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송릉부원군(松陵府院君) - 윤언청(尹彦淸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무송(茂松). 교위(校尉) 윤심(尹深)의 아들로, 별좌(別坐)를 지냈으며, 아들인 무성부원군(茂城府院君) 윤형(尹泂)이 귀하게 됨으로 인해 영의정(領議政) 송릉부원군(松陵府院君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무장 , 인명>관인>문신
-
송림(松林) - 김인경(金仁慶)
조선 중종(中宗)의 부마. 본관은 광산(光山). 중종의 딸인 혜순옹주(惠順翁主)와 결혼함. 동서지간인 여성군(礪城君) 송인(宋寅)과 주고 받은 시들이 《이암유고(頤庵遺稿)》에 실려 있음.
1514~158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왕실>인척
-
송림군(松林君) - 이효창(李孝昌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아들인 덕천군(德泉君) 이후생(李厚生)의 넷째 아들. 무과(武科)에 장원하고, 경서나 역사서도 두루 통할 만큼 학문에도 뛰어남.
1450~147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송림수(松林守) - 이중윤(李仲胤)
조선 전기의 종친. 청성군(靑城君) 이걸(李傑)의 둘째 아들이며, 이경윤(李慶胤)의 동생이자 이영윤(李英胤)의 형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송만(宋萬) - 남궁장만(南宮長萬)
중국 춘추전국시대 송(宋) 나라의 경(卿). 송(宋) 민공(閔公)을 시해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송만(松巒)@윤현 - 윤현(尹晛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. 윤담수(尹聃壽)의 아들로, 이조 정랑(吏曹正郞) 등을 지냈으며, 서인(西人)의 거두인 윤두수(尹斗壽)ㆍ윤근수(尹根壽)와 함께 ‘삼윤(三尹)’으로 일컬어짐.
1536~159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송만(松巒) - 송악산(松岳山)
경기도 개성(開城)에 있는 산 이름.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기은제(祈恩祭)를 지냈던 산 중의 하나로, 고려 태조 왕건(王建)이 송악산의 기운을 받고 태어났다고 함.
경기도>개성 , 지명>자연지명
-
송명중(宋明仲) - 송인(宋寅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여산(礪山). 중종의 부마로, 이황(李滉)ㆍ조식(曺植) 등과 교유하고, 시문(詩文)과 해서(楷書)에 뛰어남.
1517~15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송무대(宋武臺) - 능효대(凌歊臺)
중국 안휘성(安徽省) 황산(黃山) 위에 있는 누대 이름.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 무제(武帝)가 남쪽으로 유람하다가 이곳에 올라 이궁(離宮)을 세웠다고 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유적>건물>누정
-
송문(宋文) - 문제(文帝)@남북조(송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송(宋) 나라의 제3대 황제. 재위 424~453. 귀족을 중용하고 문치(文治)를 위주로 하여 원가(元嘉)의 치세(治世)를 주도함.
407~453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송문귀(宋文貴) - 송문중(宋文中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여산(礪山). 조선 태조가 잠저(潛邸)에 있을 때 그를 보좌하였고, 풍해도 관찰사(豐海道觀察使)를 지낼 때 왜구(倭寇)를 물리치는 등 공을 세움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여산 , 인명>관인>무신
-
송민중(宋敏仲) - 송여원(宋汝源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청성산(靑城山)에 은거한 송암(松巖) 권호문(權好文)을 찾아가 동생 송여옥(宋汝沃)과 함께 수학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송민지(宋民止) - 송기(宋圻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산(礪山). 여성군(礪城君) 송인(宋寅)의 손자이고 돈녕부 봉사(敦寧府奉事) 송유의(宋惟毅)의 아들로, 순천 부사(順天府使)ㆍ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를 지냄.
1553~161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송백심(宋伯深) - 송해관(宋海寬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평(新平). 의정부 우참찬(議政府右參贊)을 지낸 송순(宋純)의 아들로, 건원릉 참봉(健元陵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담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송보(頌甫) - 정약용(丁若鏞)
조선 정조(正祖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유형원(柳馨遠)ㆍ이익(李瀷)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조선 후기 실학(實學)을 집대성함. 주자(朱子) 성리학(性理學)의 공리공담을 배격하고 봉건제도의 폐해를 개혁하려는 진보적인 사회개혁안을 제시함.
1762~183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강진ㅣ경기도>광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송부(宋富) - 부필(富弼)
중국 송(宋) 나라의 정치가. 범중엄(范仲淹)의 추천으로 벼슬길에 올랐으며, 요(遼) 나라와의 국경 문제를 원만히 해결한 후 재상이 되었으나, 왕안석(王安石)의 신법(新法) 실행에 반대하다가 축출됨.
1004~108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사(松沙) - 기우만(奇宇萬)
근대의 학자ㆍ의병장. 본관은 행주(幸州). 기정진(奇正鎭)의 손자로 가학을 계승하여 성리학을 연구하였으며, 1895년 이후 의병을 일으켜 일제에 저항함.
1846~1927 한국>근대 , 전라도>장성 , 인명>문사>학자
-
송사강(宋士强) - 송대립(宋大立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청홍도 우후(淸洪道虞候)를 지낸 송옥(宋玉)의 아들. 박순(朴淳)의 문인으로, 성혼(成渾)과 교유함. 공조 정랑(工曹正郞)ㆍ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 등을 지냄.
1542~1583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사소은(松舍小隱) - 권호문(權好文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무민재(無悶齋)를 짓고 은거하면서 유성룡(柳成龍)ㆍ김성일(金誠一) 등과 교유함.
1532~158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송산(松山)@조견 - 조견(趙狷)
고려 공양왕(恭讓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양(平壤)으로, 판도판서(版圖判書) 조덕유(趙德裕)의 아들. 조선 개국공신(開國功臣) 중 한 사람.
1351~1425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평안도>평양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