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손곡집(蓀谷集) - 손곡시집(蓀谷詩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시인인 이달(李達)의 시집. 6권 1책. 활자본. 초간본(初刊本)은 1618년(광해군 10)에 허균(許筠)이 자신의 서문(序文)을 붙여 간행함.
1618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손군립(孫君立) - 손흥례(孫興禮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문하에서 수학함. 지헌(芝軒) 정사성(鄭士誠), 용담(龍潭) 박이장(朴而章) 등과 교유함.
1548~157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손권(孫權) - 대제(大帝)
중국 삼국시대 오(吳) 나라 제1대 황제. 재위 222~252. 형 손책(孫策)의 뒤를 이어 강동(江東)을 차지하고, 유비(劉備)와 동맹하여 조조(曹操)를 적벽(赤壁)에서 무찌름.
182~252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손기숙(孫記叔) - 손명(孫蓂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생원 손흥례(孫興禮)의 아버지. 구봉령(具鳳齡)의 《백담집(栢潭集)》에 화답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손덕유(孫德裕) - 손영제(孫英濟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많은 사재를 희사하여 도산서원(陶山書院) 건립에 크게 이바지함. 저서로 《추천집(鄒川集)》이 있음.
1521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손량(孫梁) - 기벌포(伎伐浦)
금강(錦江) 하구인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(舒川郡) 장항읍(長項邑) 일대로 추정되는 백제 때의 지명. 백제의 국방상 요충지로, 사비성(泗沘城)을 지키는 중요한 관문 역할을 함.
한국>백제 , 충청도>서천 , 지명>자연지명
-
손량(孫亮) - 폐제(廢帝)@삼국(오)
중국 삼국시대 오(吳) 나라의 제2대 황제. 재위 252~258. 대제(大帝: 손권(孫權))의 막내아들. 맏형 손등(孫登)이 죽은 후 태자가 되어 제갈각(諸葛恪) 등의 옹립으로 즉위하였으나, 손준(孫峻) 등에게 실권을 빼앗겨 결국 폐위되었으며, 후에 자살함.
243~260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손명복(孫明復) - 손복(孫復)
중국 송(宋) 나라 진종(眞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ㆍ학자. 국자감 직강(國子監直講)ㆍ전중승(殿中丞)을 지냈으며, 태산(泰山) 아래에서 문도를 모아 가르치고 글을 저술하여 태산학파(泰山學派)를 이룸. 저서로《수양자집(睢陽子集)》이 있음.
992~105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손무송(孫撫松) - 손천우(孫天祐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밀양(密陽). 남명(南冥) 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각재(覺齋) 하항(河沆) 등과 함께 덕천서원(德川書院)을 건립함.
1533~159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학자
-
손무자(孫武子) - 손무(孫武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제(齊) 나라의 병법가(兵法家). 오(吳) 나라의 왕 합려(闔閭)를 도와 초(楚)ㆍ제(齊)ㆍ진(晉) 나라를 공략함으로써 패자(霸者)가 되게 하고, 중국 최초의 병서인 《손자(孫子)》을 저술하였다고 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손보(遜甫) - 안경공(安景恭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태조(太祖) 때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책록되고, 집현전 대제학(集賢殿大提學)을 지냄. 정도전(鄭道傳)ㆍ남은(南誾)의 죄를 감해줄 것을 요청했다가 탄핵을 받음.
1347~142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손사(孫師) - 전손사(顓孫師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로, 송(宋) 나라 이후 공문십철(孔門十哲)로 성묘(聖廟)에 종향(從享)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손사의(孫士宜) - 손경의(孫景義)
조선 전기의 유학. 하항(河沆)의 《각재집(覺齋集)》에 차운시(次韻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손사재(孫四宰) - 손중돈(孫仲暾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계천군(鷄川君) 손소(孫昭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(門人)으로, 문과에 급제하여 청환직(淸宦職)을 두루 역임하였고, 중종(中宗) 때 청백리에 녹선됨.
1463~152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손삼(孫三) - 손강(孫康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. 어사대부(御史大夫)를 지냈으며, 집이 가난하여 겨울밤에는 눈빛에 비추어 글을 읽었다는 형설지공(螢雪之功)의 고사로 유명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손삼재(孫三宰) - 손중돈(孫仲暾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계천군(鷄川君) 손소(孫昭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(門人)으로, 문과에 급제하여 청환직(淸宦職)을 두루 역임하였고, 중종(中宗) 때 청백리에 녹선됨.
1463~152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손선공(孫宣公) - 손석(孫奭)
중국 송(宋) 진종(眞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ㆍ학자. 경술(經術)로써 한림시강학사(翰林侍講學士)에 이르렀고, 저서에는 《악기도(樂記圖)》ㆍ《오경절해(五經節解)》 등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손성(孫聖) - 공급(孔伋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손자. 사서(四書)의 하나인 《중용(中庸)》을 편찬했으며, 증삼(曾參)의 학(學)을 배워 유학의 전승에 힘씀.
B.C.483~B.C.402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손순(孫舜) - 손순(孫順)
통일신라 흥덕왕(興德王) 때의 효자. 경주손씨(慶州孫氏)의 시조. 어머니의 음식을 빼앗아 먹는 어린아이를 매장하려다 석종(石鐘)을 얻은 후 왕으로부터 포상을 받았으며, 후에 옛집을 희사하여 홍효사(弘孝寺)라는 절을 삼았다 함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효자
-
손신로(孫莘老) - 손각(孫覺)
중국 송(宋) 인종(仁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. 호원(胡瑗)의 문하에서 공부하였으며, 왕안석(王安石)과 교유함. 벼슬이 간의대부(諫議大夫)에 이름.
1028~1090 중국>송ㅣ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