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불훤(不諼) - 신현(申贒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학자. 우탁(禹倬)의 문인으로, 원(元) 나라의 주공천(朱公遷)ㆍ허겸(許謙)ㆍ전당(錢唐) 등 학자들과 교유하고, 당시 대학자로 추앙받음. 명(明) 나라 황제로부터 스승의 대우를 받고 불훤재(不諼齋)라는 호를 하사받음.
1298~1377 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문사>학자
-
불훤재(不諼齋) - 신현(申贒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학자. 우탁(禹倬)의 문인으로, 원(元) 나라의 주공천(朱公遷)ㆍ허겸(許謙)ㆍ전당(錢唐) 등 학자들과 교유하고, 당시 대학자로 추앙받음. 명(明) 나라 황제로부터 스승의 대우를 받고 불훤재(不諼齋)라는 호를 하사받음.
1298~1377 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문사>학자
-
불휴(不虧) - 정수곤(丁壽崑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소격서 영(昭格署令)을 지낸 정자급(丁子伋)의 아들로, 월헌(月軒) 정수강(丁壽崗)의 형. 1472년(성종 3) 춘당대시(春塘臺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한 후 공조 좌랑(工曹佐郞)ㆍ승문원 교리(承文院校理) 등을 지냄.
1452~1486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배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붕(鵬)@홍붕 - 홍붕(洪鵬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주부(主簿)를 지낸 홍거방(洪巨舫)의 아들로, 제용감 첨정(濟用監僉正) 등을 지냄.
1539~1597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붕(鵬)@정붕 - 정붕(鄭鵬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정철견(鄭鐵堅)의 아들이며, 박영(朴英)의 스승. 김굉필(金宏弼)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고, 성희안(成希顔)과 친교를 맺음. 청송 부사(靑松府使) 등을 지냄.
1467~151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붕(鵬)@원붕 - 원붕(元鵬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원주(原州). 유학 원맹현(元孟賢)의 아들이며, 1569년(선조 2) 알성시(謁聖試)에 급제한 원사용(元士容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붕(鵬)@임붕 - 임붕(林鵬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조광조(趙光祖)를 구원하는 상소를 올렸으며, 좌승지ㆍ경주 부윤ㆍ광주 목사 등을 지냈음.
1486~155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붕(鵬) - 이붕(李鵬)
조선 전기의 문신. 옥봉(玉峯) 백광훈(白光勳)과 교유하여 옥봉이 이붕에게 준 전별시가 《옥봉집(玉峯集)》에 보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붕거(鵬擧)@탁원익 - 탁원익(卓元翼)
고려 전기의 무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보문각 대제학(寶文閣大提學)을 지낸 탁도민(卓道敏)의 셋째 아들로, 중랑장(中郞將) 등을 역임함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무신
-
붕거(鵬擧) - 악비(岳飛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 때의 무신ㆍ학자. 남송(南宋) 초에 금군(金軍)의 침략을 저지하는 전공(戰功)을 세웠으나, 주화파(主和派)인 진회(秦檜)와의 불화로 무고한 누명을 쓰고 살해됨. 후에 신원되어 구국의 영웅으로 추앙됨.
1103~114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무신
-
붕남(鵬南) - 상붕남(尙鵬南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목천(木川). 범허정(泛虛亭) 상진(尙震)의 아들로, 강계 부사(江界府使)를 지낸 이제신(李濟臣)의 장인.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열중하였지만 32세의 나이로 죽음. 시서(詩書)에 능했음.
1511~1542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목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붕린(鵬鱗) - 박붕린(朴鵬鱗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박눌(朴訥)의 아들로, 1533년(중종 28)에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 한림(翰林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붕상(鵬祥) - 이붕상(李鵬祥)
조선 후기의 문신. 수암(守庵) 박지화(朴枝華)와 교유하여 수암이 이붕상에게 준 시가 《수암유고(守庵遺稿)》에 보임. 학관(學官)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붕서(鵬瑞) - 심붕서(沈鵬瑞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삼척(三陟).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를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삼척 , 인명>관인>문신
-
붕섭(鵬燮) - 김붕섭(金鵬燮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광산(光山). 임진왜란 때 의병인 김덕홍(金德弘)ㆍ김덕령(金德齡)ㆍ김덕보(金德普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붕정(鵬程) - 박붕정(朴鵬程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박산두(朴山斗)의 아버지로, 훈도(訓導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비(備) - 이비(李備)
조선 후기의 종친.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청(淸) 나라에서 왕자를 인질로 요구하자, 어린 왕자 대신 자신의 아들인 원창군(原昌君) 이구(李玖)를 보냄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비(埤) - 김비(金埤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으로, 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을 지냄. 조선 세종(世宗) 때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낸 하연(河演)의 모부인(母夫人) 진주정씨(晉州鄭氏)의 외조부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비(扉) - 허비(許扉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양천(陽川). 판봉상시사(判奉常寺事)를 지낸 허기(許愭)의 아들이며 양천부원군(陽川府院君) 허손(許蓀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문사>유학
-
비(棐) - 김비(金棐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증좌승지(贈左承旨) 김덕수(金德秀)의 아들로, 군자 판관(軍資判官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