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수린(壽麟)@신수린 - 신수린(申壽麟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산(平山). 중종(中宗) 때 영의정을 지낸 성희안(成希顔)의 매제(妹弟). 소세양(蘇世讓)의 《양곡집(陽谷集)》에 묘갈명(墓碣銘)이 실려 있음.
1477~1546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수린(壽麟) - 이수린(李壽麟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(益陽君) 이회(李懷)의 셋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수림(壽林)@고려 - 이수림(李壽林)@고려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전법총랑(典法摠郞) 이달존(李達尊)의 아들. 군부 판서(軍簿判書)ㆍ이부 판서(吏部判書) 등을 지냄. 공민왕을 적극 지지하였으나, 배원정책(排元政策)의 와중에 노은(盧訔)의 일파로 몰려 죽음을 당함.
?~1369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림(壽林)@조선 - 이수림(李壽林)@조선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장수(長水)로, 생원(生員) 이상경(李商卿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수 , 인명>문사>유학
-
수림(秀林) - 박수림(朴秀林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읍취헌(挹翠軒) 박은(朴誾)의 조부(祖父)로, 교하 현감(交河縣監) 등을 역임함.
1419~147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수만(壽曼) - 여공(厲公)@춘추전국(晉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의 제후. 경공(景公)의 아들로, 정(鄭) 나라와 초(楚) 나라를 격퇴하여 위세를 떨쳤으나, 교만하고 포악하여 무도한 짓을 자행하다가 대부 난서(欒書)와 순언(荀偃) 등에게 붙잡혀 죽임을 당함.
?~B.C.573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수만(壽萬) - 조수만(趙壽萬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함안(咸安). 생육신(生六臣) 중 한 사람인 조려(趙旅)의 손자로, 부친인 조금호(趙金虎)보다 먼저 요절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문사>유학
-
수명인복자예황태후(壽明仁福慈睿皇太后) - 공성인열양황후(恭聖仁烈楊皇后)
중국 송(宋) 나라의 제13대 영종(寧宗)의 비(妃). 의남매 사이인 양차산(楊次山)ㆍ예부 시랑(禮部侍郎) 사미원(史彌遠)과 결탁하여 권력을 잡아 이종(理宗)을 세우고 태후(太后)가 됨.
1162~123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수몽(守夢) - 정엽(鄭曄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성혼(成渾)ㆍ이이(李珥)의 문인. 황주 판관(黃州判官)으로서 왜군을 격퇴한 공으로 중화 부사(中和府使)가 됨. 대사성(大司成)으로서 타직(他職)을 겸하는 예가 정엽으로부터 비롯됨.
1563~162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초계 , 인명>관인>문신
-
수몽선생집(守夢先生集) - 수몽집(守夢集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인 정엽(鄭曄)의 문집. 1661년(현종 2) 해주 목사(海州牧使)로 있던 외손 나성두(羅星斗)가 8권 2책 목판으로 간행함.
1661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해주 , 문헌>서명
-
수무(秀武) - 신수무(辛秀武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영산(靈山). 중종(中宗) 때 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낸 신필주(辛弼周)의 아버지로, 황주 판관(黃州判官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수문(秀文) - 남수문(南秀文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고성(固城). 집현전(集賢殿)ㆍ예문관(藝文館) 등에서 벼슬하며 세종의 여러 대군들에게 글을 가르침. 저서로 《경재유고(敬齋遺稿)》가 있음.
1408~144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수문(秀文)@조수문 - 조수문(曺秀文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함양 군수(咸陽郡守) 조호(曺浩)의 아버지로, 벼슬하지 않고 은거(隱居)하며 김종직(金宗直)과 함께 호남(湖南)의 유학 발전에 기여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창평 , 인명>문사>유학
-
수문(秀文)@김수문 - 김수문(金秀文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진사 김임(金銋)의 아들. 을묘왜변(乙卯倭變) 때 제주 목사(濟州牧使)로서 왜구(倭寇)를 대파하는 공을 세웠고, 평안도 병마절도사(平安道兵馬節度使) 때는 여러 차례 호인(胡人)의 침략을 격퇴하고 전사함.
?~156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무신
-
수문(隋文) - 문제(文帝)@수
중국 수(隋) 나라의 초대 황제. 재위 581~604. 북주(北周) 정제(靜帝)에게서 왕위를 선양(禪讓) 받아 수 나라를 세우고 남조(南朝)의 진(陳)을 평정하여 남북조를 통일함.
541~604 중국>수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수민(壽民) - 백수민(白壽民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수원(水原). 백유양(白惟讓)의 막내 아들로, 정여립(鄭汝立)의 형 정여흥(鄭汝興)의 사위. 1589년(선조 22) 정여립(鄭汝立)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사형됨.
?~1589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수원 , 인명>문사>유학
-
수민(秀民) - 정수민(鄭秀民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효종(孝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하동(河東). 정여창(鄭汝昌)의 증손이며, 정구(鄭逑)의 문인으로, 일실된 정여창의 유고를 모아 《문헌공실기(文獻公實記)》를 간행하고, 저서에 《춘수당집(春睡堂集》등이 있음.
1577~165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문사>학자
-
수민(秀民)@노수민 - 노수민(盧秀民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광주(光州). 생원시(生員試)에 합격했지만 벼슬은 하지 않음. 조식(曺植)의 《남명집(南冥集)》에 〈노군묘명(盧君墓銘)〉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문사>유학
-
수반(輸班) - 공수반(公輸班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명장(名匠). 고전(古典)과 고사성어(故事成語)에도 인용될 만큼 솜씨가 매우 뛰어났다고 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술인>장인
-
수백(守伯) - 김이원(金履元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대북(大北)에 속하여 임해군(臨海君)을 사사(賜死)하게 하고 소북(小北)을 제거하기 위한 계축옥사(癸丑獄事)를 잘 다스려 익사공신(翼社功臣)에 책훈됨.
1553~161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