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손심(孫心) - 의제(義帝)
중국 초(楚) 나라 황제. 초 회왕(懷王) 웅괴(熊槐)의 손자. 항우(項羽)에 의해 황제로 세워졌으나, 항우의 밀명(密命)을 받은 영포(英布)에게 침강(郴江)에서 살해됨.
?~B.C.205 중국>진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손암(巽岩) - 이도(李燾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이벽(李壁)의 아버지로, 수찬(修撰) 등을 지내고, 《속자치통감장편(續資治通鑑長編)》ㆍ《설문해자오음운보(說文解字五音韻譜)》등을 저술하는 등 사학가(史學家)로서 활동이 두드러짐.
1115~118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손암(巽庵)@정약전 - 정약전(丁若銓)
조선 정조(正祖)~순조(純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나주(羅州). 진주 목사(晉州牧使) 정재원(丁載遠)의 아들이며 정약용(丁若鏞)의 형으로, 신유사옥(辛酉邪獄) 때 흑산도(黑山島)로 유배되어 《자산어보(玆山魚譜)》를 지음.
1758~1816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손암(巽庵) - 심의겸(沈義謙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송(靑松)으로, 이황(李滉)의 문인. 1575년(선조 8)에 그를 지지하는 서인(西人)과, 김효원(金孝元)을 지지하는 동인(東人)이 서로 논쟁하기 시작해 동서분당(東西分黨)의 시초가 됨.
1535~158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송 , 인명>관인>문신
-
손암(損菴) - 이식(李拭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승상(李承常)의 아들로, 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지냄. 동서분당(東西分黨)이 일어나자 정희적(鄭熙績) 등과 함께 서인(西人)의 등용을 막으려다 체직됨.
1510~158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손양(孫陽) - 백락(伯樂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秦) 나라 때의 인물. 방구인(方九堙)의 추천으로 목공(穆公)의 말을 관리하였으며, 천리마(千里馬) 감정의 달인으로 유명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손언장(孫彦章) - 손홍륜(孫弘綸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인후(金麟厚)의 《하서집(河西集)》에 화답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손오(孫吳) - 오(吳)@삼국
중국 삼국시대(三國時代)의 국명. 손권(孫權)이 유비(劉備)와 결탁하여 조조(曹操)의 대군을 적벽(赤壁)에서 대파한 뒤 세운 왕조로, 4대 52년간 존속.
222~280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시간>국명
-
손옹(巽翁) - 주세붕(周世鵬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상주(尙州). 풍기 군수(豊基郡守)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(白雲洞書院)을 건립함. 저서에 《무릉잡고(武陵雜稿)》가 있음.
1495~155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ㅣ경상도>칠원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손우(遜愚) - 홍석(洪錫)@조선후기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남양(南陽). 김상헌(金尙憲)의 문인으로, 병자호란 이후 태백산(太白山) 춘양(春陽)에 은거하여 강흡(姜洽) 등과 함께 ‘태백오현(太白五賢)’으로 불림. 후에 세자익위사 사어(世子翊衛司司禦)를 지냄.
1604~168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손우재(遜愚齋) - 홍석(洪錫)@조선후기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남양(南陽). 김상헌(金尙憲)의 문인으로, 병자호란 이후 태백산(太白山) 춘양(春陽)에 은거하여 강흡(姜洽) 등과 함께 ‘태백오현(太白五賢)’으로 불림. 후에 세자익위사 사어(世子翊衛司司禦)를 지냄.
1604~168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손자(孫子) - 손무(孫武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제(齊) 나라의 병법가(兵法家). 오(吳) 나라의 왕 합려(闔閭)를 도와 초(楚)ㆍ제(齊)ㆍ진(晉) 나라를 공략함으로써 패자(霸者)가 되게 하고, 중국 최초의 병서인 《손자(孫子)》을 저술하였다고 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손재(孫宰) - 손작(孫綽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ㆍ문인. 시부(詩賦)에 능하여 〈천태산부(天台山賦)〉 등을 지어 당대에 이름을 떨치고, 저작좌랑(著作佐郞) 등을 지냄.
314~371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손재(巽齋) - 심의겸(沈義謙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송(靑松)으로, 이황(李滉)의 문인. 1575년(선조 8)에 그를 지지하는 서인(西人)과, 김효원(金孝元)을 지지하는 동인(東人)이 서로 논쟁하기 시작해 동서분당(東西分黨)의 시초가 됨.
1535~158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송 , 인명>관인>문신
-
손재(遜齋) - 이겸(李謙)@이맹지의아들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단양(丹陽)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장령(掌令)으로서 유운(柳雲)ㆍ조광조(趙光祖) 등을 변호하는 극렬한 상소를 올렸다가 파직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손정(孫丁) - 정위(丁謂)
중국 송(宋) 나라 진종(眞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. 진종 때 총애를 받아 승상(丞相) 구준(寇準)을 배척하였으나, 인종 때 애주(崖州)로 쫓겨나 죽음. 노다손(盧多遜)과 함께 송 나라의 간신(奸臣)으로 꼽힘.
966~103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손지(巽之) - 범육(范育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. 지당주사(知唐州事)를 지낸 범상(范祥)의 아들로, 호부 시랑(戶部侍郎)을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손지(損之)@이종민 - 이종민(李宗閔)
중국 당(唐) 나라 목종(穆宗)~무종(武宗) 때의 문신. 우승유(牛僧孺)와 함께 ‘우당(牛黨)’의 대표적인 인물로, 이덕유(李德裕)ㆍ이길보(李吉甫) 중심의 ‘이당(李黨)’과 40여 년간 ‘우이당쟁(牛李黨爭)’을 벌임.
?~84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손지(損之) - 김변(金賆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충렬왕이 세자로 원(元) 나라에 있을 때 예부 낭중(禮部郞中)으로 4년간 보좌하여 이등공신(二等功臣)에 녹훈됨.
1248~1301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손지(遜志) - 방효유(方孝孺)
중국 명(明) 태조(太祖)~혜제(惠帝) 때의 학자. 석학인 송렴(宋濂)에게 수학하고, 혜제(惠帝)를 섬겨 시강학사(侍講學士)로서 신임을 받았으나, 영락제(永樂帝) 때 등극 조서 작성을 거부하다가 죽임을 당하였음.
1357~1402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