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수량(遂良)@저수량 - 저수량(褚遂良)
중국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서예가. 태종의 총신으로 애주 자사(愛州刺史) 등을 지냈으나, 고종에게 간언(諫言)하다 죽임을 당함. 우세남(虞世南)ㆍ구양순(歐陽詢)과 함께 당 나라 초기의 명필(名筆)로 꼽힘.
596~658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수량(遂良) - 기저(奇褚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기축(奇軸)의 아들로, 1490년(성종 21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 부사(府使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수량(遂良)@박수량 - 박수량(朴遂良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파직되어 강릉(江陵)으로 돌아가 시와 술로 여생을 보냄.
1475~1546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수련(壽鍊) - 이수련(李壽鍊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(景明君) 이침(李忱)의 둘째 아들로, 선조(宣祖) 때 안남군(安南君)에 추증됨.
1520~156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수련(守蓮) - 김수련(金守蓮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김해(金海). 덕천 군수(德川郡守)를 지낸 김이상(金履祥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문사>유학
-
수령(壽苓) - 이수령(李壽苓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보(眞寶). 송재(松齋) 이우(李堣)의 아들로, 찰방(察訪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보 , 인명>관인>문신
-
수령(壽齡)@손수령 - 손수령(孫壽齡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밀양(密陽). 손억(孫億)의 아들이며, 호조 정랑(戶曹正郞) 손창(孫昌)의 아버지로, 성균관 생원(成均館生員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유학
-
수령(壽齡) - 이수령(李壽齡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(景明君) 이침(李忱)의 맏아들이며 안남군(安南君) 이수련(李壽鍊)의 형으로, 안성군(安城君)에 봉해짐.
1516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수령(壽寧) - 김수령(金壽寧)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《국조보감(國朝寶鑑)》ㆍ《동국통감(東國通鑑)》ㆍ《세조실록(世祖實錄)》ㆍ《예종실록(睿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 경사(經史)에 밝고 문장이 뛰어났음.
1436~147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수령천(遂寧川) - 예양강(汭陽江)
전라도 장흥(長興)의 가지산(迦智山)에서 흘러 나와 동남쪽으로 흘러 강진(康津)을 거쳐 바다로 흘러드는 강.
전라도>장흥ㅣ전라도>강진 , 지명>자연지명
-
수례(壽禮) - 이수례(李壽禮)
조선 전기의 종친. 예종(睿宗)의 둘째 아들 제안대군(齊安大君) 이현(李琄)이 후사가 없이 죽자, 중종(中宗)의 명으로 그의 상례(喪禮)를 주관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수례(守禮) - 갈수례(葛守禮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좌도어사(左都御史)를 지내면서 당시 양박(楊博)과 함께 깨끗한 절조와 두터운 신망을 지닌 명신(名臣)으로 알려짐.
?~1578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수로(秀老) - 이창근(李昌根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원영(李源英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합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수록(綏祿) - 이수록(李綏祿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이극강(李克綱)의 아들이자 이경여(李敬輿)의 아버지. 이원익(李元翼)ㆍ정엽(鄭曄) 등과 교유하고, 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 등을 지냄. 1617년(광해군 9) 인목대비(仁穆大妃)의 폐모론이 대두하자 사직하고 슬퍼하다 죽음.
1564~162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수뢰루인(水雷累人) - 심희수(沈喜壽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송(靑松). 인순왕후(仁順王后)의 종제이자 노수신(盧守愼)의 문인. 좌의정(左議政)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 때 폐모론(廢母論)이 일자 은거함. 저서로 《일송집(一松集)》이 있음.
1548~162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송 , 인명>관인>문신
-
수륙정사(水陸精社) - 오대사(五臺寺)
고려 인종(仁宗) 때 진억선사(津億禪師)가 지리산(智異山)의 남쪽에 건립한 사찰. 무량수불(無量壽佛)를 모심.
1129 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진주 , 유적>건물>사찰
-
수륜(守倫) - 조수륜(趙守倫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양(豐壤). 성혼(成渾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, 동문들과 함께 《우계집(牛溪集)》을 편집ㆍ출간함. 평택 현감(平澤縣監) 등을 지냈으나, 신율(申慄)의 역옥(逆獄)에 연루되어 옥사(獄死)함.
1555~161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수륜(秀崙) - 윤수륜(尹秀崙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파평(坡平). 영천군(鈴川君) 윤반(尹磻)의 둘째 아들이며, 상당부원군(上黨府院君) 한명회(韓明澮)의 외손자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수릉(首陵) - 수로왕(首露王)
금관가야(金官伽倻)의 시조. 재위 42~199. 관직을 정비하고 도읍을 정하여 국가의 기틀을 확립함. 《삼국유사(三國遺事)》〈가락국기(駕洛國記)〉에 탄생과 치적에 관한 기사가 전함. 김해김씨(金海金氏)의 시조.
?~199 한국>가야 , 경상도>김해 , 인명>왕실>국왕
-
수린(壽藺) - 수린(秀藺)
일본 실정시대(室町時代) 때의 승려. 1465년(세조 11) 조선에 와서 세조(世祖)에게 받은 서계(書契)ㆍ예폐(禮幣)를 가지고 돌아가 왜왕(倭王)에게 전달함.
일본>실정시대 , 일본 , 인명>종교인>승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