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송월(松月) - 조수(趙須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양(平壤)으로, 찬성사(贊成事) 조호(趙瑚)의 아들. 학문에 정진하여 명성이 높고, 세종 때 성균관 사예(司藝)로 서용되어 집현전 학사를 지도함.
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평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월당(松月堂)@강섬 - 강섬(姜暹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강공망(姜公望)의 아들. 1546년(명종 1)에 증광시(增廣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전라도 관찰사(全羅道觀察使)ㆍ호조 판서(戶曹判書) 등을 지내고,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ㆍ《인종실록(仁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
1516~159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월당(松月堂) - 윤풍형(尹豊亨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칠원(漆原). 윤석보(尹碩輔)의 아들로, 홍문관 부제학(弘文館副提學)을 지낼 때 문정왕후(文定王后)의 폐위를 도모한 김안로(金安老)를 탄핵하였으며,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칠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월당(松月堂)@박호원 - 박호원(朴好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남평 현감(南平縣監)을 지낸 박이(朴苡)의 아들로, 명종 때 토포사(討捕使)의 종사관(從事官)에 임명되어 임꺽정(林巨正) 등 도적을 진압함. 대사헌(大司憲)ㆍ호조 참판(戶曹參判)을 지냄.
1527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월당(松月堂)@조수 - 조수(趙須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양(平壤)으로, 찬성사(贊成事) 조호(趙瑚)의 아들. 학문에 정진하여 명성이 높고, 세종 때 성균관 사예(司藝)로 서용되어 집현전 학사를 지도함.
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평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월당(送月堂) - 이사경(李思敬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광익(李光翊)의 아들로, 판사재감사(判司宰監事) 등을 지냄. 나라의 변란이 예상되자 가솔을 거느리고 개령(開寧)에 은거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개령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월당거사(松月堂居士) - 조수(趙須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양(平壤)으로, 찬성사(贊成事) 조호(趙瑚)의 아들. 학문에 정진하여 명성이 높고, 세종 때 성균관 사예(司藝)로 서용되어 집현전 학사를 지도함.
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평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월헌(松月軒)@해초 - 해초(海超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승려. 《월인석보(月印釋譜)》를 편찬하고 《선종영가집언해(禪宗永嘉集諺解)》을 교정하였으며, 신숙주(申叔舟)ㆍ김시습(金時習) 등이 그를 읊은 시를 남김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송월헌(松月軒)@찬영 - 찬영(粲英)
고려 충정왕(忠定王)~공양왕(恭讓王) 때의 승려. 사복시 직장(司僕寺直長) 한적(韓績)의 아들이고, 보우(普愚)의 제자. 공민왕(恭愍王) 때 양가도승록(兩街都僧錄)이 되고, 우왕(禑王) 때 왕사(王師)가 되었으며, 사후에 국사(國師)의 시호를 받음.
1328~1390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송월헌(松月軒) - 이희안(李希顔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으로,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직하고 조식(曺植)과 교우하며 학문을 연마함.
1504~155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초계 , 인명>문사>학자
-
송은(松隱) - 박익(朴翊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ㆍ학자. 고려 때 예부 시랑(禮部侍郞) 등을 지내고 왜구(倭寇)와 여진(女眞) 토벌에 전공을 세웠으나, 조선 개국 후 두문동(杜門洞)에 들어갔다가 밀양(密陽)의 송계(松溪)에 은거하여 저술에 전념함.
1332~139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송은선생문집(松隱先生文集) - 송은집(松隱集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익(朴翊)의 시문집. 4권 1책. 목판본. 1839년(헌종 5)경 후손 박세신(朴世臣)에 의해 간행됨. 권두에 홍명주(洪命周)와 조두순(趙斗淳)의 서문, 권말에 이가순(李家淳)의 초간서가 있음.
1839?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송음(松陰)@금복고 - 금복고(琴復古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봉화(奉化). 금인(琴軔)의 아들이며, 소고(嘯皐) 박승임(朴承任)의 문인. 유림의 추천으로 강릉 참봉(康陵參奉)에 제수되었고, 임진왜란 때 원종훈(原從勳)으로 호군(護軍)에 오름.
1549~163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음(松陰) - 이경증(李景曾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권필(權韠)의 문인(門人)으로,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어사(御史)로서 식량조달을 담당하고,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에는 병방승지(兵房承旨)로서 인조를 호종함.
1595~1648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이암(宋頤庵) - 송인(宋寅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여산(礪山). 중종의 부마로, 이황(李滉)ㆍ조식(曺植) 등과 교유하고, 시문(詩文)과 해서(楷書)에 뛰어남.
1517~15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송이암(宋頤菴) - 송인(宋寅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여산(礪山). 중종의 부마로, 이황(李滉)ㆍ조식(曺植) 등과 교유하고, 시문(詩文)과 해서(楷書)에 뛰어남.
1517~15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송인수(宋仁叟) - 송영구(宋英耉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천(鎭川)으로, 성혼(成渾)의 문인. 광해군 때 《선조실록(宣祖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고, 병조 참판(兵曹參判)으로 폐모론(廢母論)에 반대하다 파직됨.
1556~1620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익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일(松日) - 강섬(姜暹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강공망(姜公望)의 아들. 1546년(명종 1)에 증광시(增廣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전라도 관찰사(全羅道觀察使)ㆍ호조 판서(戶曹判書) 등을 지내고,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ㆍ《인종실록(仁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
1516~159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자(宋子) - 송옥(宋玉)@춘추전국(초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시인ㆍ대부. 굴원(屈原)의 제자로, 스승이 추방당하자 〈구변(九辨)〉과 〈초혼(招魂)〉을 지어 스승의 뜻을 나타냈으며, 중국 비추문학(悲秋文學)의 개조(開祖)로 알려짐.
B.C.290?~B.C.222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경대부
-
송자후(松滋侯) - 역현광(易玄光)
먹의 의인화된 명칭. 보통 소나무 재로 먹을 만들기 때문에 송자후(松滋侯)라 칭함. 종이의 저지백(楮知白), 붓의 모원예(毛元銳), 벼루의 석허중(石虛中)과 함께 문방사우(文房四友)로 일컬어짐.
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