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분서(汾西) - 박미(朴瀰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반남(潘南)으로, 정안옹주(貞安翁主)와 혼인하여 금양위(錦陽尉)에 봉해짐. 장유(張維)ㆍ정홍명(鄭弘溟)과 교유하였고 서도에 일가를 이룸.
1592~164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분서갱유(焚書阬儒) - 분서갱유(焚書坑儒)
중국 진(秦) 나라 때 시황제(始皇帝)가 천하의 서적을 불태우고 유생들을 생매장하여 죽인 사건. 가혹한 법과 혹독한 정치를 상징함.
B.C.213~B.C.212 중국>진 , 중국 , 사건>기타사건
-
분성(盆城)@김희년 - 김희년(金禧年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김자용(金自鎔)의 아들이고, 조식(曺植)의 문인(門人). 정미사화(丁未士禍)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복권되어 통례(通禮)를 지냄.
1534~159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분성(盆城) - 김해(金海)
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고대에 가락국(駕洛國)의 도읍지였음.
경상도>김해 , 지명>행정지명
-
분성군(盆城君) - 김영정(金永貞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이조 참판(吏曹參判)을 지낸 김영견(金永堅)의 동생. 여러 번 명(明) 나라로 사신갔으며,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역임하였음.
1437~150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관인>문신
-
분성군(盆城君)@배원룡 - 배원룡(裵元龍)
고려 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배사혁(裵斯革)의 아들로 염흥방(廉興邦)의 양자가 되었으며, 병부 상서(兵部尙書)를 지내고 분성군(盆城君)에 봉해짐. 김해배씨(金海裵氏)의 시조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관인>문신
-
분성배씨(盆城裵氏) - 김해배씨(金海裵氏)
신라 초기의 육촌(六村) 중 금산가리촌(金山加利村)의 촌장인 지타(祗沱)를 도시조로 삼고, 고려 개국공신(開國功臣) 배현경(裵玄慶)의 현손인 배원룡(裵元龍)을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신라 , 경상도>김해 , 인명>집단>성씨
-
분성자(盆城子) - 김희년(金禧年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김자용(金自鎔)의 아들이고, 조식(曺植)의 문인(門人). 정미사화(丁未士禍)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복권되어 통례(通禮)를 지냄.
1534~159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분성허씨(盆城許氏) - 김해허씨(金海許氏)
가야 수로왕(首露王)의 비(妃)인 보주태후(普州太后) 허황옥(許黃玉)의 35세손으로, 고려 때 가락군(駕洛君)에 봉해진 허염(許琰)을 시조로 하는 성씨. 허씨 중에 종통(宗統)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집단>성씨
-
분양(汾陽) - 곽자의(郭子儀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~덕종(德宗) 때의 무신. 현종 때 삭방절도사(朔方節度使)가 되어 이광필(李光弼)과 함께 안사(安史)의 난을 평정하고, 회흘(回紇:위구르)과 손잡고 토번(吐蕃:티베트)을 정벌함.
697~781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분양(汾陽)@분천 - 분천(汾川)
경상도 예안(禮安)에 있는 하천 이름. 농암(聾岩) 이현보(李賢輔)가 이곳에 애일당(愛日堂)을 짓고 만년을 보냄.
경상도>예안 , 지명>자연지명
-
분양왕(汾陽王) - 곽자의(郭子儀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~덕종(德宗) 때의 무신. 현종 때 삭방절도사(朔方節度使)가 되어 이광필(李光弼)과 함께 안사(安史)의 난을 평정하고, 회흘(回紇:위구르)과 손잡고 토번(吐蕃:티베트)을 정벌함.
697~781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분옹(汾翁) - 이문량(李文樑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영천(永川). 이현보(李賢輔)의 아들로, 음직(蔭職)으로 평릉도 찰방(平陵道察訪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이웃에 살던 이황(李滉)과 가깝게 지내며 시를 읊고 학문을 토론함.
1498~158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분왕(汾王) - 여왕(厲王)@주
중국 주(周) 나라 제10대 황제. 재위 B.C.877~B.C.841. 포악한 정치를 하여 체(彘) 땅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. 나라를 멸망시킨 덕이 없는 임금으로 알려짐.
B.C.878~B.C.828 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분원(汾院) - 분강서원(汾江書院)
조선 숙종(肅宗) 때 경상도 예안(禮安)에 건립한 서원. 1613년(광해군 5년)에 농암(聾巖) 이현보(李賢輔)의 학덕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향현사(鄕賢祠)를 1700년(숙종 26)에 서원으로 개편함.
170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분음(汾陰) - 최천건(崔天健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조 판서 등을 지냄. 유영경(柳永慶)과 결탁한 일로 정인홍(鄭仁弘) 등의 모함을 받아 삭직되었다가 복관되었으나, 후에 김제남(金悌男)의 일파로 몰려 온양에 안치되었다가 죽음.
1568~161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분전갱유(焚典坑儒) - 분서갱유(焚書坑儒)
중국 진(秦) 나라 때 시황제(始皇帝)가 천하의 서적을 불태우고 유생들을 생매장하여 죽인 사건. 가혹한 법과 혹독한 정치를 상징함.
B.C.213~B.C.212 중국>진 , 중국 , 사건>기타사건
-
분중(賁仲) - 문익성(文益成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으로, 생원(生員) 문옹(文翁)의 아들. 조식(曺植)ㆍ주세붕(周世鵬)의 문인으로 이황(李滉)에게 《대학(大學)》의 요지를 배우고, 나주 목사(羅州牧使)ㆍ사간원 헌납(司諫院獻納) 등을 지냄.
1526~15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분지(賁趾) - 남치리(南致利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김언기(金彦璣)ㆍ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 이황(李滉) 문하의 안자(顔子)라고 불리며 1578년 정구(鄭逑)와 함께 유일(遺逸)에 천거됨.
1543~15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분지선생문집(賁趾先生文集) - 분지문집(賁趾文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남치리(南致利)의 문집. 4권 2책. 목판본. 고종(高宗) 때 남두원(南斗源)과 정사신(丁思愼)이 편집ㆍ간행함.
1889 한국>근대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