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거허(距虛)
중국 전설상의 동물. 궐(蹶)이라는 동물에게 음식을 봉양 받고, 대신 궐에게 다급한 일이 생기면 궐을 업고 달린다고 함.
중국 , 자연물>동물
-
건^백(虔^白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 때의 시인인 정건(鄭虔)과 이백(李白)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건부(乾符)
중국 당(唐) 나라 희종(僖宗) 때의 연호(年號) 가운데 하나. 해당 연한 874~879. 이때에 당 나라 전국에 기근이 들어 사회적 불안이 절정에 달하였으며, 황소(黃巢)의 난(亂)이 일어남.
874~879 중국>당 , 시간>연호
-
건안칠자(建安七子)
중국 후한(後漢) 헌제(獻帝) 때인 건안(建安) 연간에 시문(詩文)으로 이름을 떨친 일곱 명의 문학자. 조조(曹操)ㆍ조비(曹丕)ㆍ조식(曹植) 삼부자를 중심으로 모인 공융(孔融)ㆍ진림(陳琳)ㆍ왕찬(王粲)ㆍ서간(徐幹)ㆍ완우(阮瑀)ㆍ응창(鷹瑒)ㆍ유정(劉楨)을 이름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집단>조직
-
건암서원(建巖書院)
조선 현종(顯宗) 때 충청도 서천(舒川) 문산면(文山面)에 건립한 서원. 숙종(肅宗) 때 사액(賜額)되었으며, 이산보(李山甫)ㆍ조헌(趙憲)ㆍ조수륜(趙守倫)ㆍ조속(趙涑) 등을 배향함.
1662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천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건의(蹇義)
중국 명(明) 나라 태조(太祖)~선종(宣宗) 때의 문신. 오랫동안 이부 상서(吏部尙書)를 지내면서 다섯 명의 황제를 보좌하고, 명초(明初)에 전장제도(典章制度)의 수립과 확립에 기여함.
1363~1435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건재집(健齋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김천일(金千鎰)의 시문집(詩文集). 목활자본. 11권 2책. 초간본(初刊本)은 1893년(고종 30)에 김문상(金玟相) 등이 유실되고 남은 유문(遺文)을 수집하여 활자로 인간(印刊)함.
1893 한국>근대 , 문헌>서명
-
건천집(巾川集)
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ㆍ학자인 정광(程廣)의 문집. 정광은 정주학(程朱學)에 전념한 인물로, 조선 개국 후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걸(桀)
중국 하(夏) 나라의 마지막 왕. 은(殷) 왕조 최후의 왕인 주(紂)와 함께 포악한 임금의 상징으로 거론됨.
중국>하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걸^주(桀^紂)
중국 하(夏) 나라의 마지막 왕인 걸(桀)과 은(殷) 나라의 마지막 왕인 주(紂)를 함께 부르는 말. 폭군(暴君)을 가리킴.
중국>은ㅣ중국>하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걸^척(桀^跖)
중국 하(夏) 나라의 마지막 왕으로 폭군(暴君)인 걸(桀)과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도둑인 도척(盜跖)을 함께 부르는 말. 바르지 못한 사람을 가리킴.
중국>춘추전국시대ㅣ중국>하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걸닉(桀溺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은자. 공자(孔子)가 초 나라의 속국(屬國) 중 하나였던 섭(葉)을 방문했을 때 길가에서 만난 인물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검각산(劒閣山)
중국 익주(益州)에 있는 산 이름. 중국의 북쪽에서 익주로 올 때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곳으로, 지세가 험하여 군사 요충지임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검계서원(儉溪書院)
1976년에 천안전씨(天安全氏) 문중에서 충청남도 천원군(天原郡) 풍세면(豐歲面)에 세운 서원. 전신(全信)을 배향함.
1976 한국>근대 , 충청도>천안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검남시고(劍南詩稿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인 육유(陸游)의 시집(詩集). 85권. 육유가 촉(蜀) 땅에 십 년 동안 살면서 그곳의 풍광을 매우 좋아한 까닭에 ‘검남시고’라 명명(命名)했다고 하며, 그의 아들 육자거(陸子虡)가 편찬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검단산(黔丹山)
경기도 광주(廣州) 지역에 속해 있던 산 이름. 광주의 진산(鎭山)으로 일컬어짐.
경기도>광주 , 지명>자연지명
-
검동도(黔同島)
평안도 의주(義州)의 압록강(鴨綠江)에 있는 섬의 하나. 어적도(於赤島)ㆍ위화도(威化島)와 더불어 의주의 삼도(三島)로 일컬어짐.
평안도>의주 , 지명>자연지명
-
검루(黔婁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의 은사(隱士). 지절(志節)을 숭상하여 노(魯) 나라의 공공(恭公)이 곡식 3천 종(鐘)을 하사하였으나 받지 않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검수관(劒水館)
조선시대 금교도(金郊道)의 속역(屬驛) 중 하나였던 역관(驛館). 황해도 봉산(鳳山)에 있었음.
한국>조선시대 , 황해도>봉산 , 유적>건물>관사
-
게문안공집(揭文安公集)
중국 원(元) 나라 때의 문인 게혜사(揭傒斯)의 시문집(詩文集). 50권.
중국>원 , 중국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