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게혜사(揭傒斯)
중국 원(元) 나라의 문인. 양재(楊載)ㆍ범곽(范椁)ㆍ우집(虞集)과 함께 원시사대가(元詩四大家), 또는 유관(柳貫)ㆍ황진(黃溍)ㆍ우집과 함께 유림사걸(儒林四傑)로 불림.
1274~1344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격몽요결(擊蒙要訣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성리학자인 이이(李珥)가 편찬한 유학 입문서. 《동몽선습(童蒙先習)》ㆍ《훈몽자회(訓蒙字會)》와 함께 초학자들을 위한 교재로 쓰임.
1577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격물통(格物通)
중국 명(明) 나라의 유학자인 담약수(湛若水)가 편찬한 책. 구준(丘濬)의 《대학연의보(大學衍義補)》를 본떠 지음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격재집(格齋集)
조선 전기의 문신인 손조서(孫肇瑞)의 시문집(詩文集). 4권 1책. 목판본.
1479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격황소서(檄黃巢書)
통일신라의 대문장가인 최치원(崔致遠)이 중국 당(唐) 나라에서 벼슬할 때 황소(黃巢)를 치기 위하여 지은 격문(檄文). 고변(高騈)의 종사관이 되어 황소를 토벌하러 나갔을 때 지어 보낸 글임.
880 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견^위(汧^渭)
중국 섬서성(陝西省)에 있는 견수(汧水)와 위수(渭水)를 함께 부르는 말. 견수는 위수의 지류(支流)로 이 일대가 모두 목축하기에 적당함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견거절함(牽裾折檻)
소매를 끌어당기고 난간을 부러뜨림. 삼국시대에 위 문제(魏文帝)의 옷자락을 끌어당기며 간언한 신비(辛毗)와, 한 성제(漢成帝) 때 끌려 나가면서 붙잡은 난간이 부러질 때까지 간언한 주운(朱雲)의 고사에서 온 말로, 임금의 위세에 굴하지 않고 직간(直諫)함을 뜻함.
중국>삼국시대ㅣ중국>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견문산(犬門山)
충청북도 충주(忠州) 남한강(南漢江)과 달천(達川)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는 산 이름.
충청도>충주 , 지명>자연지명
-
견성군(甄城君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여섯 번째 서자. 숙용홍씨(淑容洪氏)의 소생으로, 중종(中宗) 때 이과(李顆)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간성(杆城)에 유배된 뒤 사사(賜死)되었으며, 이듬해 억울함이 인정되어 신원됨.
1482~150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견수(汧水)
중국 감숙성(甘肅省)에서 발원해 섬서성(陝西省) 위수(渭水)로 흘러들어가는 강 이름. 춘추전국시대 진(秦) 나라의 주영토가 견수(汧水)와 위수가 합류하는 지점에서 서쪽으로 삼각지대를 이루는 지역임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견우(牽牛)
한국ㆍ중국ㆍ일본에 전래되는 견우직녀(牽牛織女) 설화의 남자 주인공. 견우성(牽牛星)을 의인화한 것으로, 매년 칠월 칠석(七夕)에 은하수를 건너 직녀와 만난다고 함.
고대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견우성(牽牛星)
이십팔수(二十八宿)의 하나. 북방(北方) 현무칠수(玄武七宿)의 두 번째 별자리로, 은하(銀河)의 동쪽에 있으며, 은하 서쪽의 직녀성(織女星)과 마주 대함.
자연물>천체
-
견풍(甄豊)
중국 전한(前漢)~신(新) 때의 문신. 유흠(劉歆)ㆍ왕순(王舜)과 함께 왕망(王莽)의 심복으로 왕망의 왕위 찬탈을 도움.
중국>신ㅣ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견훤(甄萱)
후백제(後百濟)의 시조. 재위 892~935. 본래 성은 이씨(李氏)였으나 뒤에 견씨(甄氏)라 함.
867~936 한국>통일신라 , 전라도>전주ㅣ전라도>광산 , 인명>왕실>국왕
-
결성(結城)
현재 충청남도 홍성(洪城) 광천읍(廣川邑)과 결성면(結城面)ㆍ서부면(西部面)ㆍ구항면(龜項面)ㆍ은하면(銀河面)까지 포함했던 옛 고을 이름.
충청도>결성 , 지명>행정지명
-
겸암집(謙庵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운룡(柳雲龍)의 시문집(詩文集). 목판본. 8권 4책. 초간본(初刊本)은 1742년(영조 18)에 후손 유손영(柳孫永)이 유문(遺文)을 수집하여 간행함.
1742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겸재집(謙齋集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현종(顯宗) 때의 학자인 하홍도(河弘度)의 시문집(詩文集). 정론(正論)을 비판하고 악인(惡人)을 장려하는 내용이 많이 들어 있다는 이유로 수난을 겪음.
1758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경^뇌(瓊^雷)
중국 광동성(廣東省)의 경주(瓊州)와 뇌주(雷州)를 함께 부르는 말. 지금의 해남도(海南島)와 뇌주반도(雷州半島)를 가리키며, 소식이 유배생활을 한 곳을 말함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경^등(耿^鄧)
중국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 때의 장군인 경감(耿弇)과 등우(鄧禹)를 함께 부르는 말. 후한의 대표적인 장군을 가리킴.
중국>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경^위(涇^渭)
중국 섬서성(陝西省)에 있는 경수(涇水)와 위수(渭水)를 함께 부르는 말. 경수는 탁하고 위수는 맑기 때문에 옳고 그름과 청탁(淸濁)에 대한 분별이 엄격함을 뜻함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