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분차(分嵯) - 낙안(樂安)
전라도 순천(順天)에 속하였던 옛 고을 이름. 지금의 전라남도 순천시(順天市) 낙안면(樂安面)ㆍ외서면(外西面)과 보성군(寶城郡) 벌교읍(筏橋邑) 일대에 해당함.
전라도>낙안 , 지명>행정지명
-
분천(汾川)@곽자의 - 곽자의(郭子儀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~덕종(德宗) 때의 무신. 현종 때 삭방절도사(朔方節度使)가 되어 이광필(李光弼)과 함께 안사(安史)의 난을 평정하고, 회흘(回紇:위구르)과 손잡고 토번(吐蕃:티베트)을 정벌함.
697~781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분천(湓川) - 분천(汾川)
경상도 예안(禮安)에 있는 하천 이름. 농암(聾岩) 이현보(李賢輔)가 이곳에 애일당(愛日堂)을 짓고 만년을 보냄.
경상도>예안 , 지명>자연지명
-
분충찬모입기명륜정사공신(奮忠贊謨立紀明倫靖社功臣) - 정사공신(靖社功臣)
조선 인조(仁祖) 1년에 광해군(光海君)을 폐출하고 인조를 옹립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(勳號). 김류(金瑬)ㆍ이귀(李貴) 등 총 53명에게 내렸으나, 논공행상(論功行賞)이 불공평하여 이괄(李适)의 난(亂)을 초래함.
1623 한국>조선후기 , 법제>제도
-
분충찬모입기정사공신(奮忠贊謨立紀靖社功臣) - 정사공신(靖社功臣)
조선 인조(仁祖) 1년에 광해군(光海君)을 폐출하고 인조를 옹립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(勳號). 김류(金瑬)ㆍ이귀(李貴) 등 총 53명에게 내렸으나, 논공행상(論功行賞)이 불공평하여 이괄(李适)의 난(亂)을 초래함.
1623 한국>조선후기 , 법제>제도
-
분충찬모정사공신(奮忠贊謨靖社功臣) - 정사공신(靖社功臣)
조선 인조(仁祖) 1년에 광해군(光海君)을 폐출하고 인조를 옹립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(勳號). 김류(金瑬)ㆍ이귀(李貴) 등 총 53명에게 내렸으나, 논공행상(論功行賞)이 불공평하여 이괄(李适)의 난(亂)을 초래함.
1623 한국>조선후기 , 법제>제도
-
분충출기공신(奮忠出氣功臣) - 청난공신(淸難功臣)
조선 선조(宣祖) 37년에, 이몽학(李夢鶴)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(勳號). 세 등급으로 나누어 홍가신(洪可臣) 등 5인에게 내림. 임진왜란 등 혼란한 상황 때문에 뒤늦게 책록됨.
1604 한국>조선후기 , 법제>제도
-
분충출기적의공신(奮忠出氣迪毅功臣) - 청난공신(淸難功臣)
조선 선조(宣祖) 37년에, 이몽학(李夢鶴)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(勳號). 세 등급으로 나누어 홍가신(洪可臣) 등 5인에게 내림. 임진왜란 등 혼란한 상황 때문에 뒤늦게 책록됨.
1604 한국>조선후기 , 법제>제도
-
분충출기합모적의공신(奮忠出氣合謀迪毅功臣) - 청난공신(淸難功臣)
조선 선조(宣祖) 37년에, 이몽학(李夢鶴)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(勳號). 세 등급으로 나누어 홍가신(洪可臣) 등 5인에게 내림. 임진왜란 등 혼란한 상황 때문에 뒤늦게 책록됨.
1604 한국>조선후기 , 법제>제도
-
분화(賁華) - 백비화(白賁華)
고려 신종(神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포(藍浦)로, 백광신(白光臣)의 아들. 1198년(신종 1)에 춘관시(春官試)에 급제하여, 내시(內侍)로 오래 재직하고 예부 원외랑(禮部員外郞)ㆍ경산 부사(京山府使) 등을 지냄. 저서로 《남양시집(南陽詩集)》이 있음.
