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경감(耿弇)
중국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 때의 장군. 장보(張步)와 소무(蘇茂)를 평정하고, 3백 개의 성을 도륙(屠戮)함. 건위대장(建威大將)을 지내고, 호치후(好畤侯)에 봉해짐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경공(景公)@춘추전국(晉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의 제후. 병이 들었을 때 두 아이[二豎子]가 고황(膏肓)으로 들어가는 꿈을 꾸었는데, 의원이 병이 고황에 들어 고칠 수 없다고 하였으며, 그 후에 죽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경공(景公)@춘추전국(송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송(宋) 나라의 제후(諸侯). 재위 B.C.515~?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경공(景公)@춘추전국(채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채(蔡) 나라의 제후(諸侯). 재위 B.C.591~B.C.543.
?~B.C.543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경공(景公)@춘추전국(제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제(齊) 나라의 제후(諸侯). 재위 B.C.547~B.C.490.
?~B.C.490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경공(景公)@춘추전국(秦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秦) 나라의 제후. 재위 B.C.577~B.C.537. 환공(桓公)의 아들로, 환공의 장례를 천자의 예로 행함.
?~B.C.537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경광서원(鏡光書院)
조선 선조(宣祖) 때 경상북도 안동(安東) 서후면(西後面)에 건립한 서원. 배상지(裵尙志)ㆍ이종준(李宗準)ㆍ장흥효(張興孝) 등을 배향함.
156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경구기구전(京口耆舊傳)
중국 남송(南宋) 말기의 저작으로 추정되는 전기류(傳記類) 서책. 9권. 송(宋) 나라 초부터 남송 이종(理宗) 가희(嘉熙) 연간에 이르기까지 경구(京口) 지역의 명현(名賢)들의 사적을 수집하여 기록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경구주(耿九疇)
중국 명(明) 나라 성조(成祖)~영종(英宗) 때의 문신. 진사(進士)에 급제하여 남경(南京) 형부 상서(刑部尙書)를 지냄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경국대전(經國大典)
조선 세조(世祖) 때 편찬을 시작하여 성종(成宗) 때 완성된 조선시대 통치의 기본 법전. 조선 건국 전후부터 1484년(성종 15)에 이르기까지 약 100년간의 왕명ㆍ교지(敎旨)ㆍ조례(條例) 중 영구히 준수할 것을 모아 엮음. 6권 4책. 인본(印本).
1485 한국>조선전기 , 법제>법률ㅣ문헌>서명
-
경기(京畿)
한반도 중앙의 서쪽에 위치한,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도(道) 이름. 조선시대 팔도(八道)의 하나.
경기도 , 지명>행정지명
-
경기우도(京畿右道)
고려 후기~조선 전기에 경기도를 분할하여 동쪽에 설치하였던 여러 고을의 통칭. 1390년(공양왕 2)에 경기좌우도(京畿左右道)로 나눔.
1390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지명>행정지명
-
경기전(慶基殿)
조선 태종(太宗) 때 태조(太祖)의 어진(御眞)을 봉안하기 위해 전라도 전주에 건립한 묘사(廟祠). 1410년(태종 10)에 어용전(御容殿)을 세우고 1442년(세종 2)에 이름을 경기전으로 고침. 1771년(영조 47)에는 조경묘(肇慶廟)를 세워 이한(李翰) 부부의 신위를 봉안함.
141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유적>건물>사당
-
경기좌도(京畿左道)
고려 후기~조선 전기에 경기도를 분할하여 서쪽에 설치하였던 여러 고을의 통칭. 1390년(공양왕 2)에 경기좌우도(京畿左右道)로 나눔.
1390 한국>조선시대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 , 지명>행정지명
-
경녕군(敬寧君)
조선 제3대 태종(太宗)의 첫 번째 서자. 효빈김씨(孝嬪金氏)의 소생으로, 천성이 어질고 학문에 밝았으며, 태종부터 세조(世祖) 때에 이르기까지 충성을 다하여 국정과 왕실을 위해 헌신함.
1395~145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경녕옹주(慶寧翁主)
고려 26대 충선왕(忠宣王)에게 재가(再嫁)한 순비허씨(順妃許氏)가 전 남편 평양공(平陽公) 왕현(王眩)과의 사이에서 낳은 넷째 딸. 경양군(慶陽君) 노책(盧頙)과 혼인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공주
-
경눌(敬訥)
조선 전기의 승려. 김정(金淨)이 그에게 써 준 시(詩)가 《충암집(冲庵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경대승(慶大升)
고려 의종(毅宗)~명종(明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1179년(명종 9) 무신정권기의 집권 무신인 정중부(鄭仲夫)․송유인(宋有仁) 등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했으며, 사적 무력집단인 도방(都房)을 두어 정권유지의 바탕을 마련함.
1154~1183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무신
-
경덕사(景德祠)
조선 후기에 강원도 통천(通川)에 세운 사우(祠宇). 정구(鄭逑)를 배향함.
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통천 , 유적>건물>사당
-
경덕왕(景德王)
신라 제35대 왕. 재위 742~765년. 성덕왕(聖德王)의 아들이며 효성왕(孝成王)의 동생. 왕권강화를 위해 제도와 관직을 중국식으로 고치고 유학교육에 힘썼으며, 석굴암(石窟庵)ㆍ불국사(佛國寺) 등을 창건하여 불교 중흥에 이바지함.
?~765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