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속장경(續藏經) - 고려대장경(高麗大藏經)
고려시대에 부처님의 설법과 부처님이 정한 교단의 규칙 및 경(經)ㆍ율(律)에 대한 논(論) 등을 모아 간행한 불교 경전(經典)의 총칭. 《초조대장경(初雕大藏經)》ㆍ《교장(敎藏)》ㆍ《재조대장경(再雕大藏經)》 등이 판각됨.
한국>고려시대 , 문헌>서명
-
속전(續典) - 대전속록(大典續錄)
조선시대 기본법전인 《경국대전(經國大典)》 반포 이후 성종(成宗) 22년(1491)까지의 새로운 수교(受敎)와 법규(法規)를 수집하여 편찬한 법전. 6권 1책. 목판본.
149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법제>법률ㅣ문헌>서명
-
속통감(續通鑑) - 송원통감(宋元通鑑)
중국 명(明) 나라의 학자인 설응기(薛應旂)가 지은 송ㆍ원(宋元)에 대한 편년체 사서(史書). 157권. 상노(商輅) 등의 《속자치통감강목(續資治通鑑綱目)》을 저본으로 하여, 송 나라 태조(太祖)부터 원 나라 순제(順帝)까지 480년간의 역사를 다룸. 《자치통감(資治通鑑)》의 속편으로 지음.
1626 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속파한집(續破閑集) - 보한집(補閑集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문신인 최자(崔滋)가 지은 시화집(詩話集). 3권 1책. 1254년(고종 41)에 간행함. 《파한집(破閑集)》ㆍ《역옹패설(櫟翁稗說)》과 더불어 고려시대 비평문학의 3대 걸작으로 꼽히며, 담무갈(曇無竭) 보살에 대한 기록이 있음.
1254 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서명
-
속편(續編) - 통감속편(通鑑續編)
중국 명(明) 나라의 진경(陳桱)이 사마광(司馬光)의 《자치통감(資治通鑑)》과 주자(朱子)의 《자치통감강목(資治通鑑綱目)》체재를 본떠 편찬한 책. 24권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속한서(續漢書) - 후한서(後漢書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의 범엽(范曄)이 기전체(紀傳體)로 엮은 후한(後漢)의 정사(正史). 120권. 광무제(光武帝)에서 헌제(獻帝)까지 196년간의 역사 기록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속함(速含) - 함양(咸陽)
경상도 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.
경상도>함양 , 지명>행정지명
-
속함대군(速咸大君) - 박언신(朴彦信)
신라 제54대 경명왕(景明王)의 셋째 아들. 속함대군(速咸大君)에 봉해짐. 함양박씨(咸陽朴氏)의 시조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함양ㅣ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왕자
-
속혹문(續或問) - 속대학혹문(續大學或問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언적(李彦迪)의 저서. 주희(朱熹)의 《대학혹문(大學或問)》의 예에 따라 《대학장구보유(大學章句補遺)》에서 《대학장구(大學章句)》와 서차나 해석을 다르게 한 이유를 문답 형식으로 풀이함. 1책. 목판본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손(孫) - 설손(偰孫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ㆍ시인ㆍ귀화인. 원래 회골(回鶻)사람으로 원(元)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고려에 귀화하여 경주설씨(慶州偰氏)의 시조가 됨. 고려 대표시인의 한 사람.
?~1360 한국>고려후기 , 중국ㅣ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손(蓀)@허손 - 허손(許蓀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좌의정 허침(許琛)의 아버지로, 재령 군수(載寧郡守)를 지내고 보조공신(補祚功臣)에 추록되었으며, 양천부원군(陽川府院君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손(蓀) - 이손(李蓀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로, 평안도 절도사(平安道節度使) 이수철(李守哲)의 아들. 1470년(성종 1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좌찬성(左贊成)ㆍ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 등을 지냄. 중종반정(中宗反正)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(靖國功臣)으로 책봉됨.
1439~1520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손^유(孫^劉) - 유^손(劉^孫)
중국 삼국시대 촉(蜀) 나라의 제1대 황제인 소열제(昭烈帝) 유비(劉備)와 오(吳) 나라 제1대 황제인 대제(大帝) 손권(孫權)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손^조(孫^曹) - 조^손(曹^孫)
중국 삼국시대 오(吳) 나라의 황제인 대제(大帝) 손권(孫權)과 위(魏) 나라의 황제인 무제(武帝) 조조(曹操)를 함께 부르는 말. 삼국시대에 적벽대전(赤壁大戰) 등의 치열한 전쟁을 통해 천하를 호령했던 두 영웅을 말함.
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손강영설(孫康映雪) - 형설지공(螢雪之功)
반딧불과 눈빛으로 글을 읽어가며 고생 속에서 공부하는 것을 말함.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손강(孫康)은 가난하여 눈빛으로 글을 읽어 어사대부(御史大夫)에 오르고, 차윤(車胤)은 반딧불을 주머니에 넣어 그 불빛으로 글을 읽어 이부상서(吏部尙書)가 된 데서 유래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손경신서(孫卿新書) - 순자(荀子)
중국 춘추전국시대 조(趙) 나라의 학자인 순황(荀況)의 사상서. 20권. 예치주의(禮治主義)를 강조하고, 성악설(性惡說)을 담고 있어 유자(儒者)들의 비판을 받음. 후에 한비자(韓非子) 등이 계승하여 법가(法家) 사상을 낳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손경여(孫敬輿) - 손식(孫軾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해(平海)로, 의서습독관(醫書習讀官)을 지낸 손숙겸(孫叔謙)의 아들. 전라도 관찰사ㆍ호조 참판(戶曹參判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손경자(孫卿子) - 순자(荀子)
중국 춘추전국시대 조(趙) 나라의 학자인 순황(荀況)의 사상서. 20권. 예치주의(禮治主義)를 강조하고, 성악설(性惡說)을 담고 있어 유자(儒者)들의 비판을 받음. 후에 한비자(韓非子) 등이 계승하여 법가(法家) 사상을 낳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손곡(損谷) - 김상성(金尙星)
조선 경종(景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으로, 김시환(金始煥)의 아들. 13세에 영평(永平)의 〈금수정기(金水亭記)〉를 지어 신동(神童)으로 불리고,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냄.
1703~175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손곡(蓀谷) - 이달(李達)@조선후기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시인. 본관은 신평(新平). 최경창(崔慶昌)ㆍ백광훈(白光勳)과 어울리며 시사(詩社)를 결성하여 ‘삼당시인(三唐詩人)’으로 일컬어짐. 제자 허균(許筠)이 그의 전기(傳記)인 〈손곡산인전(蓀谷山人傳)〉을 지음.
1539~1612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문사>문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