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수강(守綱) - 정수강(鄭守綱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온양(溫陽). 연풍 현감(延豐縣監) 정이손(鄭二孫)의 아들이며, 온계군(溫溪君) 정유(鄭裕)의 아버지로, 통진 현감(通津縣監)을 지내고, 이조 참판(吏曹參判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수강(秀岡) - 윤수강(尹秀岡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파평(坡平). 영천군(鈴川君) 윤반(尹磻)의 맏아들이며, 상당부원군(上黨府院君) 한명회(韓明澮)의 외손자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수검(守儉) - 박수검(朴守儉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의흥(義興). 박경심(朴景諶)의 아들이고, 조석윤(趙錫胤)ㆍ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으로, 통례원 좌통례(通禮院左通禮)를 지냄.
1629~1698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제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수견(壽堅) - 계성군(桂城君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첫 번째 서자. 숙의(淑儀) 하씨(河氏)의 소생으로, 총명하고 영특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.
1478~150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수견(守堅) - 박수견(朴守堅)
조선 전기의 효자. 본관은 밀양(密陽). 점필재(佔畢齋)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효행(孝行)으로 참봉(參奉)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. 친상(親喪)에 시묘 3년 후에도 묘소를 떠나지 않자 고을 사람들이 묘소 앞에 모선정(慕先亭)을 짓고 그 일대를 모선(慕先)이라고 불렀다는 일화가 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기타인명>효자
-
수겸(守謙)@김수겸 - 김수겸(金守謙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언양(彦陽). 공조 좌랑(工曹佐郞)을 지낸 김연(金埏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문사>유학
-
수겸(守謙) - 신수겸(愼守謙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거창(居昌). 거창부원군(居昌府院君) 신승선(愼承善)의 아들이며, 연산군(燕山君)의 비(妃) 거창(居昌) 신씨(愼氏)의 동생. 개성 유수(開城留守)로 부임하였다가 중종반정(中宗反正) 후에 임지에서 피살됨.
?~150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창 , 인명>관인>문신
-
수겸(守謙)@임수겸 - 임수겸(林守謙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음(安陰)으로, 부제학(副提學)ㆍ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ㆍ대사성(大司成) 등을 지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음 , 인명>관인>문신
-
수경(壽卿) - 강수경(姜壽卿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진주(晉州). 임득번(林得蕃)의 장인으로, 영숭전 참봉(永崇殿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경(守慶)@한수경 - 한수경(韓守慶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평난공신(平難功臣) 한준(韓準)의 아버지로, 돈녕부 도정(敦寧府都正)을 지냄.
?~1600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경(守慶) - 심수경(沈守慶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팔도의 관찰사(觀察使)를 지내고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되었으며 우의정에 이름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삼도 체찰사(三道體察使)가 되어 의병을 모집함.
1516~159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수경(守經) - 박수경(朴守經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조지서 별좌(造紙署別坐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수경(水鏡) - 영철(瑩徹)
조선 전기의 승려. 상관음(上觀音)의 주지로 김정(金淨)과 교유하여 《충암집(冲庵集)》에 〈제철시권(題徹詩卷)〉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수경(秀卿)@김팔원 - 김팔원(金八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주세붕(周世鵬)ㆍ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예조 좌랑(禮曹佐郞)ㆍ용궁 현감(龍宮縣監) 등을 지냄.
1524~1589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수경(秀卿) - 이예(李芮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성(陽城). 집현전 박사(集賢殿博士)로 있을 때 세종의 총애를 받고, 《의방유취(醫方類聚)》ㆍ《고려사(高麗史)》등의 편찬에 참여함. 형조 판서 등을 지내고, 학식ㆍ문명이 높아 명망을 떨침.
1419~1480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수경(秀涇) - 신수경(申秀涇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영천위(靈川尉) 신의(申檥)의 아버지로, 여주 목사(驪州牧使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수경(首慶) - 이수경(李首慶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영부(李英符)의 아들로, 홍문관 교리(弘文館校理) 등을 지냄. 을사사화(乙巳士禍)에 연루되어 온성(穩城)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후 고향에서 유유자적함.
1516~156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경선생(水鏡先生) - 사마휘(司馬徽)
중국 후한(後漢)의 은자. 유현덕(劉玄德)이 사마휘에게 인재를 추천하여 주기를 청하였는데, 제갈량(諸葛亮)ㆍ방통(龐統)을 추천함. 제갈량(諸葛亮)ㆍ서서(徐庶) 등과 종유하며 은거생활을 하였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수계(壽誡) - 이수계(李壽誡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여섯 번째 서자인 견성군(甄城君) 이돈(李惇)의 둘째 아들로, 견성군이 역모 혐의로 귀양 갔을 때 중종(中宗)의 권유로 회산군(檜山君) 이염(李恬)의 양자가 됨.
1501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수계(須溪) - 유진옹(劉辰翁)
중국 송(宋) 말~원(元) 초의 문신ㆍ시인. 저서로는 《수계집(須溪集)》이 있으며, 《세설신어(世說新語)》에 평점을 찍어 소설 평점의 효시를 이루었음.
1232~129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