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북헌(北軒) - 김춘택(金春澤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종조부 김만중(金萬重)에게 수학하고, 노론(老論) 집안의 자손으로 상대 당파의 공격을 자주 받음. 시문(詩文)과 글씨에 뛰어났으며, 《구운몽(九雲夢)》 등을 한문으로 번역함.
1670~171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분(坋) - 이분(李坋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인. 시학(詩學)에 정통하고 사려가 깊었으며, 김굉필(金宏弼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문인
-
분(奮) - 안분(安奮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정도전(鄭道傳)의 아버지인 정운경(鄭云敬)의 외삼촌으로, 한림학사(翰林學士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분(昐) - 노분(盧昐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이며, 예조 참판(禮曹參判)을 지낸 노숙동(盧叔仝)의 아들. 손자 노진(盧禛)의 문집인 《옥계집(玉溪集)》에 묘갈기(墓碣記)가 실려 있음.
1437~147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분(濆) - 신분(申濆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전의감 부정(典醫監副正)을 지냈으며, 전서(篆書)를 잘 썼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부평 , 인명>관인>문신
-
분(玢) - 송분(宋玢)
고려 원종(元宗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행신(倖臣). 임유무(林惟茂)를 제거하고 충렬왕(忠烈王)이 세자 시절 원(元) 나라에 인질이 되었을 때 공을 세웠으나, 충선왕(忠宣王)과 충숙왕(忠肅王) 부자 사이를 이간시키는 등 모략을 일삼다가 유배됨.
?~1318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여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분(糞) - 인성대군(仁城大君)
조선 제8대 예종(睿宗)의 맏아들. 장순왕후(章順王后) 한씨(韓氏)의 소생으로, 어린 나이에 요절함.
1461~146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왕자
-
분(芬) - 조분(趙芬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창(淳昌). 조공탁(趙公卓)의 아들이자 환관인 백안불화(伯顔不花)의 형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순창 , 인명>관인>문신
-
분(苯) - 정분(鄭苯)
조선 태종(太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토목에 조예가 깊어 궁궐 조성과 축성, 현릉(顯陵) 조성 등을 감독함. 우의정에 재직 중 계유정난(癸酉靖難)이 일어나 낙안(樂安)에 안치되어 관노(官奴)가 되었다가 사사(賜死)됨.
?~145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분(蚡) - 전분(田蚡)
중국 전한(前漢) 무제(武帝) 때의 외척. 효경제(孝景帝)의 황후(皇后) 전씨(田氏)의 동생으로 무제 때 승상(丞相)에까지 올랐는데, 자신이 황제의 외숙임을 믿고 권력을 남용하여 온갖 불의를 자행함.
?~B.C.131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분(賁) - 신분(申賁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산(平山). 영천 군수(永川郡守)를 지낸 신명지(申命之)와 의흥 현감(義興縣監)을 지낸 신응지(申應之)의 아버지로, 홍문관 교리(弘文館校理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분(賁)@이분 - 이분(李賁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이중(李中)의 아버지로, 한성 판관(漢城判官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분갱(焚坑) - 분서갱유(焚書坑儒)
중국 진(秦) 나라 때 시황제(始皇帝)가 천하의 서적을 불태우고 유생들을 생매장하여 죽인 사건. 가혹한 법과 혹독한 정치를 상징함.
B.C.213~B.C.212 중국>진 , 중국 , 사건>기타사건
-
분령(分嶺) - 낙안(樂安)
전라도 순천(順天)에 속하였던 옛 고을 이름. 지금의 전라남도 순천시(順天市) 낙안면(樂安面)ㆍ외서면(外西面)과 보성군(寶城郡) 벌교읍(筏橋邑) 일대에 해당함.
전라도>낙안 , 지명>행정지명
-
분류두공부시언해(分類杜工部詩諺解) - 두시언해(杜詩諺解)
조선 성종(成宗) 때 유윤겸(柳允謙) 등의 문신들과 승려 의침(義砧)이 당(唐) 나라 시인 두보(杜甫)의 한시를 내용별로 분류하여 본문과 주석을 언해한 책. 1481년(성종 12)에 을해자(乙亥字)로 간행함.
1481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분릉군(盆陵君) - 김서(金湑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효자로 이름 높은 김극일(金克一)의 아버지로, 의흥 현감(義興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관인>문신
-
분봉(盆峰) - 이주(李澍)@1534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명종 때 성균관(成均館)의 유생(儒生)으로서 보우(普雨)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림. 아들 이광정(李光庭)의 공으로 영의정에 추증됨.
1534~1584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분사(分沙) - 낙안(樂安)
전라도 순천(順天)에 속하였던 옛 고을 이름. 지금의 전라남도 순천시(順天市) 낙안면(樂安面)ㆍ외서면(外西面)과 보성군(寶城郡) 벌교읍(筏橋邑) 일대에 해당함.
전라도>낙안 , 지명>행정지명
-
분사(汾社) - 이현보(李賢輔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문인. 홍귀달(洪貴達)의 문인으로,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〈어부가(漁夫歌)〉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.
1467~155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분생(忿生) - 소분생(蘇忿生)
중국 주(周) 나라 무왕(武王)~성왕(成王) 때의 문신. 사구(司寇) 등을 지냈으며, 형옥(刑獄)을 잘 다스림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