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송구봉(宋龜峯) - 송익필(宋翼弼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여산(礪山). 신사무옥(辛巳誣獄)을 일으킨 판관(判官) 송사련(宋祀連)의 아들.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 등과 교제하며 성리학과 예학(禮學)에 통달하였고, 문장에 뛰어나 선조대(宣祖代)의 팔문장(八文章)으로 불렸으며, 김장생(金長生)ㆍ김집(金集) 등 많은 문하생을 배출함.
1534~1599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문사>학자
-
송국재(松菊齋) - 이파(李坡)
조선 문종(文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계전(李季甸)의 아들로, 《동국통감(東國通鑑)》과 《삼국사절요(三國史節要)》의 편찬에 참여하고, 좌찬성(左贊成) 등을 지냄. 성리학(性理學)에 밝고 문장이 뛰어남.
1434~148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송국주인(松菊主人) - 위표미(韋表微)
중국 당(唐) 나라 헌종(憲宗)~문종(文宗) 때의 문신. 감찰어사(監察御史)ㆍ호부시랑(戶部侍郞) 등을 지냄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송군(宋君) - 효종(孝宗)@송
중국 송(宋) 나라의 제11대 황제. 재위 1162~1189. 장준(張浚)에게 명하여 금(金)을 정벌하려 했지만 실패하자 금과 숙질(叔姪) 관계로 화의(和議)를 맺음. 내정(內政) 개혁을 실시해 강남(江南)의 개발이 진척되어 북송(北宋)을 능가하는 번영을 이룸.
1127~119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송군문(宋軍門) - 송응창(宋應昌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장군. 병부 우시랑(兵部右侍郞)ㆍ대사마(大司馬)를 지내다가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경략 군문(經略軍門)으로 임명되어 제독 군무(提督軍務) 이여송(李如松) 등과 명군(明軍) 4만여 명을 이끌고 참전함.
1536~1606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송귀인(宋貴人) - 경은후(敬隱后)
중국 후한(後漢) 장제(章帝)의 후비 송 귀인(宋貴人). 안제(安帝)의 조모(祖母). 아들 청하효왕(淸河孝王) 경(慶)이 태자가 되자 두황후(竇皇后)가 참소하여 음독자살하였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후궁
-
송근(宋瑾) - 송경(宋瓊)
조선 전기의 문신. 송애(松厓) 이여(李畬)와 절친한 벗으로, 훈도(訓導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송년(松年) - 장교(張喬)
중국 당(唐) 나라 때의 문신ㆍ문인. 장교(張喬)의 시(詩) 〈촌거견기(村居見奇)〉에 고운(孤雲) 최치원(崔致遠)이 화답한 내용이 《고운집(孤雲集)》에 실려 있음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송노야(宋老爺) - 송응창(宋應昌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장군. 병부 우시랑(兵部右侍郞)ㆍ대사마(大司馬)를 지내다가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경략 군문(經略軍門)으로 임명되어 제독 군무(提督軍務) 이여송(李如松) 등과 명군(明軍) 4만여 명을 이끌고 참전함.
1536~1606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송담(松潭) - 송남수(宋柟壽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은진(恩津). 임천 군수(林川郡守) 등을 지냈으며,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도주하여 탄핵을 받았으나 곧 사면되었고, 이후 낙향하여 쌍청당(雙淸堂)을 중수함.
1537~1626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회덕 , 인명>관인>문신
-
송담(松潭)@전유추 - 전유추(田有秋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현종(顯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담양(潭陽)으로, 전영발(田穎發)의 아들. 장흥(長興)의 감호(甘湖)에 은거하여 평생 후학 교육에 힘썼으며, 감호사(鑑湖祠)에 배향됨.
1594~167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문사>학자
-
송당(松堂)@학전 - 학전(學專)
조선 전기의 승려. 신숙주(申叔舟)와 친분이 두터웠으며, 말년에 황해도 문화현(文化縣)의 패엽사(貝葉寺)에 기거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송당(松堂)@황윤길 - 황윤길(黃允吉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장수(長水). 1590년(선조 23) 통신정사(通信正使)로 일본에 다녀와 일본의 내침을 예견하고 대책을 강구하였으나, 김성일(金誠一)의 상반된 주장으로 뜻을 이루지 못함.
1536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송당(松堂) - 김광재(金光載)
고려 충선왕(忠宣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효성이 지극해 공민왕(恭愍王)이 그가 사는 마을을 영창방 효자리(靈昌坊孝子里)로 정표(旌表)함.
1294~1363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송당(松堂)@유홍 - 유홍(兪泓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. 유여림(兪汝霖)의 손자로, 정여립(鄭汝立)의 모반사건과 종계(宗系)를 변무(辨誣)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, 임진왜란 때에는 우의정으로 도성의 질서 회복과 복구에 기여함.
1524~159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송당(松堂)@조준 - 조준(趙浚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조덕유(趙德裕)의 아들로,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책록되고, 과전법(科田法)을 실시하여 토지제도를 정비하였으며, 하륜(河崙) 등과 함께 《경제육전(經濟六典)》을 편찬함.
1346~1405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평안도>평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송당(松堂)@임복 - 임복(林復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1546년(명종 1) 증광 문과에 급제한 후 승문원 정자(承文院正字)에 등용되었으나, 양재역 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으로 삭주(朔州)에 유배되었다가 고향에 은거함.
1521~157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송당(松堂)@박영 - 박영(朴英)@조선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ㆍ학자. 본관은 밀양(密陽). 무과(武科)에 급제했으나 학문에 전념함. 성리학(性理學)뿐만 아니라 역학(易學)ㆍ천문(天文)ㆍ의술(醫術)에도 조예가 깊었음.
1471~154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무신
-
송당(松堂)@권맹손 - 권맹손(權孟孫)
조선 태종(太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예천(醴泉). 변계량(卞季良)의 문인으로, 1408년(태종 8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양주 목사(楊州牧使)ㆍ중추원사(中樞院使) 등을 지냄.
1390~145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송당(松堂)@탁진옥 - 탁진옥(卓振玉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탁중(卓中)의 맏아들로, 1468년(세조 14) 사마시(司馬試)에 급제하였으며, 사인(舍人)ㆍ검상(檢詳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