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수(遂) - 공수(龔遂)
중국 한(漢) 나라의 문신. 발해군(渤海郡) 난민(亂民)을 잘 다스려 양민(良民)으로 만들어서, 백성을 잘 다스린 관리의 전형으로 칭송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수(遂)@노수 - 노수(盧遂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주(光州). 노응세(盧應世)의 아들로, 김대유(金大有)에게 수학하고 이황(李滉)을 사사하였으며, 김응생(金應生)ㆍ정윤량(鄭允良) 등과 함께 영천(永川)에 임고서원(臨皐書院)을 창건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문사>학자
-
수(遂)@소수 - 소수(蘇遂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소세양(蘇世讓)의 아들. 음사(蔭仕)로 면천 군수(沔川郡守)를 지냄.
1517~159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익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수(銖) - 김수(金銖)
고려 후기~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. 고려말 과거에 급제하여 개성윤(開城尹)을 지냈고, 조선 건국 후 예조 판서(禮曹判書)를 지냄. 이색(李穡)ㆍ이숭인(李崇仁)과 교유하고, 천곡(川谷)에 녹봉서당(鹿峯書堂)을 짓고 유학에 정진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예천ㅣ경상도>성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수(鐩) - 심수(沈鐩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청송(靑松). 통례원 좌통례(通禮院左通禮)를 지낸 심달원(沈達源)의 아들이자 심자(沈鎡)ㆍ심전(沈銓)의 동생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송 , 인명>문사>유학
-
수(隨) - 김수(金隨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낙안(樂安). 전객령(典客令)을 지낸 김남정(金南正)의 아들. 복재(復齋) 정총(鄭摠)의 장인으로, 문예가 뛰어났고, 낙천군(樂川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낙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수(需)@고려전기 - 김수(金需)@고려전기
고려 전기의 문신. 상산김씨(商山金氏)의 시조. 보윤(甫尹)을 지냈고 상산군(商山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(需) - 이수(李需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예부 시랑(禮部侍郞) 등을 역임하였고, 이규보(李奎報)와 매우 절친하였으며, 당시 문장으로 명성이 높아 《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集)》의 서문(序文)을 씀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수(需)@고려후기 - 김수(金需)@고려후기
고려 말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판예빈시사(判禮賓寺事) 월성부원군(月城府院君) 김천서(金天瑞)의 아들로, 정종(定宗)의 비(妃)인 순덕대비(順德大妃)의 오빠.
1338~140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(須) - 김수(金須)
고려 원종(元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문정공(文正公) 김태현(金台鉉)의 아버지로, 삼별초(三別抄)를 토벌하다가 제주(濟州)에서 전사함.
?~1271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수(須)@조수 - 조수(趙須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양(平壤)으로, 찬성사(贊成事) 조호(趙瑚)의 아들. 학문에 정진하여 명성이 높고, 세종 때 성균관 사예(司藝)로 서용되어 집현전 학사를 지도함.
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평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수(首) - 흥수(興首)
백제 의자왕(義慈王) 때의 문신. 좌평(佐平)을 지냈으나 죄를 지어 고마미지현(古馬彌知縣)으로 귀양 감. 당(唐) 나라와 신라의 연합군이 백제를 침공하자 계책을 간언(諫言)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음.
한국>백제 , 전라도>장흥 , 인명>관인>문신
-
수(首)@강수 - 강수(强首)
통일신라 태종무열왕(太宗武烈王)~문무왕(文武王) 때의 학자ㆍ문인. 유교 관료적 소양을 지닌 당대 최고의 문장가로서 외교문서인 〈청방인문표(請放仁問表)〉ㆍ〈답설인귀서(答薛仁貴書)〉가 전함. 외교문서로써 삼국통일에 공을 세웠다 하여 사찬(沙飡)의 관등을 받음.
?~692 한국>통일신라 , 충청도>충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수(𢢝) - 완원군(完原君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세 번째 서자. 숙의홍씨(淑儀洪氏)의 소생.
1480~150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수가(秀家) - 우희다수가(宇喜多秀家)
일본 도산시대(桃山時代)~강호시대(江戶時代) 때의 무신. 풍신수길(豊臣秀吉)의 부하로, 임진왜란 때 행주(幸州) 싸움에서 대패하고, 정유재란 때 남원(南原)ㆍ전주(全州)를 점령하였다가 퇴각함.
1573~1655 일본>강호시대ㅣ일본>도산시대 , 일본 , 인명>관인>무신
-
수가(粹可) - 정이오(鄭以吾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정신중(鄭臣重)의 아들로 이색(李穡)ㆍ정몽주(鄭夢周) 등과 교유하고, 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 등을 지냈으며, 《태조실록(太祖實錄)》편찬에 참여함.
1347~143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강(壽剛) - 이수강(李壽剛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서자인 완원군(完原君) 이수(李𢢝)의 아들이며 의천군(義泉君) 이인(李仁)의 아버지로, 이성군(伊城君)에 봉해짐.
1503~154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수강(壽岡) - 곽수강(郭壽岡)
조선 효종(孝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현풍(玄風). 1654년(효종 5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고 1658년 성균관에 들어가 경의(經義)를 연구하였으나, 대과(大科) 응시 전에 죽었음.
1619~166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문사>유학
-
수강(壽崗) - 정수강(丁壽崗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중종반정 때 다시 등용되어 정국원종공신(靖國原從功臣)에 책록됨. 동지중추부사 등을 지내고, 저서로 《월헌집(月軒集)》이 있음.
1454~152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수강(守剛) - 옥수강(玉守剛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반성(班城). 선조(宣祖) 때의 유학인 옥광형(玉光亨)의 아버지로, 포천 훈도(抱川訓導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