1180~1224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남포 , 인명>관인>문신
-
불감사(佛監司) - 정탁(鄭琢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정이충(鄭以忠)의 아들이며 이황(李滉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(扈從功臣)에 책록되고, 경사(經史)ㆍ천문(天文)ㆍ지리(地理) 등에 정통했음.
1526~160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천ㅣ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불갑사(佛甲寺) - 불갑사(佛岬寺)
백제 침류왕(384년) 때 인도의 승려 마라난타(摩羅難陀)가 전라도 영광(靈光) 모악산(母岳山)에 세운 사찰. 고려 후기에 복구(復邱)가 머무르면서 번창함.
384 한국>백제 , 전라도>영광 , 유적>건물>사찰
-
불건(不騫) - 정수곤(丁壽崑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소격서 영(昭格署令)을 지낸 정자급(丁子伋)의 아들로, 월헌(月軒) 정수강(丁壽崗)의 형. 1472년(성종 3) 춘당대시(春塘臺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한 후 공조 좌랑(工曹佐郞)ㆍ승문원 교리(承文院校理) 등을 지냄.
1452~1486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배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불경왕자론(不敬王者論) - 사문불경왕자론(沙門不敬王者論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 승려인 혜원(慧遠)의 저서. 1권. 불교의 출가자인 사문은 세속을 떠난 자이므로 세속의 왕에게 경의를 표할 필요가 없다고 논한 것으로, 승려의 권리를 주장한 중요한 저작으로 꼽힘.
404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불고(不孤) - 신덕린(申德隣)
고려 후기~조선 전기의 서화가. 본관은 고령(高靈). 해서(楷書)ㆍ초서(草書)ㆍ예서(隷書)에 능하며, 특히 예서의 한 종류인 팔분체(八分體)의 필체가 독특하여 당시 사람들이 덕린체(德隣體)라고 부름. 이색(李穡)ㆍ정몽주(鄭夢周) 등과 교유하고, 고려 멸망 후 광주(光州)에서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불곡(不曲) - 이양직(李養直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우봉(牛峯). 감찰규정(監察糾正)을 역임하였으며, 이곡(李穀)의 《가정집(稼亭集)》에 그에 대한 자설(字說)이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우봉 , 인명>관인>문신
-
불골표(佛骨表) - 논불골표(論佛骨表)
중국 당(唐) 나라의 대학자인 한유(韓愈)가 부처의 사리(舍利)를 궁중으로 들여오려는 헌종(憲宗)에게 이의 부당함을 극간(極諫)하며 지어 올린 글.
819 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불과벽암파관격절(佛果碧嚴破關擊節) - 벽암록(碧巖錄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임제종(臨濟宗) 승려 원오(圜悟)가 지은 선종(禪宗)의 공안집(公案集). 10권. 중현(重顯)이 지은 《설두송고(雪竇頌古)》를 모체로 하여, 각칙(各則)마다 수시(垂示)ㆍ착어(著語)ㆍ평창(評唱)을 달아 완성함.
1125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불과선사(佛果禪師) - 원오(圜悟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고종(高宗) 때의 임제종(臨濟宗)의 승려. 종고(宗杲)에게 법을 전수함. 저서에 《벽암록(碧巖錄)》이 있음.
1063~113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불과원오선사벽암록(佛果圓悟禪師碧巖錄) - 벽암록(碧巖錄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임제종(臨濟宗) 승려 원오(圜悟)가 지은 선종(禪宗)의 공안집(公案集). 10권. 중현(重顯)이 지은 《설두송고(雪竇頌古)》를 모체로 하여, 각칙(各則)마다 수시(垂示)ㆍ착어(著語)ㆍ평창(評唱)을 달아 완성함.
1125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