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송수(松壽) - 원송수(元松壽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홍건적(紅巾賊)의 난 때 공민왕을 호종하여 공신에 책록되었으나, 신돈(辛旽)의 미움을 받아 파직되고 신돈의 난정(亂政)을 개탄하다가 병사함.
1324~1366 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송승상문산선생전집(宋丞相文山先生全集) - 문산전집(文山全集)
중국 남송(南宋)의 문신이며 애국시인인 문천상(文天祥)의 시문집. 1552년 언무경(鄢懋卿)이 판각한 28권본 이래 여러 개의 판본이 전해짐. 송(宋)ㆍ원(元) 교체기의 시대적 배경으로 인해 비장하고 강개한 작품들이 대부분임.
1552 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송악(松岳) - 송악산(松岳山)
경기도 개성(開城)에 있는 산 이름.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기은제(祈恩祭)를 지냈던 산 중의 하나로, 고려 태조 왕건(王建)이 송악산의 기운을 받고 태어났다고 함.
경기도>개성 , 지명>자연지명
-
송악(松岳)@개성 - 개성(開城)
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한 고려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. 고려의 수도.
경기도>개성 , 지명>행정지명
-
송악(松嶽) - 개성(開城)
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한 고려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. 고려의 수도.
경기도>개성 , 지명>행정지명
-
송악산(松嶽山) - 송악산(松岳山)
경기도 개성(開城)에 있는 산 이름.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기은제(祈恩祭)를 지냈던 산 중의 하나로, 고려 태조 왕건(王建)이 송악산의 기운을 받고 태어났다고 함.
경기도>개성 , 지명>자연지명
-
송안(松顔) - 구찬록(具贊祿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능성(綾城).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퇴계(退溪)가 그 학문에 뜻이 있음을 칭찬함. 벼슬은 감정(監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안군(松安君) - 이자수(李子脩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보(眞寶)로, 이황(李滉)의 5대조. 공민왕 때 홍건적(紅巾賊)을 평정한 공으로 안사공신(安社功臣)에 책록되고, 판전의시사(判典儀寺事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송암(松巖)@윤엄 - 윤엄(尹儼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서화가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지함(尹之諴)의 아들로, 호조 좌랑(戶曹佐郞) 등을 지냄. 서화(書畵)에 능하고 필법(筆法)에 조예가 깊었으며, 감식안이 높아 고금 서화의 판별에 뛰어나다는 평가를 들음.
1536~158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송암(松巖)@양대박 - 양대박(梁大樸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의병장. 본관은 남원(南原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아들 양경우(梁慶遇)와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, 담양(潭陽)에서 의병을 일으킨 고경명(高敬命)을 맹주로 추대한 뒤 종사관(從事官)으로 활동함.
1544~159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암(松巖)@이노 - 이노(李魯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조종도(趙宗道)와 함께 창의(倡義)하고 김성일(金誠一)의 종사관(從事官)으로도 활약함. 정언(正言) 등을 지냄.
1544~159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암(松巖) - 권호문(權好文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무민재(無悶齋)를 짓고 은거하면서 유성룡(柳成龍)ㆍ김성일(金誠一) 등과 교유함.
1532~158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송암(松巖)@김연광 - 김연광(金鍊光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로, 심적당(心適堂) 김이상(金履祥)의 아들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회양 부사(淮陽府使)로서 왜적의 침범을 당하게 되자, 절개를 지켜 도망하지 않고 적에게 참살당함.
1524~1592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암(松巖)@김사효 - 김사효(金思孝)
조선 전기의 유학.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, 등암(鐙巖) 이덕익(李德益) 등과 팔현회(八賢會)를 조직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송암(松庵)@유해 - 유해(兪瀣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으로, 이이(李珥)의 문인. 임진왜란 때 종묘(宗廟)의 신주를 평양(平壤)의 행재소(行在所)에 피난시킨 공으로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되고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541~1629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송암(松庵)@강익 - 강익(姜翼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조식(曺植)의 문인. 1566년(명종 21) 영남 유생 33인의 소두(疏頭)로 정여창(鄭汝昌)을 제향한 함양의 남계서원(灆溪書院)에 사액을 청하여 성사시킴, 학행으로 추천되어 소격서 참봉(昭格署參奉)을 지냄.
1523~156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학자
-
송암(松庵)@김면 - 김면(金沔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의병장ㆍ학자. 경원 부사(慶源府使) 김세문(金世文)의 아들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 효렴(孝廉)으로 천거되어 공조 좌랑(工曹佐郞)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했으며, 임진왜란 때 의병을 규합하여 많은 전공(戰功)을 세움.
1541~159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송암(松庵) - 유관(柳灌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좌의정(左議政)을 역임하였으나 을사사화(乙巳士禍)가 일어나 삼흉(三凶)으로 몰려 사사됨.
1484~1545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암(松菴)@성세준 - 성세준(成世俊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성세정(成世貞)의 형이며 성운(成運)의 아버지. 1507년(중종 2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선공감 부정(繕工監副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암(松菴)@권징 - 권징(權徵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사직(司直) 권굉(權硡)의 아들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권율(權慄) 등과 함께 의병을 규합하여 왜병과 싸우고, 명(明) 나라 이여송(李如松)이 추진하는 화의(和議)를 반대함.
1538~159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ㅣ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