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불과원오선사벽암록(佛果圜悟禪師碧嚴錄) - 벽암록(碧巖錄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임제종(臨濟宗) 승려 원오(圜悟)가 지은 선종(禪宗)의 공안집(公案集). 10권. 중현(重顯)이 지은 《설두송고(雪竇頌古)》를 모체로 하여, 각칙(各則)마다 수시(垂示)ㆍ착어(著語)ㆍ평창(評唱)을 달아 완성함.
1125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불광(佛光) - 여만(如滿)
중국 당(唐) 나라의 승려. 마조 도일(馬祖道一)의 제자로 백거이(白居易)와 교유하였으며, 그와 함께 향산(香山)에서 향화사(香火寺)를 지음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불기(不器)@김련 - 김련(金璉)@조선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안국(金安國)의 아버지.
1452~149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불기(不器)@김태현 - 김태현(金台鉉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김수(金須)의 아들. 《동국문감(東國文鑑)》을 편찬함.
1261~1330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불기(不器) - 권호(權瑚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득(權得)의 아들로, 1438년(세종 20) 사마시(司馬試)에 입격하고 성균관에 들어가 서거정(徐居正) 등과 교유하였으며, 병조 정랑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관인>문신
-
불기당(不欺堂) - 노기(盧麒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강(安康). 권문해(權文海)ㆍ구봉령(具鳳齡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불도등(佛圖磴) - 불도징(佛圖澄)
중국 남북조시대 후조(後趙)의 고조(高祖) 때 활동한 서역(西域)의 승려. 한인(漢人)의 출가를 허락하도록 하였고, 북방 민족을 불교문화로 교화하는 등 중국 초기 불교 발전에 공헌함.
232~348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불류강(沸流江) - 용흥강(龍興江)
함경도 동부를 거쳐 동해 송전만(松田灣)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.
함경도>영흥 , 지명>자연지명
-
불리(佛狸) - 태무제(太武帝)
중국 남북조시대 북위(北魏)의 제3대 황제. 명원제(明元帝)의 맏아들로, 화북(華北)을 통일하고, 송(宋) 나라를 공격하여 큰 타격을 입혔으며, 도교(道敎)를 숭상하고 불교(佛敎)를 억압함. 말년에 환관 종애(宗愛)에게 피살됨.
408~452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불린(不磷) - 이예견(李禮堅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중종 때의 문신 이운(李耘)ㆍ이자(李耔)의 생부로, 대사간(大司諫)을 지냄. 연산군(燕山君) 때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풀려난 후 귀향하여 학업에 정진함.
1436~?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불린(不磷) - 정자견(丁自堅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1513년(중종 8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첨지사(僉知事)를 지냈으며, 80세 이후 노직(老職)으로 당상(堂上)에 오름.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김안국(金安國)이 차운(次韻)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불미(不迷) - 허벽(許璧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양천(陽川). 허윤관(許允寬)의 아들로, 1528년(중종 23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였으며, 홍섬(洪暹)의 《인재집(忍齋集》에 그에 대한 만사(輓詞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불민(不敏) - 김세우(金世愚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암행어사(暗行御史) 김규(金虯)의 아버지로, 성균관 전적(成均館典籍)을 지냄. 《동국여지승람(東國輿地勝覽)》에 적성현(赤城縣)의 명관으로 기록됨.
1484~152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불붕(不崩) - 해안군(海安君)
조선 제11대 중종(中宗)의 두 번째 서자. 숙의홍씨(淑儀洪氏) 소생. 오위도총부 도총관(五衛都摠府都摠管)과 사옹원(司饔院)ㆍ문소전(文昭殿)의 도제조(都提調)를 지냄.
1511~157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불붕(不崩) - 정수강(丁壽崗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중종반정 때 다시 등용되어 정국원종공신(靖國原從功臣)에 책록됨. 동지중추부사 등을 지내고, 저서로 《월헌집(月軒集)》이 있음.
1454~152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불비(不非) - 연사종(延嗣宗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곡산(谷山). 1388년(우왕 14) 요동정벌 때 이성계(李成桂)의 장군 진무(掌軍鎭撫)로 종군하고, 조선 개국 후 우군동지총제(右軍同知摠制) 등을 지냄. 개국공신(開國功臣)ㆍ원종공신(元從功臣)ㆍ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됨.
1360~1434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함흥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불설대보부모은중경(佛說大報父母恩重經) - 부모은중경(父母恩重經)
부모의 은혜에 대한 고마움을 담고 있는 불교 경전. 낳아준 은혜ㆍ길러준 은혜 등 부모의 은혜를 크게 10가지로 나누어 설명함. 현존 최고 판본은 1381년(고려 우왕 7) 간행된 고려본으로, 이에 관하여 권근(權近)과 정조(正祖)의 글이 있음.
문헌>서명
-
불씨(佛氏) - 석가(釋迦)
B.C.6~B.C.4세기경 인도(印度)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. 정반왕(淨飯王)의 아들로,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.
B.C.563?~B.C.483? 고대 , 기타지역 , 인명>기타인명>성현ㅣ인명>왕실>왕자
-
불암(佛巖) - 선암(仙巖)
충청북도 단양(端陽)에 있는 암벽 이름. 단양팔경(丹陽八景)의 하나.
충청도>단양 , 지명>자연지명
-
불우헌(不憂軒) - 정극인(丁克仁)
조선 문종(文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영광(靈光). 최초의 가사(歌辭) 작품인 〈상춘곡(賞春曲)〉을 지음. 단종(端宗)이 왕위를 빼앗기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후진을 가르침.
1401~1481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태인ㅣ경기도>광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