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수(琇)@정수 - 정수(鄭琇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동래(東萊). 정유인(鄭有仁)의 아들이며, 목사(牧使) 정희홍(鄭希弘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문사>유학
-
수(琇) - 왕수(王琇)
고려 후기의 종친. 예성부원대군(蘂城府院大君) 왕온(王昷)의 셋째 아들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종친
-
수(琇)@안수 - 안수(安琇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울진 훈도(蔚珍訓導)를 지낸 안처정(安處貞)의 아들로, 사간원 정언(司諫院正言)ㆍ사섬시 첨정(司贍寺僉正) 등을 역임하였음.
1489~154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수(璲) - 안수(安璲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안처명(安處明)의 아들로, 1549(명종 4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홍문관 박사(弘文館博士) 등을 지냄.
1521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(睟)@김수 - 김수(金睟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선조 때 《십구사략(十九史略)》을 개수(改修)하여 주를 붙임.
1547~161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수(睟) - 이수(李睟)
조선 후기의 종친. 덕양군(德陽君) 이기(李歧)의 손자이며 풍산군(豊山君) 이종린(李宗麟)의 둘째 아들. 임진왜란 이후 《선원록(璿源錄)》의 보수에 참여하고, 1617년(광해군 9)에 종친을 모아 이이첨(李爾瞻)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으며,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인조(仁祖)를 호종함.
1569~164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수(秀) - 박수(朴秀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판전교시사(判典校寺事) 박상충(朴尙衷)의 아버지로, 밀직부사(密直副使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(秀)@이수 - 이수(李秀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인천(仁川). 김일손(金馹孫)과 금란계(金蘭契)를 결성하여 교유하였으며, 금천도 찰방(金泉道察訪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인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수(穗)@이인민의아들 - 이수(李穗)@이인민의아들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로, 성산부원군(星山府院君) 이인민(李仁敏)의 아들이자, 호조 판서(戶曹判書)를 지낸 이견기(李堅基)의 아버지. 동지총제(同知摠制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(穗)@구수복의장인 - 이수(李穗)@구수복의장인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종친. 병암(屛菴) 구수복(具壽福)의 장인으로, 무과(武科)에 급제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수(穗) - 노수(盧穗)
중국 당(唐) 나라 말기의 문신. 한림학사(翰林學士) 등을 지냈으며, 당 나라 말의 난리를 피해 아홉 아들 및 팔학사(八學士)와 함께 신라(新羅)에 귀화하였다 함. 우리나라 노씨(盧氏)의 도시조(都始祖).
중국>당ㅣ한국>통일신라 , 중국ㅣ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수(粹)@김수 - 김수(金粹)
조선 전기의 유학. 진사(進士) 김경운(金慶雲)의 아버지로, 주세붕(周世鵬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수(粹) - 이수(李粹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 이보(李𥙷)의 증손이며, 물거군(勿巨君) 이철(李徹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수(綏) - 곡백(穀伯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제후의 한 사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수(綏)@김수 - 김수(金綏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광산(光山)으로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 1525년(중종 20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으며, 무예에도 뛰어났음.
1491~155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수(綏)@이수 - 이수(李綏)
조선 전기의 종친. 숭선군(嵩善君) 이총(李𤄓)의 손자이고, 연창군(延昌君) 이학수(李鶴壽)의 장남. 음악을 좋아하여 훈(壎)과 저(箸)를 잘 연주함.
1527~1588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수(脩)@김수 - 김수(金脩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김세묵(金世黙)의 아들로, 김세정(金世靜)에게 출계(出系)함. 1572년(선조 5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 학유(學諭) 등을 지냈고, 송암(松巖) 권호문(權好文)과 교유함.
1553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ㅣ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수(脩) - 구양수(歐陽脩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문인. 한유(韓愈)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고문(古文) 부흥에 힘씀. 추밀부사(樞密副使)ㆍ참지정사(參知政事) 등을 지냄.
1007~107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수(脩)@한수 - 한수(韓脩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서예가. 이제현(李齊賢)에게 경사(經史)와 서법(書法)을 배우고, 이색(李穡)ㆍ이숭인(李崇仁) 등과 교유하였으며, 찬화공신(贊化功臣)에 책록됨. 지행과 식견이 뛰어나고, 특히 글씨에 능하여 많은 필적을 남김.
1333~1384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수(脩)@변수 - 변수(邊脩)
조선 중중(中宗) 때의 무신. 중종반정(中宗反正)의 공으로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녹훈되고 원천군(原川君)에 봉해짐.
1447~1524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