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비처마립간(毘處麻立干) - 소지마립간(炤知麻立干)
신라 제21대 왕. 재위 479~499. 각 지방에 우역(郵驛)을 두고 경주(慶州)에 시장을 설치함. 고구려ㆍ말갈ㆍ왜적의 침입을 자주 받자, 백제와 연합하여 고구려에 대항함.
?~499 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비탄수(飛彈守) - 소서비탄수(小西飛彈守)
일본 도산시대(桃山時代)의 무장. 임진왜란 때 왜장 소서행장(小西行長)의 부장으로, 평안도 병마절도사(平安道兵馬節度使) 김경서(金景瑞)와 의기(義妓) 계월향(桂月香)이 함께 도모한 유인책으로 인해 죽임을 당했다고 전함.
1550~1626 일본>도산시대 , 일본 , 인명>관인>무신
-
비파인(琵琶引) - 비파행(琵琶行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 때의 문신ㆍ시인인 백거이(白居易)의 시. 가을 저녁 들려오는 비파소리를 듣고 자신의 마음을 7언(言) 88행(行)으로 나타냈는데, 음악을 문자로 시각화(視覺化)했다는 평가를 받음.
816 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비해(匪懈) - 안평대군(安平大君)
조선 제4대 세종(世宗)의 셋째 아들. 김종서(金宗瑞) 등과 함께 수양대군(首陽大君)의 세력에 맞서다가 계유정난(癸酉靖難) 때 역모 혐의로 유배된 후 사사됨. 시(詩)ㆍ서(書)ㆍ화(畫)에 뛰어나 ‘삼절(三絶)’이라 불렸고, 당대 제일의 명필(名筆)로 꼽힘.
1418~145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왕실>왕자
-
비해당(匪懈堂) - 안평대군(安平大君)
조선 제4대 세종(世宗)의 셋째 아들. 김종서(金宗瑞) 등과 함께 수양대군(首陽大君)의 세력에 맞서다가 계유정난(癸酉靖難) 때 역모 혐의로 유배된 후 사사됨. 시(詩)ㆍ서(書)ㆍ화(畫)에 뛰어나 ‘삼절(三絶)’이라 불렸고, 당대 제일의 명필(名筆)로 꼽힘.
1418~145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왕실>왕자
-
비현합(丕顯閤) - 비현각(丕顯閣)
경복궁(景福宮)의 사정전(思政殿) 동쪽에 있는 전각. 세자가 스승을 모시고 학문을 연마하던 곳으로,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없어진 것을 1867년(고종 4)에 이르러 재건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유적>건물>궁궐
-
빈(份) - 이빈(李份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 이보(李𥙷)의 손자이며, 원천군(原川君) 이의(李宜)의 세 번째 서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빈(彬)@홍빈 - 홍빈(洪彬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참소로 인해 충숙왕과 충혜왕(忠惠王)이 원(元) 나라에 압송되었을 때 그 억울함을 변호하여 귀국 후 공신(功臣)에 책록되고, 우정승(右政丞) 등을 지냄.
1288~1353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빈(彬) - 문빈(文彬)
조선 정종(定宗)~태종(太宗) 때의 무신.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고 이방원(李芳遠)이 왕위에 오르는데 협력한 공으로 익대좌명공신(翊戴佐命功臣)에 책록됨.
?~141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빈(彬)@나빈 - 나빈(羅彬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금성(錦城). 장성 현감(長城縣監) 나은제(羅殷制)의 아들이며,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인 나세집(羅世緝)ㆍ나세찬(羅世纘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빈(斌) - 탁빈(卓斌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광산(光山). 탁성주(卓成宙)의 둘째 아들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빈(濱)@심빈 - 심빈(沈濱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송(靑松). 우참찬 심광언(沈光彦)과 안악 군수(安岳郡守) 심광문(沈光門)의 아버지로, 안성 군수(安城郡守) 등을 지냄.
1455~150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송 , 인명>관인>문신
-
빈(濱)@유빈 - 유빈(柳濱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호남으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(中宗反正) 뒤에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고, 이조 판서(吏曹判書)ㆍ경기 관찰사(京畿觀察使)를 역임했음.
?~150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빈(濱)@김빈 - 김빈(金濱)
조선 전기의 학자. 남효온(南孝溫)과 죽마고우(竹馬故友)로 담양 교관(潭陽敎官)을 지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담양 , 인명>문사>학자
-
빈(濱) - 신빈(申濱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의주 판관(義州判官)을 지냄. 진하사(進賀使)로 중국에 가는 소세양(蘇世讓)을 배웅할 때 받은 시가 《양곡집(陽谷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빈(玭) - 오빈(吳玭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경명(高敬命) 휘하에서 의병활동을 함. 진주성(晉州城)에서 싸우던 도중 성이 함락되려 하자 남강(南江)에 투신하여 자결함. 병조 참의(兵曹參議)에 증직됨.
1547~159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빈(璸) - 권빈(權璸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이조 정랑(吏曹正郞)ㆍ금산 군수(金山郡守)를 지냄.
1446~150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관인>문신
-
빈(贇)@유빈 - 유빈(柳贇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풍산(豐山). 유지승(柳智承)의 아들이며, 서애(西厓) 유성룡(柳成龍)의 재종숙으로, 평생 학문에만 정진하여 역학(易學) 등에 일가를 이루었으며, 저서로《권옹집(倦翁集)》이 있음.
1520~159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빈(贇) - 표빈(表贇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창(新昌). 표정명(表貞命)의 아들로, 1520년(중종 15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김해 부사(金海府使) 등을 지냄.
1486~?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신창 , 인명>관인>문신
-
빈(鑌) - 조빈(趙鑌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배천(白川). 조양선(趙揚善)의 아들. 통훈대부(通訓大夫) 성균관 사예(成均館司藝)로, 시(詩)를 잘하여 조정에서 유명하였음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배천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