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사건(師騫) - 민사건(閔師騫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으로, 선조 때 대사성을 지낸 민기문(閔起文)의 조부. 1477년(성종 8)에 친시(親試)에 급제하여 충청도 관찰사를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걸(士傑) - 홍흥(洪興)
조선 세종(世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한성부윤(漢城府尹) 홍심(洪深)의 아들로, 호조 참판(戶曹參判)ㆍ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 성품이 강직하고 글씨에 능했으며, 인물과 풍채가 준수하여 자주 명(明) 나라에 사신으로 보내짐.
1424~150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걸(士傑)@김사걸 - 김사걸(金士傑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김구손(金龜孫)의 아들이며, 형조 참의(刑曹參議) 김위(金偉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유학
-
사걸(士傑)@박사걸 - 박사걸(朴士傑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이 자(字)를 지어 주면서 쓴 〈자사(字辭)〉가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사검(思儉) - 김희우(金希禹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김해(金海). 김광수(金光壽)의 아들로, 서경덕(徐敬德)ㆍ이황(李滉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, 1549년(명종 4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문사>유학
-
사결(事結) - 김사결(金事結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김윤원(金胤源)의 아들로, 1510년(중종 5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부사(府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결(士潔) - 신승조(申承藻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신숙주(申叔舟)의 형인 신중주(申仲舟)의 손자이며, 부사(府使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결(士潔)@정렴 - 정렴(鄭𥖝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ㆍ유의(儒醫). 천문ㆍ지리ㆍ의서ㆍ복서(卜筮) 등에 두루 능통했고, 특히 약의 이치와 음률에 밝았음. 포천 현감(抱川縣監)을 지냄.
1505~154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온양 , 인명>기술인>의원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겸(四兼) - 황보인(皇甫仁)
조선 태종(太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《세종실록(世宗實錄)》편찬에 참여하고, 영의정을 지냄. 1453년(단종 1) 계유정난 때 김종서(金宗瑞)ㆍ정분(鄭奔)ㆍ이양(李穰)ㆍ조극관(趙克寬) 등과 함께 단종을 보필하던 중 피살됨.
1387~145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겸(士兼) - 이선강(李善綱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진보(眞寶). 1561년(명종 16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고, 권호문(權好文)과 교유하였으며, 《송암집(松巖集)》에 그를 위해 지은 만사(挽詞)가 있음.
1534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사겸(士謙)@황대수 - 황대수(黃大受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조지서 별제(造紙署別提)를 지낸 황원(黃瑗)의 아들로, 1564년(명종 19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형조 정랑(刑曹正郞)을 지냄.
1534~157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겸(士謙)@변사겸 - 변사겸(邊士謙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원주(原州). 중종반정(中宗反正)의 공으로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녹훈되고 원양군(原陽君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사겸(士謙) - 안증(安嶒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광주(廣州). 성리학의 이론을 깊이 터득하고 후일에는 실학사상에 심취함. 세자시강원 사서(世子侍講院司書) 등을 지냈으나, 을사사화(乙巳士禍) 이후 낙향하여 평생 학문에 전념함.
1494~153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겸(思謙)@박사겸 - 박사겸(朴思謙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임진왜란 때 박사제(朴思齊)ㆍ노순(盧錞)ㆍ윤탁(尹鐸) 등과 함께 삼가(三嘉)에서 의병을 일으켜 곽재우(郭再祐)와 함께 많은 공을 세움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삼가 , 인명>문사>유학
-
사겸(思謙)@이승효 - 이승효(李承孝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로, 김안로(金安老)의 문인. 홍문관 수찬(弘文館修撰) 등을 지냈으며, 김안로가 사사(賜死)된 뒤 진우(陳宇) 등을 모함하였다 하여 관직을 삭탈당하고 경외(京外)로 추방됨.
1513~?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겸(思謙)@조사겸 - 조사겸(趙思謙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평양(平壤). 정사공신(定社功臣) 조박(趙璞)의 아버지로, 전의시 영(典儀寺令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평안도>평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겸(思謙)@이사겸 - 이사겸(李思謙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석동(李碩童)의 아들로, 상의원 첨정(尙衣院僉正)을 지냄.
1452~153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겸(思謙) - 정오(鄭䫨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원(元) 나라에서 왕을 수종한 공으로 1등 공신이 되었으며, 첨의평리(僉議評理)에 올라 서원군(西原君)에 봉해졌으며, 보리공신(輔理功臣)에 책록됨.
?~1359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사겸당(思謙堂) - 이승효(李承孝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로, 김안로(金安老)의 문인. 홍문관 수찬(弘文館修撰) 등을 지냈으며, 김안로가 사사(賜死)된 뒤 진우(陳宇) 등을 모함하였다 하여 관직을 삭탈당하고 경외(京外)로 추방됨.
1513~?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경(士冏) - 한윤명(韓胤明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일재(一齋) 이항(李恒)과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이이(李珥)ㆍ박광전(朴光前)과 교유하고, 선조(宣祖)가 세자로 있을 때 사부(師傅)를 지냄.
1526~156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