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수곡(守谷) - 이찬(李澯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중종 때 이임(李任) 등을 탄핵한 일로 부여(扶餘)에 유배되었다가 사면된 뒤 집의(執義)ㆍ시강관(侍講官) 등을 지냄.
1498~155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수곡(睡谷) - 이여(李畬)@1645
조선 현종(玄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이식(李植)의 손자로, 청요직(淸要職)을 두루 역임하다가 기사환국(己巳換局) 때에 면직되었으며, 갑술환국(甲戌換局)에 적극 참여하여 형조 참판(刑曹參判)에 발탁되고, 영의정 등을 역임함.
1645~1718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곤(壽崑) - 정수곤(丁壽崑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소격서 영(昭格署令)을 지낸 정자급(丁子伋)의 아들로, 월헌(月軒) 정수강(丁壽崗)의 형. 1472년(성종 3) 춘당대시(春塘臺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한 후 공조 좌랑(工曹佐郞)ㆍ승문원 교리(承文院校理) 등을 지냄.
1452~1486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배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수곤(壽鵾) - 이수곤(李壽鵾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아들인 익양군(翼陽君) 이회(李懷)의 첫째 서자이며 장양부정(長陽副正) 이주(李儔)의 아버지로, 단천부정(丹川副正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수공(守恭) - 이수공(李守恭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전한(典翰) 등을 지냄. 무오사화(戊午士禍)로 창성(昌城)과 광양(光陽)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후, 갑자사화 때 참살당함.
1464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관(守官) - 왕수관(王守官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무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요동광녕진수총병관(遼東廣寧鎭守總兵官) 양응훈(楊應勳) 소속의 구원병으로 참전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수광(睟光) - 이수광(李睟光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내고, 사신으로 여러 차례 명(明) 나라에 왕래하면서 천주교 지식과 서양 문물을 소개하여 실학(實學) 발전의 선구자가 됨.
1563~1628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수광(隋廣) - 양제(煬帝)
중국 수(隋) 나라의 제2대 황제. 재위 604~618. 문제(文帝)의 둘째 아들로 형과 아버지를 살해하고 즉위함. 만리장성을 수축하고, 고구려를 침공했다가 대패함.
569~618 중국>수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수구문(水口門) - 광희문(光熙門)
조선 태조(太祖) 때 건립한 사소문(四小門)의 하나. 흥인지문(興人之門)과 숭례문(崇禮門) 사이에 있던 동남간문(東南間門)으로, 소의문(昭義門)과 함께 시신(屍身)을 성 밖으로 운반하는 통로 구실을 함.
139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수구재(守口齋) - 주맹헌(周孟獻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인. 본관은 상주(尙州)로, 주세붕(周世鵬)의 현손이자, 주진원(周震元)의 아들. 허목(許穆)ㆍ조임도(趙任道)에게 수학하고 학문에 힘썼으며, 덕연서원(德淵書院)을 중건하여 사액(賜額)을 받음.
1617~170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문인
-
수국공(隋國公) - 양충(楊忠)
중국 남북조시대 서위(西魏)와 북주(北周)의 장군. 12대장군(十二大將軍)의 한 사람이며, 수(隋) 나라 문제(文帝)의 아버지로, 무원황제(武元皇帝)로 추존됨.
507~568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수근(守勤) - 신수근(愼守勤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거창(居昌). 거창부원군(居昌府院君) 신승선(愼承善)의 아들. 연산군(燕山君)의 비(妃)인 거창(居昌) 신씨(愼氏)의 동생이자, 중종(中宗)의 비(妃)인 단경왕후(端敬王后)의 아버지. 좌의정(左議政)을 지냈으나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반대하다 피살됨.
1450~150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창 , 인명>관인>문신
-
수기(修其) - 박제가(朴齊家)
조선 정조(正祖)~순조(純祖) 때의 실학자. 시문 사대가(詩文四大家)의 한 사람으로, 박지원(朴趾源)ㆍ이덕무(李德懋)ㆍ유득공(柳得恭) 등과 함께 북학파(北學派)를 이룸. 저서에 《북학의(北學議)》ㆍ《정유고략(貞蕤稿略)》 등이 있음. 춘당대 무과(春塘臺武科)에 장원하여 오위장(五衛將)ㆍ영평 현감(永平懸監) 등을 지냄.
1750~180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ㅣ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무신
-
수기(壽祺) - 이수기(李壽祺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(益陽君) 이회(李懷)의 아들로, 전성군(全城君) 이변(李忭)에게 출계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수기(壽麒) - 이수기(李壽麒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여섯 번째 서자인 희령군(熙寧君) 이타(李袉)의 증손이자, 창원군(昌原君) 이혜(李潓)의 아들이며, 우언겸(禹彦謙)의 사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수길(受吉) - 정노겸(鄭勞謙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문익공(文翼公) 정광필(鄭光弼)의 아들로, 남부 주부(南部主簿)를 지냄.
1484~152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수길(秀吉)@풍신수길 - 풍신수길(豊臣秀吉)
일본 전국시대(戰國時代)~도산시대(桃山時代)의 무장(武將). 16세기에 직전신장(織田信長)의 뒤를 이어 일본의 전국 통일을 이룩하고, 조선을 침략해 임진왜란을 일으킴.
1536~1598 일본>도산시대ㅣ일본>전국시대 , 일본 , 인명>관인>무신
-
수길(秀吉) - 이경윤(李慶胤)
조선 전기의 종친ㆍ화가. 청성군(靑城君) 이걸(李傑)의 맏아들이며, 이중윤(李仲胤)ㆍ이영윤(李英胤)의 형. 그림을 잘 그리고, 특히 산수인물화(山水人物畵)에 뛰어남. 조선 중기 화단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사람으로 절파화풍의 정착에도 큰 역할을 함.
1545~1611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왕실>종친
-
수남(壽男)@이함장의아들 - 이수남(李壽男)@이함장의아들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예조 참판 이함장(李諴長)의 아들.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었고, 사은사(謝恩使)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온 뒤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가 되었으나 과음하여 32세로 요절함.
1439~147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수남(壽男)@이현의아들 - 이수남(李壽男)@이현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맏아들인 양녕대군(讓寧大君) 이제(李禔)의 증손이며, 호산군(湖山君) 이현(李鉉)의 아들로, 노사신(盧思愼)의 손녀사위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