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송당(松塘) - 유홍(兪泓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. 유여림(兪汝霖)의 손자로, 정여립(鄭汝立)의 모반사건과 종계(宗系)를 변무(辨誣)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, 임진왜란 때에는 우의정으로 도성의 질서 회복과 복구에 기여함.
1524~159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송당거사(松堂居士) - 김광재(金光載)
고려 충선왕(忠宣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효성이 지극해 공민왕(恭愍王)이 그가 사는 마을을 영창방 효자리(靈昌坊孝子里)로 정표(旌表)함.
1294~1363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송당선생문집(松堂先生文集)@박영 - 송당집(松堂集)@박영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ㆍ학자인 박영(朴英)의 시문집. 5권 2책. 목판본. 1655년(효종 6) 4대손 박경길(朴敬吉)이 편집ㆍ간행하였고, 1905년 후손 박문호(朴文浩)가 중간함.
1655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송당선생문집(松堂先生文集) - 송당집(松堂集)@조준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인 조준(趙浚)의 시문집. 4권 2책. 아들인 조대림(趙大臨)이 간행을 도모하였으나 1669년(현종 10)에서야 9대손 조성(趙䃏)이 가장유고(家藏遺稿)를 바탕으로 간행하였으며, 1901년 17세손 조재명(趙載明)ㆍ조재곤(趙載坤) 등이 중간함.
1669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송당선생집(松堂先生集) - 송당집(松堂集)@박영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ㆍ학자인 박영(朴英)의 시문집. 5권 2책. 목판본. 1655년(효종 6) 4대손 박경길(朴敬吉)이 편집ㆍ간행하였고, 1905년 후손 박문호(朴文浩)가 중간함.
1655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송당유고(松堂遺稿) - 송당집(松堂集)@조준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인 조준(趙浚)의 시문집. 4권 2책. 아들인 조대림(趙大臨)이 간행을 도모하였으나 1669년(현종 10)에서야 9대손 조성(趙䃏)이 가장유고(家藏遺稿)를 바탕으로 간행하였으며, 1901년 17세손 조재명(趙載明)ㆍ조재곤(趙載坤) 등이 중간함.
1669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송대원(宋大源) - 송대원(宋大原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은진(恩津). 중국 당(唐) 나라에서 호부 상서(戶部尙書)를 지낸 송주은(宋柱殷)의 후예로, 판원사(判院事)를 지내고 은진군(恩津君)에 봉해짐. 은진송씨(恩津宋氏)의 시조가 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은진 , 인명>관인>문신
-
송덕구(宋德久) - 송복기(宋福基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야성(冶城). 충순위(忠順衛) 송의(宋儀)의 아들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. 추천으로 소촌도 찰방(召村道察訪)에 제수되었지만 사양하고 평생 명사(名士)들과 시주(詩酒)로 교유하며 일생을 마침.
1541~1605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양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송도(松島) - 울릉도(鬱陵島)
울진(蔚珍)에서 정 동쪽으로 3백 50리쯤 떨어진 섬. 지증왕(智證王) 때부터 신라에 예속됨. 조선 숙종(肅宗) 때 안용복(安龍福)이 월경(越境)한 일본 선박에게 항의하다 일본에 붙들려가 백기도주(伯耆島主)에게 우리 영토임을 확인함.
강원도>울진 , 지명>자연지명
-
송도(松都) - 개성(開城)
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한 고려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. 고려의 수도.
경기도>개성 , 지명>행정지명
-
송도처사(松都處士) - 안경창(安慶昌)
조선 후기의 처사(處士). 천민 출신으로 어렸을 때 화장사(花庄寺)에서 공부하며 기이한 행적을 남기고, 이언적(李彦迪)ㆍ이황(李滉)ㆍ이이(李珥) 및 조식(曺植)ㆍ노사신(盧思愼) 등 당시 명유들과 교유하였다고 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송둔암(宋鈍菴) - 송인(宋寅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여산(礪山). 중종의 부마로, 이황(李滉)ㆍ조식(曺植) 등과 교유하고, 시문(詩文)과 해서(楷書)에 뛰어남.
1517~15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송란처사(松欄處士) - 김자질(金子質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《우정집(憂亭集)》에 김극성(金克成)이 지은 〈화김상사자질송란음(和金上舍子質松欄吟)〉이란 시가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송령선생(松嶺先生) - 윤순(尹洵)
중종(中宗) 때의 문인. 본관은 남원(南原). 송순(宋純)ㆍ정만종(鄭萬鍾)ㆍ임억령(林億齡) 등과 시(詩)를 주고받으며 교의관계(交誼關係)를 맺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담양 , 인명>문사>문인
-
송령옹(松嶺翁) - 윤순(尹洵)
중종(中宗) 때의 문인. 본관은 남원(南原). 송순(宋純)ㆍ정만종(鄭萬鍾)ㆍ임억령(林億齡) 등과 시(詩)를 주고받으며 교의관계(交誼關係)를 맺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담양 , 인명>문사>문인
-
송례(松禮) - 송송례(宋松禮)
고려 원종(元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원종 때 문하성 직사(門下省直事)로서 홍규(洪奎)와 함께 권신 임유무(林惟茂)를 죽이고 왕정(王政)을 복고시켰으며, 찬성사 중찬(贊成事中贊) 등을 역임함.
?~1289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여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송로(松老)@강익 - 강익(姜翼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조식(曺植)의 문인. 1566년(명종 21) 영남 유생 33인의 소두(疏頭)로 정여창(鄭汝昌)을 제향한 함양의 남계서원(灆溪書院)에 사액을 청하여 성사시킴, 학행으로 추천되어 소격서 참봉(昭格署參奉)을 지냄.
1523~156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학자
-
송로(松老) - 정철(鄭澈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시인. 본관은 연일(延日). 판관(判官)을 지낸 정유침(鄭惟沈)의 아들이며, 기대승(奇大升)의 문인(門人). 예조 판서(禮曹判書)ㆍ대사간(大司諫)을 지냈고,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.
1536~159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창평ㅣ경기도>강화ㅣ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송로(松老)@권응인 - 권응인(權應仁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. 시재(詩才)가 뛰어나 선위사(宣慰使) 일행이 되기도 했으며, 송(宋) 나라의 시풍(詩風)이 유행하던 문단(文壇)에 만당(晩唐)의 시풍을 받아들여 큰 전환을 가져왔음.
1521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문인
-
송록(松麓) - 정경세(鄭經世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유성룡(柳成龍)의 문인으로, 대제학(大提學)을 지냄. 주자학에 본원을 두고 이황(李滉)의 학통을 계승하였으며,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었음.
1563~163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