. 이지재(李之才)에게 천문(天文)ㆍ역수(易數) 등을 배우고,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유교의 역철학(易哲學)을 발전시켜 특이한 수리철학(數理哲學)을 완성함.
1011~107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소요산인(逍遙山人) - 정현(鄭礥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온양(溫陽).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를 지낸 정백붕(鄭百朋)의 아들로, 아버지를 도와 대윤(大尹)을 제거하는 데 참여해 위사공신(衛社功臣)에 책록됨. 말년에는 부사(府使)직을 사임하고 양주(楊州) 소요산(逍遙山)에 은거함.
1526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소요재(趙遙齋) - 최숙정(崔淑精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《세조실록(世祖實錄)》ㆍ《예종실록(睿宗實錄)》ㆍ《삼국사절요(三國史節要)》ㆍ《동문선(東文選)》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홍문관 부제학(弘文館副提學) 등을 지냄.
1432~1480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소요정(逍遙亭) - 권륜(權綸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《세종실록(世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 대사성(大司成)ㆍ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냄.
1415~149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제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소우(蘇宇) - 남천택(南天澤)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양(英陽). 남잡(南磼)의 아들로, 1648년(인조 26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였으며, 승정원 승지(承政院承旨) 등을 지냄.
1619~?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소우약(銷憂藥) - 주(酒)
술.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(總稱). 전설상에 두강(杜康)과 의적(儀狄)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.
물품>식약품>음료
-
소운(素雲) - 이항복(李恒福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선조를 의주(義州)까지 호종함. 1617년(광해군 9) 폐모론(廢母論)을 반대하다 삭탈되었으나 사후에 복관되고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
1556~1618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포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소원(少原) - 황효원(黃孝源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로, 황사간(黃士幹)의 아들. 성격이 각박하여 수령(守令)을 종처럼 대하고 처첩(妻妾)으로 인한 소송(訴訟)이 그치지 않았으며, 재화를 탐하여 화가옹(貨家翁)이라 불림.
1414~148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소원(紹元) - 김사(金嗣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수원(水原). 벼슬하지 않고 안빈수도(安貧守道)하며 후학을 양성함.
1447~153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수원 , 인명>문사>학자
-
소원(紹院) - 소수서원(紹修書院)
조선 중종(中宗) 때 경상도 순흥(順興)에 건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. 1542년(중종 37) 주세붕(周世鵬)이 창건하고, 1550년(명종 5)에 사액됨. 안향(安珦)ㆍ안축(安軸)ㆍ주세붕(周世鵬) 등을 배향함. 현재 경상북도 영주시(榮州市)에 속함.
154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소원(騷原) - 굴원(屈原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대부ㆍ시인. 회왕(懷王)의 좌도(左徒)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(政敵)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(汨羅水)에 투신하여 죽음.
B.C.343~B.C.277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경대부
-
소유(少游)@표연말 - 표연말(表沿沫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창(新昌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무오사화 때 김종직의 행장(行狀)을 미화하였다는 등의 죄명으로 경원(慶源)으로 유배가던 도중 죽었으며,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(剖棺斬屍)당했다가 뒤에 신원됨.
1449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소유(少游) - 진관(秦觀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ㆍ문인. 태학박사(太學博士) 등을 지냄. 고문(古文)과 시, 특히 사(詞)에 뛰어나 소식(蘇軾)의 문하에 있으면서 황정견(黃庭堅)ㆍ장뢰(張耒)ㆍ조보지(晁補之) 등과 함께 ‘소문 4학사(蘇門四學士)’로 일컬어짐.
1049~110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소유(少瑜) - 기소유(紀少瑜)
중국 남북조시대 양(梁) 나라 무제(武帝) 때의 문신ㆍ문인. 일찍이 문장 육수(陸倕)로부터 청루 붓을 받는 꿈을 꾼 뒤 문장이 크게 진보되었다고 함. 초서에 능하고, 기실참군(記室參軍) 등을 지냄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소유(少遊) - 진관(秦觀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ㆍ문인. 태학박사(太學博士) 등을 지냄. 고문(古文)과 시, 특히 사(詞)에 뛰어나 소식(蘇軾)의 문하에 있으면서 황정견(黃庭堅)ㆍ장뢰(張耒)ㆍ조보지(晁補之) 등과 함께 ‘소문 4학사(蘇門四學士)’로 일컬어짐.
1049~110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소유기(小由基) - 진요자(陳堯咨)
중국 송(宋) 나라 진종(眞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. 지개봉부(知開封府)ㆍ한림학사(翰林學士) 등을 지냈으며, 예서(隸書)에 능하고 활쏘기를 잘했다 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