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수남(粹南) - 김양중(金陽仲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금성(錦城)으로, 통훈대부(通訓大夫) 김우운(金祐雲)의 손자. 교수(敎授)를 지냈고, 《송재유고(松齋遺稿)》에 묘표(墓表)가 실려 있음.
1487~154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년(守年) - 이수년(李守年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정주(貞州)로, 사재경(司宰卿)을 지낸 이세화(李世華)의 둘째 아들. 안경부 녹사(安慶府錄事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수노인(壽老人) - 남극노인성(南極老人星)
남반구(南半球)의 용골(龍骨) 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. 고대에는 사람의 수명을 맡아보는 별이라 하여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으며, 이 별이 나타나면 나라가 편안해지고 군왕이 장수한다고 여겨 제단(祭壇)을 설치하여 제사를 지냄.
자연물>천체
-
수능엄경(首楞嚴經) - 능엄경(楞嚴經)
불교의 대승경전. 10권. 705년 인도의 승려 반랄밀제(般剌蜜帝)에 의해 한역되어 당(唐) 나라에 전래됨. 밀교부에 속해있으나 선정(禪定)을 설하여 선종의 소의경전(所衣經典)이 됨.
기타지역 , 문헌>서명
-
수능엄삼매경(首楞嚴三昧經) - 능엄경(楞嚴經)
불교의 대승경전. 10권. 705년 인도의 승려 반랄밀제(般剌蜜帝)에 의해 한역되어 당(唐) 나라에 전래됨. 밀교부에 속해있으나 선정(禪定)을 설하여 선종의 소의경전(所衣經典)이 됨.
기타지역 , 문헌>서명
-
수담(壽聃) - 구수담(具壽聃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인해 파직되었다가 복직된 뒤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냈으나, 1550년(명종 5)에 윤원형(尹元衡)의 계략에 의해 사사됨. 언관으로서 기묘명현들의 신원의 길을 열어놓음.
1500~155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수대(綉帶) - 모란(牡丹)
작약과(芍藥科)에 속하는 낙엽관목(落葉灌木). 예로부터 꽃 중의 제일이라 하여 꽃의 왕으로 일컬어졌으며, 부귀(富貴)를 상징함. 설총(薛聰)의 〈화왕계(花王戒)〉로 유명함.
자연물>식물
-
수덕(守德) - 정수덕(鄭守德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한성 판윤(漢城判尹) 정지례(鄭之禮)의 아들이며, 돈녕부 도정(敦寧府都正) 정세현(鄭世賢)의 아버지로, 석성 현감(石城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덕(樹德)@최자 - 최자(崔滋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우복야(右僕射)를 지낸 최민(崔敏)의 아들. 문장이 뛰어나 이규보(李奎報)의 후계자로 추천되고, 수태사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(守太師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)를 지냄.
1188~1260 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덕(樹德) - 이자(李滋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세우(李世佑)의 아들로, 《성종실록(成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 무오사화(戊午士禍)가 일어나자 연산군에게 자주 풍간(諷諫)한 일로 화가 미칠 것을 예감하고 이듬해에 과음한 뒤 죽음.
1466~1499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덕(樹德)@이천 - 이천(李仟)
고려 후기의 무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보승 별장(保勝別將) 이순(李順)의 아들로, 응양군 대장군(鷹揚軍大將軍)ㆍ문하평장사(門下平章事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무신
-
수도(守道)@최수도 - 최수도(崔守道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충주(忠州). 사간원 정언(司諫院正言)을 지낸 최정호(崔挺豪)의 아버지로, 좌승지(左承旨)에 추증됨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수도(守道)@석개 - 석개(石介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부모상을 당하여 조래산(徂徠山)에서 농사를 짓고, 후에 국자감 직장(國子監直長) 등을 지냄. 《괴설중국론(怪說中國論)》을 지어 불가(佛家)와 노가(老家)의 설을 비판함.
1003~104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수도(守道) - 박사호(朴士豪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. 황정욱(黃廷彧)의 《지천집(芝川集)》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함경도>길성 , 인명>문사>유학
-
수동(壽同) - 인동(仁同)
경상도 남서부에 있던 고을 이름. 성주(星州)ㆍ개령(開寧)과 접해 있음. 적개공신(敵愾功臣) 장말손(張末孫) 등을 배출하였으며, 길재(吉再)를 배향한 오산서원(吳山書院)과 장현광(張顯光)을 배향한 동락서원(東洛書院)이 있음. 현재는 경상북도 구미시(龜尾市)에 속함.
경상도>인동 , 지명>행정지명
-
수동(壽童) - 김수동(金壽童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하여 영가부원군(永嘉府院君)에 봉해졌으며, 삼포왜란(三浦倭亂)을 진압함.
1457~151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수동(壽童)@이수동 - 이수동(李壽童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제주 목사(濟州牧使) 때 감귤 밭을 지키는 방호소(防護所)를 증설하였으며, 개성 유수(開城留守) 때 정몽주(鄭夢周)의 충신비(忠臣碑)를 건립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수락잠(水落岑) - 수락산(水落山)
경기도 양주(楊州)에 있는 산. 사적으로 쌍암사(雙岩寺)ㆍ석림사(石林寺)ㆍ계림암(鷄林庵)ㆍ흥국사(興國寺) 등이 있음. 지금은 서울시 노원구(蘆原區), 경기도 의정부시(議政府市)ㆍ남양주시(南楊州市)에 속함.
경기도>양주 , 지명>자연지명
-
수량(守良) - 박수량(朴守良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태인(泰仁). 한성부 판윤(漢城府判尹)ㆍ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내고,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ㆍ《인종실록(仁宗實錄)》의 편찬에 참여함. 청렴결백하여 청백리에 뽑힘.
1491~155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수량(秀良) - 황수량(黃秀良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평해(平海). 이황(李滉)의 문인이며 금계(錦溪) 황준량(黃俊良)의 아우. 황준량 사후(死後)에 유집(遺集)을 수습하여 퇴계(退溪)에게 편차(編次)를 부탁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