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사굴산(闍崛山) - 도굴산(闍崛山)
경상북도 의령(宜寧) 일대에 걸쳐 있는 산 이름.
경상도>의령 , 지명>자연지명
-
사규(思規) - 유사규(柳思規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정사공신(靖社功臣)에 책록된 유순익(柳舜翼)의 아버지로, 1562년(명종 17)에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병조 참지(兵曹參知)ㆍ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를 지냄.
1534~160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균(士均) - 임추(任樞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으로, 공조 판서(工曹判書) 임유겸(任由謙)의 아들. 호조 참판(戶曹參判) 등을 지내고, 동지사(冬至使)로 명(明) 나라에 파견되었다가 순직함.
1482~1534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풍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균(士鈞) - 신말평(申末平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세종(世宗) 때 좌의정(左議政)을 지낸 문희공(文僖公) 신개(申槩)의 손자로, 《악학궤범(樂學軌範)》 편찬사업에 공헌함.
1452~1509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균(思鈞) - 이사균(李思鈞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폐비(廢妃) 윤씨(尹氏) 복위의 부당성을 주장하다가 보은(報恩)으로 유배되고, 기묘사화(己卯士禍) 후 조광조(趙光祖) 일파로 몰려 좌천되었으며,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역임함.
1471~153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근(士謹) - 이희원(李希愿)
조선 후기의 문신. 우계(牛溪) 성혼(成渾) 등과 교유하였으며, 임진왜란 때 황해도 토산 현감(兔山縣監)을 지내면서 관민들을 모아 협심단결하여 고을을 지키는 데 치력함.
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근(思謹) - 이사근(李思謹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성(陽城). 이옥(李沃)의 아들이고 이온(李蒕)의 아버지이며 이승주(李承周)ㆍ이승소(李承召)ㆍ이승려(李承呂)의 할아버지. 해주 목사(海州牧使) 등을 지냈으며, 병조 판서(兵曹判書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기(士奇)@양사기 - 양사기(楊士奇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양희수(楊希洙)의 아들로, 원주(原州) 등 7개 읍의 수령(守令)을 역임하였으며, 형 양사준(楊士俊)ㆍ양사언(楊士彦)과 함께 시(詩)에 뛰어났음.
1531~158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기(士奇) - 양우(楊寓)
중국 명(明) 나라 혜제(惠帝)~영종(英宗) 때의 문신. 화개전 대학사(華盖殿大學士) 등을 지내며 양부(楊溥)ㆍ양영(楊榮)과 함께 정사를 잘 보살펴 ‘삼양(三楊)’으로 일컬어짐.
1365~1444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기(士騏) - 왕사기(王士騏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왕세정(王世貞)의 아들로, 이부 원외랑(吏部員外郞) 등을 지내고, 《제갈량집(諸葛亮集)》ㆍ《무후전서(武侯全書)》등을 편찬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기(謝奇) - 한사기(韓謝奇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한강(韓康)의 아들이며 한영(韓永)과 한악(韓渥)의 아버지. 1279년(충렬왕 5) 독로화(禿魯花)로 선발되어 원(元) 나라에서 숙위(宿衛)하고 돌아옴. 과거에 급제하여 간의대부(諫議大夫)ㆍ보문각 제학(寶文閣提學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길(士吉)@박사길 - 박사길(朴士吉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무안(務安).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 적이 호남을 침범하자, 박광전(朴光前)ㆍ송홍렬(宋弘烈) 등과 의병을 일으켜 동복(同福)에서 적을 크게 무찔렀음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해남 , 인명>문사>유학
-
사길(士吉) - 심언경(沈彦慶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삼척(三陟). 예조 좌랑 심준(沈濬)의 아들로, 1529년(중종 24) 동생 심언광(沈彦光)과 함께 김안로(金安老)의 용서를 주청함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삼척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길(思吉) - 장사길(張思吉)
고려 말~조선 초의 무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의주(義州) 지방의 토호(土豪)로 이성계(李成桂)에게 인정받아 회군공신(回軍功臣)ㆍ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책록되고, 왕자의 난 때 이방원(李芳遠)을 도와 정사공신(定社功臣)에 책록됨.
?~141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사낙정(四樂亭) - 권질(權礩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이황(李滉)의 장인. 신사무옥(辛巳誣獄)으로 사림파가 쫓겨날 때 아우 권전(權磌)이 장살(杖殺)되면서 그도 예안(禮安)으로 유배되었음.
1483~154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사내(四耐) - 안경창(安慶昌)
조선 후기의 처사(處士). 천민 출신으로 어렸을 때 화장사(花庄寺)에서 공부하며 기이한 행적을 남기고, 이언적(李彦迪)ㆍ이황(李滉)ㆍ이이(李珥) 및 조식(曺植)ㆍ노사신(盧思愼) 등 당시 명유들과 교유하였다고 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사내거사(四耐居士) - 안경창(安慶昌)
조선 후기의 처사(處士). 천민 출신으로 어렸을 때 화장사(花庄寺)에서 공부하며 기이한 행적을 남기고, 이언적(李彦迪)ㆍ이황(李滉)ㆍ이이(李珥) 및 조식(曺植)ㆍ노사신(盧思愼) 등 당시 명유들과 교유하였다고 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사내옹(四耐翁) - 안경창(安慶昌)
조선 후기의 처사(處士). 천민 출신으로 어렸을 때 화장사(花庄寺)에서 공부하며 기이한 행적을 남기고, 이언적(李彦迪)ㆍ이황(李滉)ㆍ이이(李珥) 및 조식(曺植)ㆍ노사신(盧思愼) 등 당시 명유들과 교유하였다고 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사눌(士訥) - 심종민(沈宗敏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송(靑松)으로, 이이(李珥)와 성혼(成渾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명(明) 나라 제독 이승훈(李承勛)의 휘하에 종군하여 그 공으로 군자감 주부(軍資監主簿)가 됨.
1554~161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눌(思訥) - 박사눌(朴思訥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밀양(密陽). 박성(朴惺)의 아버지로, 1549년(명종 4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현풍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