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송재(悚齋) - 박영(朴英)@조선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ㆍ학자. 본관은 밀양(密陽). 무과(武科)에 급제했으나 학문에 전념함. 성리학(性理學)뿐만 아니라 역학(易學)ㆍ천문(天文)ㆍ의술(醫術)에도 조예가 깊었음.
1471~154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무신
-
송재(松齋)@노숙동 - 노숙동(盧叔仝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으로, 노언(盧焉)의 아들. 《자치통감훈의(資治通鑑訓義)》ㆍ《치평요람(治平要覽)》편찬에 참여하고, 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ㆍ경상도 관찰사(慶尙道觀察使)를 지냄.
1403~146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송재(松齋)@한충 - 한충(韓忠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주부(主簿) 한창유(韓昌愈)의 아들. 종계변무(宗系辨誣) 주청사(奏請使) 남곤(南袞)의 서장관(書狀官)이었으나 남곤의 미움을 받게 됨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유배되었다가 신사무옥(辛巳誣獄)에 연루되어 죽음.
1486~152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재(松齋)@이우 - 이우(李堣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진보(眞寶)로, 이황(李滉)의 숙부.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협력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고, 안동 부사(安東府使) 등을 지냄. 시에 뛰어났고, 최숙생(崔淑生) 등의 사류와 교유함.
1469~151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송재(松齋) - 권준(權準)
고려 충선왕(忠宣王)~충혜왕(忠惠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길창부원군(吉昌府院君) 권준(權準)의 아들.
1280~1352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재(松齋)@나세찬 - 나세찬(羅世纘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두 차례 장원급제로 문명(文名)을 떨쳤으며, 권신(權臣)을 서슴지 않고 탄핵하는 기개가 있었음.
1498~1551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재(松齋)@신자건 - 신자건(愼自健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거창(居昌). 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낸 신후갑(愼後甲)의 아들로,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 등을 지냈으나, 파직당한 뒤에는 교하(交河)로 내려가 서예에 전념함.
1443~152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교하 , 인명>관인>문신
-
송재(松齋)@남연록 - 남연록(南延祿)
조선 후기의 유학. 유성룡(柳成龍)의 문하생으로, 풍악서당(豐岳書堂)을 병산(屛山)으로 이건(移建)할 때 일을 담당함. 유성룡의 《서애집(西厓集)》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송재부군(松齋府君) - 이우(李堣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진보(眞寶)로, 이황(李滉)의 숙부.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협력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고, 안동 부사(安東府使) 등을 지냄. 시에 뛰어났고, 최숙생(崔淑生) 등의 사류와 교유함.
1469~151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송재사우(松齋祠宇) - 송재서원(松齋書院)
조선 숙종(肅宗) 때 전라도 나주(羅州)에 건립한 서원. 1702년(숙종 28)에 건립되었으며, 나세찬(羅世纘)ㆍ임형수(林亨秀)를 배향함.
170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송재선생유고(松齋先生遺稿) - 송재유고(松齋遺稿)
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나세찬(羅世纘)의 시문집(詩文集). 16세기 문인(文人)의 정치관과 사상이 잘 나타나 있음.
1777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송재시집(松齋詩集) - 송재유고(松齋遺稿)
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나세찬(羅世纘)의 시문집(詩文集). 16세기 문인(文人)의 정치관과 사상이 잘 나타나 있음.
1777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송재시집(松齋詩集)@이우 - 송재집(松齋集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인 이우(李堣)의 시문집. 원집 3권, 속집 3권, 별집 3권, 총 9권 3책. 목판본. 원집은 1584년(선조 17) 저자의 외종손(外從孫) 오운(吳澐), 속집은 1900년 12대손 이원로(李元魯), 별집은 1937년 후손 이종수(李鍾洙)에 의해 간행됨.
1584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문헌>서명
-
송재유집(松齋遺集) - 송재유고(松齋遺稿)
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나세찬(羅世纘)의 시문집(詩文集). 16세기 문인(文人)의 정치관과 사상이 잘 나타나 있음.
1777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송재집(松齋集)@나세찬 - 송재유고(松齋遺稿)
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나세찬(羅世纘)의 시문집(詩文集). 16세기 문인(文人)의 정치관과 사상이 잘 나타나 있음.
1777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송정(松亭)@김수 - 김수(金銖)
고려 후기~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. 고려말 과거에 급제하여 개성윤(開城尹)을 지냈고, 조선 건국 후 예조 판서(禮曹判書)를 지냄. 이색(李穡)ㆍ이숭인(李崇仁)과 교유하고, 천곡(川谷)에 녹봉서당(鹿峯書堂)을 짓고 유학에 정진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예천ㅣ경상도>성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송정(松亭)@신명인 - 신명인(申命仁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인. 김식(金湜)의 문인(門人)으로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조광조(趙光祖) 등 사림파의 구명을 위해 상소함. 정광필(鄭光弼)ㆍ안당(安瑭)ㆍ이장곤(李長坤)ㆍ김정(金淨)ㆍ조광조(趙光祖)ㆍ김식(金湜)ㆍ기준(奇遵) 등과 함께 팔현(八賢)이라 불림.
1492~?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문사>문인
-
송정(松亭)@김반 - 김반(金泮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강서(江西). 권근(權近)의 문인으로 경서에 정통하여 김구(金鉤)ㆍ김말(金末)과 함께 경학삼김(經學三金)으로 불림.
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강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송정(松亭)@노수성 - 노수성(盧守誠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송당(松堂) 박영(朴英)의 문인(門人)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송정(松亭) - 김광재(金光載)
고려 충선왕(忠宣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효성이 지극해 공민왕(恭愍王)이 그가 사는 마을을 영창방 효자리(靈昌坊孝子里)로 정표(旌表)함.
1294~1363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