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소제(蘇堤) - 소공제(蘇公堤)
중국 송(宋) 나라 소식(蘇軾)이 쌓은 제방. 항주 자사(杭州刺使)로 있을 때 서호(西湖)에 쌓은 것과 광동(廣東) 혜주(惠州)로 좌천되었을 때 풍호(豐湖)에 쌓은 것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유적>시설>기타시설
-
소조(紹祖) - 양소조(楊紹祖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무신. 전둔위(前屯衞) 사람으로, 1598년(선조 31) 6월에 흠차보정중영참장(欽差保定中營參將) 도지휘첨사(都指揮僉事)로 마병(馬兵)을 이끌고 조선의 왜란에 참전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소조천(小早川) - 소조천융경(小早川隆景)
일본 도산시대(桃山時代)의 무장. 임진왜란 때 선봉장으로 벽제관(碧蹄館)에서 이여송(李如松)의 명(明) 나라 군사를 대패시켰으나, 금산(金山) 이치(梨峙)에서는 권율(權慄)에게 대패당함.
일본>도산시대 , 일본 , 인명>관인>무신
-
소종(紹宗)@박소종 - 박소종(朴紹宗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유학 박눌(朴訥)의 아버지로, 사직(司直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무신
-
소종(紹宗) - 윤소종(尹紹宗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이색(李穡)의 문인(門人)으로, 고려 때 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 등을 역임하고, 조선 개국 후에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수문관 대제학(修文館大提學)을 지냄.
1345~139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무장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소주(蘇州)@태안 - 태안(泰安)
충청남도 태안반도(泰安半島)의 중간에 위치한 고을 이름.
충청도>태안 , 지명>행정지명
-
소주(蘇州)@위응물 - 위응물(韋應物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. 젊었을 때 의협심이 강하여 현종(玄宗)의 근위사관으로서 분방한 생활을 하였으나, 안녹산(安祿山)의 난 이후 학문에 정진하여 관계에 진출한 뒤 좌사 낭중(左司郞中)ㆍ소주 자사(蘇州刺史) 등을 지냄.
737~80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소주도병(燒酒陶甁) - 이현보(李賢輔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문인. 홍귀달(洪貴達)의 문인으로,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〈어부가(漁夫歌)〉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.
1467~155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소중도(笑中刀) - 이의부(李義府)
중국 당(唐) 나라 고종(高宗) 때의 간신. 허경종(許敬宗)과 함께 측천무후(則天武后)를 추종하여 고종(高宗)의 황후인 왕씨(王氏)를 폐하도록 함. 겉으로는 온유하지만 속으로는 음험하여 남들을 해쳤으므로, ‘소중도(笑中刀)’ 또는 ‘이묘(李猫)’라 일컬어짐.
614~66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소지(少之) - 강노(姜老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소지(昭之) - 김소윤(金昭胤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광산(光山)이며, 사간원 대사간(司諫院大司諫)을 지낸 김극뉴(金克忸)의 아들.
1475~153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소지(紹地) - 하소지(河紹地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전력부위(展力副尉) 하원(河源)의 생부이자, 하위지(河緯地)의 동생. 1447년(세종 29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1409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소지(蕭之) - 소망지(蕭望之)
중국 전한(前漢) 선제(宣帝)~원제(元帝) 때의 문신ㆍ학자. 홍공(弘恭)ㆍ석현(石顯) 등 환관의 전횡을 막아 제도를 개혁하려 하였으나 오히려 그들의 모함에 빠져 자살함.
B.C.106~B.C.47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소지선사(小止禪師) - 소지(小止)
고려 충혜왕(忠惠王) 때의 선종(禪宗) 승려. 혜감국사(慧鑑國師) 만항(萬恒)의 수제자이며, 무학대사(無學大師) 자초(自超)의 스승. 1344년(충혜왕 5)에 자초에게 구족계(具足戒)를 내림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소지왕(炤知王) - 소지마립간(炤知麻立干)
신라 제21대 왕. 재위 479~499. 각 지방에 우역(郵驛)을 두고 경주(慶州)에 시장을 설치함. 고구려ㆍ말갈ㆍ왜적의 침입을 자주 받자, 백제와 연합하여 고구려에 대항함.
?~499 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소천(小川) - 마귀(麻貴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장군.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명 나라가 파견한 조선 원병의 제독으로서, 권율(權慄)과 합세하여 도산성(島山城)을 공격하였으나 성과를 올리지 못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소첨(小瞻) - 강륜(康崙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신천(信川). 절충장군(折衝將軍) 강희철(康希哲)의 아들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명종 때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1517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소총(篠䕺) - 홍유손(洪裕孫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인. 본관은 남양(南陽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(門人)으로, 김수온(金守溫)ㆍ김시습(金時習)ㆍ남효온(南孝溫) 등과 교유하며 학문과 시율(詩律)을 논함. 무오사화 때 제주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.
1452~1529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문사>문인
-
소축(小畜) - 왕우칭(王禹偁)
중국 송(宋) 나라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문인. 사문(詞文)에 능했음. 강직한 성품 때문에 여러 차례 좌천되었으나, 〈삼출부(三黜賦)〉를 지어 자신의 뜻을 나타냄.
954~100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소치(嘯痴) - 임제(林悌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시인ㆍ문신. 성운(成運)의 문인으로, 예조 정랑(禮曹正郞)ㆍ지제교(知製敎)를 지냄. 동서(東西)의 당파싸움을 개탄(慨歎)하여 벼슬을 버리고 명산을 유람하며 문장가로 명성을 떨침.
1549~158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