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사가(四佳)@성석인 - 성석인(成石因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성여완(成汝完)의 아들이며, 성석린(成石璘)ㆍ성석용(成石瑢)의 아우로, 고려 때 경연강독관(經筵講讀官) 등을 지내고 조선 건국 후 예조 판서(禮曹判書) 등을 지냄.
?~1414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가(四佳) - 서거정(徐居正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(天文) 등 여러 방면에 정통하고, 문장과 글씨에 능함. 《경국대전(經國大典)》ㆍ《동국통감(東國通鑑)》등의 편찬에 참여하고, 《동인시화(東人詩話)》ㆍ《동문선(東文選)》등을 저술함.
1420~14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가(思可) - 목첨(睦詹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사천(泗川)으로, 목세칭(睦世秤)의 아들. 공조 참의(工曹參議)ㆍ청홍도 관찰사(淸洪道觀察使)ㆍ대사간(大司諫)ㆍ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지냄.
1515~1593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가(謝家) - 사안(謝安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재상. 회계(會稽)의 동산(東山)에서 은거할 때 왕희지(王羲之) 등과 교유하고, 뒤늦게 벼슬하여 환온(桓溫)의 휘하에서 활약함. 재상이 되었을 때 전진(前秦)의 부견(符堅)이 대군을 이끌고 침입하자 이를 격파함.
320~385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가녀(謝家女) - 사도온(謝道韞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여류 시인. 사혁(謝奕)의 딸이자, 사안(謝安)의 조카딸이며, 왕희지(王羲之)의 며느리. 총명하고 재능이 뛰어났으며, 눈 내리는 풍경을 버들개지가 바람에 날리는 광경으로 표현한 일로 유명함.
349~409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사가시집(四佳詩集) - 사가집(四佳集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서거정(徐居正)의 문집. 저자가 왕명에 의해 30권으로 편차한 것을, 1488년(성종 19)에 유고를 정리하여 교서관(校書館)에서 간행함. 50여 권의 시집과 20여 권의 문집으로 구성됨.
148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사가일로(四佳逸老) - 서거정(徐居正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(天文) 등 여러 방면에 정통하고, 문장과 글씨에 능함. 《경국대전(經國大典)》ㆍ《동국통감(東國通鑑)》등의 편찬에 참여하고, 《동인시화(東人詩話)》ㆍ《동문선(東文選)》등을 저술함.
1420~14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가재(四佳齋) - 서거정(徐居正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(天文) 등 여러 방면에 정통하고, 문장과 글씨에 능함. 《경국대전(經國大典)》ㆍ《동국통감(東國通鑑)》등의 편찬에 참여하고, 《동인시화(東人詩話)》ㆍ《동문선(東文選)》등을 저술함.
1420~14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가재(四可齋) - 이규보(李奎報)
고려 명종(明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여주(驪州). 최씨무인정권(崔氏武人政權)의 대표적 문인으로, 《백운소설(白雲小說)》ㆍ《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集)》ㆍ〈동명왕편(東明王篇)〉 등 많은 작품과 저서를 남김.
1168~1241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사가정(四佳亭)@성석인 - 성석인(成石因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성여완(成汝完)의 아들이며, 성석린(成石璘)ㆍ성석용(成石瑢)의 아우로, 고려 때 경연강독관(經筵講讀官) 등을 지내고 조선 건국 후 예조 판서(禮曹判書) 등을 지냄.
?~1414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가정(四佳亭) - 서거정(徐居正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(天文) 등 여러 방면에 정통하고, 문장과 글씨에 능함. 《경국대전(經國大典)》ㆍ《동국통감(東國通鑑)》등의 편찬에 참여하고, 《동인시화(東人詩話)》ㆍ《동문선(東文選)》등을 저술함.
1420~14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가취로(四佳醉老) - 서거정(徐居正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(天文) 등 여러 방면에 정통하고, 문장과 글씨에 능함. 《경국대전(經國大典)》ㆍ《동국통감(東國通鑑)》등의 편찬에 참여하고, 《동인시화(東人詩話)》ㆍ《동문선(東文選)》등을 저술함.
1420~14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간(士幹) - 신여량(申汝樑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상호군(上護軍) 신한(申瀚)의 아들로, 한성 판관(漢城判官)ㆍ순천 군수(順川郡守)ㆍ내자시 첨정(內資寺僉正) 등을 지냄.
1505~158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간(士幹)@황사간 - 황사간(黃士幹)
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상산군(商山君) 황효원(黃孝源)의 아버지로, 승문원 정자(承文院正字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간(思簡) - 안성(安省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문과에 급제하여 보문각 직학사(寶文閣直學士)ㆍ상주 판관(尙州判官)을 지내고, 조선 개국 후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참찬(參贊) 등을 지냄.
?~142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강(士剛)@김집 - 김집(金集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김장생(金長生)의 아들로, 예학(禮學)을 대성시킴. 대사헌(大司憲)ㆍ좌찬성(左贊成) 등을 지내고, 효종과 북벌(北伐)을 계획함.
1574~1656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연산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강(士剛) - 박의장(朴毅長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무안(務安). 박세렴(朴世廉)의 아들이며, 김언기(金彦璣)의 문인으로 경사(經史)에 밝음. 임진왜란 때 많은 공적을 세웠으며 경상수사(慶尙水使)에 이름. 정충사(貞忠祠)ㆍ구봉정사(九峯精舍)에 제향됨.
1555~161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무안 , 인명>관인>무신
-
사강(士强) - 송대립(宋大立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청홍도 우후(淸洪道虞候)를 지낸 송옥(宋玉)의 아들. 박순(朴淳)의 문인으로, 성혼(成渾)과 교유함. 공조 정랑(工曹正郞)ㆍ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 등을 지냄.
1542~1583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개(士介) - 한사개(韓士介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서평부원군(西平府院君) 한계희(韓繼禧)의 아들로, 영흥 부사(永興府使) 등을 지냄. 김안로(金安老)가 그의 신도비(神道碑)를 찬함.
1453~152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개(士匃) - 범선자(范宣子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 도공(悼公) 때의 대부. 법률제도를 개혁하여 도공이 패업(霸業)을 이루는 데 크게 기여함.
?~B.C.547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