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경락사(景洛祠)
경상도 선산(善山)에 있는 사우(祠宇). 한벽재(寒碧齋) 정석견(鄭錫堅)을 배향함.
경상도>선산 , 유적>건물>사당
-
경력당의(慶曆黨議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 경력(慶曆) 연간에 곽황후(郭皇后)의 폐립(廢立) 문제로 인하여 벌어진 당쟁(黨爭). 찬성파인 여이간(呂夷簡)과 반대파인 범중엄(范仲淹) 등이 10여 년에 걸쳐 대립함.
중국>송 , 중국 , 사건>기타사건
-
경렬사(景烈祠)
조선 인조(仁祖) 때 전라도 광산(光山)에 건립된 사우(祠宇). 정지(鄭地)ㆍ정충신(鄭忠信)ㆍ김상의(金尙義) 등을 배향함.
164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유적>건물>사당
-
경렴서원(景濂書院)
조선 인조(仁祖) 때 경상도 금산(金山)의 감천면(甘川面)에 건립된 서원. 김종직(金宗直)․최선문(崔善門)․이약동(李約東)․조위(曺偉)․김시창(金始昌) 등을 배향함.
164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금산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경렴정(景濂亭)
조선 중종(中宗) 때 주세붕(周世鵬)이 경상도 순흥(順興)의 소수서원(紹修書院) 정문 밖에 지은 정자. 원생(院生)들이 시를 짓고 학문을 토론하던 곳으로,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정자라고 함.
154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유적>건물>누정
-
경렴정집(景濂亭集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인 탁광무(卓光茂)의 시문집(詩文集). 5권 2책. 활자본. 1827년(순조 27)에 후손 탁유문(卓有文)이 처음 간행하였고, 1850년(철종 1)에 탁운한(卓雲翰)이 개간(改刊)함.
1827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경례의의(經禮疑義)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(宋時烈)의 저서. 24권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경명군(景明君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열 번째 아들. 숙의홍씨(淑儀洪氏)의 소생. 중종(中宗) 때 안처겸(安處謙)의 옥사에 휩싸여 고초를 겪음.
1489~152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경명왕(景明王)
신라 제54대 왕. 재위 917~924. 신덕왕(神德王)의 아들로, 후삼국(後三國)이 정립(鼎立)하여 패권을 다투던 때에 즉위해 기울어져 가는 국운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실패함.
?~924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경문왕(景文王)
신라 제48대 왕. 재위 861~875. 재위 중에 천재지변(天災地變)이 많아 백성들이 곤궁함을 겪음.
?~875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경방(京房)
중국 전한(前漢) 때의 사상가. 양(梁) 나라 사람 초연수(焦延壽)에게서 역학(易學)을 배웠고, 재이사상(災異思想)에 밝았으며, 음률(音律)을 연구하여 현(絃)에 의한 음률측정기인 준(準)을 발명함으로써 60률을 산정함.
B.C.77~B.C.37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경백(敬伯)
중국 후한(後漢)의 학자. 두무(杜橅)와 함께 설한(薛漢)에게서 《시경(詩經)》을 배움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경보(慶父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 환공(桓公)의 아들. 이복형인 장공(莊公)이 죽자 제후의 자리를 노리고 장공의 아들인 민공(閔公)을 시해하였으나, 민공의 외삼촌인 제(齊) 환공(桓公)에 의해 궁지에 몰리다가 자살함.
?~B.C.660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경복궁(景福宮)
조선 태조(太祖) 때 북악산(北岳山) 아래에 세운 궁궐 이름. 조선시대 5대 궁궐 중 정궁(正宮)에 해당하며, 현재 서울 종로구(鍾路區) 세종로(世宗路)에 속함.
139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유적>건물>궁궐
-
경복흥(慶復興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기철(奇轍)을 숙청하여 1등 공신에 책록되고, 홍건적을 물리친 공으로 진충동덕협보공신(盡忠同德協輔功臣)의 호를 받음. 신돈(辛旽)을 제거하려다 유배되었으나, 신돈이 주살된 후 다시 좌시중(左侍中)이 됨.
?~1380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경빈박씨(敬嬪朴氏)
조선 제11대 중종(中宗)의 후궁. 연성위(延城尉) 김희(金禧)가 아버지 김안로(金安老)의 사주를 받아 왕세자를 저주하는 작서(灼鼠)의 변(變)을 일으키자, 이에 연루되어 아들인 복성군(福城君)과 함께 폐출된 후 사사됨.
?~153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후궁
-
경사(京師)
중국의 수도를 지칭하는 말. 경(京)은 크고 사(師)는 많다는 뜻으로, 주(周) 나라의 수도를 경사(京師)라고 한 데서 후대에 천자(天子)가 기거하는 곳을 이름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경사(鏡師)
고려 후기의 승려. 원천석(元天錫)이 경사(鏡師)의 시권(詩卷)에 써준 시(詩)가 《운곡행록(耘谷行錄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경산(慶山)
경상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변진(弁辰)의 압량소국(押梁小國)을 102년(신라 파사왕 23)에 압량(押梁)이라 하였다가, 940년(태조 23)에 장산군(獐山郡)으로 고치고 충선왕(忠宣王) 때 경산(慶山)으로 개칭함.
경상도>경산 , 지명>행정지명
-
경상도(慶尙道)
경상남도와 경상북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(道) 이름. 고려 때 경주(慶州)와 상주(尙州)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지명. 조선시대 팔도(八道)의 하나.
경상도 , 지명>행정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