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빈가(彬可) - 박중검(朴仲儉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인. 본관은 함양(咸陽). 이의무(李宜茂)의 《연헌잡고(蓮軒雜稿)》에 그에게 보낸 여러 편의 차운시(次韻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문인
-
빈국공(邠國公) - 두황상(杜黃裳)
중국 당(唐) 숙종(肅宗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. 태상경(太常卿)ㆍ문하시랑(門下侍郎)ㆍ중서문하평장사(中書門下平章事) 등을 지냈으며, 배도(裵度)와 함께 어질고 강직한 신하로서 군주를 충직하게 보좌한 인물로 비유됨.
739~808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빈빈(彬彬) - 혜문(惠文)
고려 후기의 승려. 가지산문(迦智山門)의 선승(禪僧)으로, 대선사(大禪師)에 이르렀으며, 시문(詩文)에 능하여 이인로(李仁老)ㆍ이규보(李奎報) 등과 교유함.
?~1234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빈선관(賓仙館) - 영빈관(迎賓館)
경기도 여주(驪州)의 객관(客館) 동쪽에 있었던 관소(館所)의 이름. 조선 세종(世宗) 때 세워졌으며, 중종(中宗) 때 장한공(張漢公)이 ‘빈선관(賓仙館)’이라 편액하였으나 중종의 명으로 개명함.
1439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유적>건물>관사
-
빈세(貧世) - 안빈세(安貧世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연창위(延昌尉) 안맹담(安孟聃)의 아들이며, 세종(世宗)의 외손.
1445~147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빈양(濱陽) - 양근(楊根)
경기도 중부 동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. 현재는 경기도 양평군(楊平郡)에 속함.
경기도>양근 , 지명>행정지명
-
빈연(彬然) - 백문절(白文節)
고려 고종(高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포(藍浦). 이부 시랑(吏部侍郞) 등을 지내고, 문사(文詞)와 글씨에 뛰어남.
?~1282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남포 , 인명>관인>문신
-
빈옥(賓玉) - 유응규(庾應圭)
고려 의종(毅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무송(茂松). 음보(蔭補)로 내시가 되었으나 무신의 난 이후 세운 여러 공으로 관직이 공부 시랑(工部侍郞)에 이름.
1131~1175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무장 , 인명>관인>문신
-
빈왕(賓王) - 낙빈왕(駱賓王)
중국 당(唐) 나라 초기의 문신ㆍ시인. 시문(詩文)이 뛰어나 왕발(王勃)ㆍ양형(楊炯)ㆍ노조린(盧照鄰)과 함께 ‘초당사걸(初唐四傑)’로 불림.
640~68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빈주(彬周) - 안보문(安普文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동궁 시직(東宮侍直)을 지낸 안숙량(安叔良)의 아들로, 현량(賢良)으로 천거되어 통례원 인의(通禮院引儀) 등을 지냄.
1427~151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빈중(彬中) - 박문간(朴文幹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1480년(성종 11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으며, 교리(校理)를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빈지(彬之) - 김취빈(金就彬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김광좌(金匡佐)의 아들. 1555년(명종 10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여 후릉 참봉(厚陵參奉)을 지냄.
1520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빈지(賓之) - 이동양(李東陽)
중국 명(明) 나라 헌종(憲宗)~무종(武宗) 때의 문신ㆍ문인. 40여 년 동안 조정의 요직을 두루 지내고, 성당(盛唐)의 시풍(詩風)을 추구하여 당시(唐詩) 부흥 운동에 선구적인 역할을 함.
1447~1516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빈학(贇鶴) - 박빈학(朴贇鶴)
조선 전기의 유학. 소재(穌齋) 노수신(盧守愼)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빈호(瀕湖) - 이시진(李時珍)
중국 명(明) 나라의 학자ㆍ의원. 《본초강목(本草綱目)》의 저자로, 의업(醫業)에 종사하는 한편, 약물의 기준서(基準書)를 집대성하는 일에 주력함.
1518~1593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기술인>의원ㅣ인명>문사>학자
-
빙(憑)@표빙 - 표빙(表憑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창(新昌)으로, 직제학(直提學) 표연말(表沿沫)의 아들. 김안로(金安老)ㆍ김안국(金安國)과 함께 사유(師儒)에 선발되었으며, 사헌부 집의(司憲府執義)ㆍ홍문관 직제학(弘文館直提學) 등을 역임함.
?~1524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신창 , 인명>관인>문신
-
빙(憑) - 이빙(李憑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보(眞寶). 송재(松齋) 이우(李堣)의 손자로, 직장(直長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빙감(氷鑑) - 김예몽(金禮蒙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사람을 보는 안목이 매우 뛰어나 시관(試官)이 되어 많은 인재를 뽑음.
1406~146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빙리동순(氷鯉冬筍) - 설순빙리(雪筍冰鯉)
중국 삼국시대 오(吳) 나라의 맹종(孟宗)이 눈 속에서 죽순(竹筍)을 구한 일과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왕상(王祥)이 얼음을 녹여 잉어를 얻은 일에서 나온 고사성어로, 지극한 효성을 뜻함.
중국>남북조시대ㅣ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빙리설순(氷鯉雪筍) - 설순빙리(雪筍冰鯉)
중국 삼국시대 오(吳) 나라의 맹종(孟宗)이 눈 속에서 죽순(竹筍)을 구한 일과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왕상(王祥)이 얼음을 녹여 잉어를 얻은 일에서 나온 고사성어로, 지극한 효성을 뜻함.
중국>남북조시대ㅣ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