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사곡(社谷) - 조말생(趙末生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주(楊州)로, 태종(太宗)의 부마인 조선(趙璿)의 아버지. 조용(趙庸)의 문인으로, 영중추원사(領中樞院事) 등을 지냄.
1370~144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사공(士拱) - 어응진(魚應辰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함종(咸從). 장악원 정(掌樂院正)을 지낸 어영준(魚泳濬)의 둘째 아들로, 1528년(중종 23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1510~157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사공(師䢼) - 조사공(趙師䢼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ㆍ문신. 가흥 통판(嘉興通判)을 지냄. 절강성(浙江省) 태주(台州) 천태인(天台人). 주희(朱熹)의 문인(門人)으로 역(易)과 시(詩)를 배움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공(思公) - 박순(朴淳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충주(忠州). 서경덕(徐敬德)의 문인(門人)으로,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내고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 등과 교유하였으나, 서인(西人)으로 지목되어 탄핵을 받고 영평(永平) 백운산(白雲山)에 은거함.
1523~1589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영평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공(思公)@전유연 - 전유연(錢惟演)
중국 송(宋) 나라 태종(太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ㆍ문인. 오월(吳越) 충의왕(忠懿王) 전숙(錢俶)의 둘째 아들로, 한림학사(翰林學士)ㆍ공부 시랑(工部侍郞) 등을 지내고, 시(詩)와 사(詞)에 능했음.
962~103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사공(思恭)@박사공 - 박사공(朴思恭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이조 참의(吏曹參議) 박경선(朴慶先)의 아버지로, 군수(郡守)를 지냄.
?~1592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공(思恭)@유사공 - 유사공(柳思恭)
조선 전기의 문신. 영의정(領議政) 유순(柳洵)의 아버지. 세자익위사 좌세마(世子翊衛司左洗馬)를 지내고, 추충적덕보조공신(推忠積德補祚功臣)ㆍ영의정(領議政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공(思恭)@심사공 - 심사공(沈思恭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풍산(豊山). 화천군(花川君) 심정(沈貞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년) 진사시(進士試)에 합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사공(思恭) - 유양식(柳陽植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도지휘사(都指揮使)를 지낸 유의(柳依)의 아들로, 이조 참판(吏曹參判)을 지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공산인(謝公山人) - 곽상정(郭祥正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단주 지사(端州知事)가 되었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현청산(縣靑山)에 은거함. 시(詩)에 뛰어나 매요신(梅堯臣)에 의해 이백(李白)의 후신(後身)으로 비견(比肩)되고, 저서에 《청산집(靑山集)》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관(士寬)@이사관 - 이사관(李士寬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효정공(孝靖公) 이정간(李貞幹)의 아들로, 한성 판윤(漢城判尹) 등을 지냄. 아들인 이의장(李義長)ㆍ이예장(李禮長)ㆍ이지장(李智長)ㆍ이함장(李諴長)ㆍ이효장(李孝長)ㆍ이서장(李恕長)이 모두 과거에 급제함.
1382~144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관(士寬) - 이용(李容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이굉(李肱)의 아들이며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후릉 참봉(厚陵參奉)을 지내다가 곧 낙향하여 유유자적하며 특히 국문가시(國文歌詩)를 잘 지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관(思寬) - 박사관(朴思寬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효자. 본관은 죽산(竹山). 장흥 부사(長興府使)를 지낸 박겸무(朴兼武)의 손자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모친을 지키다 왜병에게 살해됨. 윤근수(尹根壽)의 《월정집(月汀集)》에 〈박감역소전(朴監役小傳)〉이 실려 있음.
1520~1592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죽산ㅣ경기도>교하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관례(士冠禮) - 의례(儀禮)
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. 13경(經) 중의 하나이며, 《주례(周禮)》ㆍ《예기(禮記)》와 함께 삼례(三禮)로 불림. 관혼상제(冠婚喪祭)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사광(思曠) - 완유(阮裕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진(晉) 나라의 문신. 호방함과 덕행으로 이름난 사람으로, 왕돈(王敦)의 주부(主簿)로 있다 반란을 눈치채고 파면당한 뒤 은거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굉(士宏) - 심종주(沈宗周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청송(靑松). 감찰(監察)을 지낸 심금(沈錦)의 아들로, 학문에 뜻을 두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요절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송 , 인명>문사>유학
-
사굉(士訇) - 범선자(范宣子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 도공(悼公) 때의 대부. 법률제도를 개혁하여 도공이 패업(霸業)을 이루는 데 크게 기여함.
?~B.C.547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사교(四敎) - 진사교(陳四敎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부여(扶餘). 의정부 사인(議政府舍人) 진식(陳植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부여 , 인명>문사>유학
-
사구(士久) - 윤언성(尹彦誠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임형(尹任衡)의 아들이며, 수심당(水心堂) 윤동로(尹東老)의 아버지로, 1549년(명종 4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사구(士久)@임길수 - 임길수(林吉秀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택(平澤). 임형수(林亨秀)의 동생으로 송강(松江) 정철(鄭澈)과 교유했으며, 고흥 현감(高興縣監)을 지냄.
1529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