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비(棐)@윤비 - 윤비(尹棐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의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그에 대한 자사(字辭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비(棐)@이비 - 이비(李棐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이지활(李智活)의 아버지로, 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ㆍ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냄.
1405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비(濞) - 오왕(吳王)
중국 한(漢) 나라 때의 제후. 전한(前漢) 고조(高祖)의 조카로, 경제(景帝) 때 오초칠국(吳楚七國)의 난을 일으켰다가 주아부(周亞夫)에 의해 평정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비(裶) - 경녕군(敬寧君)
조선 제3대 태종(太宗)의 첫 번째 서자. 효빈김씨(孝嬪金氏)의 소생으로, 천성이 어질고 학문에 밝았으며, 태종부터 세조(世祖) 때에 이르기까지 충성을 다하여 국정과 왕실을 위해 헌신함.
1395~145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비경(斐卿) - 신윤보(申潤輔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해주 목사(海州牧使) 등을 역임하다가, 무오사화(戊午士禍)가 일어나자 순천(順天)에 오림정(五林亭)을 짓고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비경(蜚卿) - 동백우(童伯羽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제자로, 스승과 주고받은 문답이 전함. 《효경연의(孝經衍義)》ㆍ《오경훈해(五經訓解)》 등을 저술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비경(飛卿) - 온정균(溫庭筠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. 과거장에서 여덟 번 팔짱을 끼니 팔운시(八韻詩)가 완성되었기에 온팔차(溫八叉)라 불림. 염시(艶詩)를 많이 지었으며, 사(詞)와 악부(樂府)에도 뛰어남. 당시 이상은(李商隱)과 함께 온이(溫李)로 병칭됨.
812~87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비경(飛卿)@조익 - 조익(趙翼)
조선 선조(宣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장현광(張顯光)의 문인으로 좌의정(左議政)을 역임함. 성리학(性理學)의 대가로 예학에 밝았으며 음률(音律)ㆍ병법(兵法)ㆍ복서(卜筮)에도 능했음.
1579~1655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비공(費公) - 비장방(費長房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도사. 여남인(汝南人)으로, 저자의 아전으로 있으면서 선인(仙人) 호공(壺公)을 사사(師事)하여 선도(仙道)를 터득하였다고 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
-
비궁(匪躬) - 김비궁(金匪躬)
고려 전기의 문신. 김희일(金希逸)의 아들. 문하찬성사(門下贊成事)를 지냈고, 벽상공신(壁上功臣)이 되어, 상산부원군(商山府院君)에 봉해짐.
1040~? 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비라(比羅) - 가비마라(迦毘摩羅)
2세기경 인도 마갈타국(摩竭陀國) 승려. 남인도에서 설법하였으며, 《무아론(無我論)》100게송을 지음. 대승불교를 일으킨 용수(龍樹)의 스승.
기타지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비로정(毗盧頂) - 비로봉(毗盧峯)
강원도 금강산(金剛山)의 주봉(主峯). 높이 1,638m. 일찍이 문인들의 시의 소재로 널리 쓰임.
강원도>통천ㅣ강원도>고성 , 지명>자연지명
-
비릉모용씨(毗陵慕容氏) - 모용언달(慕容彦達)
중국의 경서(經書) 주소가(註疏家). 《예기(禮記)》에 관한 주소(註疏)가 진호(陳澔)의 《예기집설(禮記集說)》에 인용되어 있음.
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비마라힐(毘摩羅詰) - 유마힐(維摩詰)
석가(釋迦)의 속제자(俗弟子). 인도 비사리국(毗舍離國)의 장자(長者)로, 속가에 있으면서 보살(菩薩)의 행업을 닦았으며, 그 수행이 높아서 불자제로도 미칠 수 없었다고 함.
고대 , 기타지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비목당(卑牧堂) - 황집중(黃執中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서화가. 본관은 창원(昌原). 1576년(선조 9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여 경력(經歷)을 지냄. 묵포도(墨葡萄)를 잘 그려 이정(李霆)의 묵죽(墨竹)과 어몽룡(魚夢龍)의 묵매(墨梅)와 함께 삼절(三絶)로 불림.
1533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비봉(飛鳳) - 가야산(伽倻山)
경상도 성주(星州)와 합천(陜川) 사이에 있는 산 이름.
경상도>합천ㅣ경상도>성주 , 지명>자연지명
-
비사나(毗舍那) - 율(律)
불교 용어로 불가(佛家)의 제자들이 지켜야 할 계율(戒律). 부처에게 기도(祈禱)하여 불력(佛力)으로 원적(怨敵)과 악마(惡魔)를 제어하는 것.
사상>이론>교리
-
비서감(秘書監) - 승정원(承政院)
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청. 국왕과 밀착되어 중추적인 정치기구의 역할을 하였으며, 승선원(承宣院)ㆍ비서감(秘書監)ㆍ비서원(秘書院)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07년에 폐지됨.
한국>조선시대 , 서울 , 법제>관청
-
비서감일기(秘書監日記) - 승정원일기(承政院日記)
조선시대에 승정원(承政院)에서 매일 취급한 문서(文書)와 사건을 기록한 일기. 원래 조선 개국 초부터 일기가 있었으나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에 소실되어 1623년(인조 1)부터 1894년(고종 31)까지 270여 년간의 일기만이 현존함.
한국>조선시대 , 서울 , 문헌>서명
-
비서원(秘書院) - 승정원(承政院)
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청. 국왕과 밀착되어 중추적인 정치기구의 역할을 하였으며, 승선원(承宣院)ㆍ비서감(秘書監)ㆍ비서원(秘書院)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07년에 폐지됨.
한국>조선시대 , 서울 , 법제>관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