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사라(斯羅) - 신라(新羅)
B.C. 1세기경에 영남(嶺南) 지방에서 일어나 최초로 한반도를 통일한 고대국가의 하나. 혁거세(赫居世)부터 경순왕(敬順王)까지 56대 992년간 존속.
B.C.57~A.D.935 한국>신라 , 시간>국명
-
사란(思襴) - 박사란(朴思襴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으로, 박처륜(朴處綸)의 아버지. 1438년(세종 20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(成均館典藉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사량(士良) - 구람(仇覽)
중국 후한(後漢)의 문신. 백성들을 형벌이 아닌 덕(德)으로 다스려 교화시킨 일로 유명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사량(師亮) - 장제현(張齊賢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태종(太宗)의 총신(寵臣)이었으며, 병부 상서(兵部尙書) 등을 역임하였고, 저서에는 《낙양진신구문기(洛陽縉紳舊聞記)》 등이 있음.
943~101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사량(沙梁) - 상주(尙州)
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.
경상도>상주 , 지명>행정지명
-
사량국(沙梁國) - 상주(尙州)
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.
경상도>상주 , 지명>행정지명
-
사련(祀連) - 송사련(宋祀連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산(礪山). 송익필(宋翼弼)ㆍ송부필(宋富弼)ㆍ송한필(宋翰弼)의 아버지. 신사무옥(辛巳誣獄)을 일으켜 안처겸(安處謙) 등의 가문에 화를 입히고, 종신토록 세력을 잡았으나, 죽은 뒤 관작(官爵)을 삭탈당함.
1496~1575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여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사렴(士廉)@김극검 - 김극검(金克儉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성품이 청렴결백하고, 《세조실록(世祖實錄)》ㆍ《예종실록(睿宗實錄)》ㆍ《성종실록(成宗實錄)》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호조 참판(戶曹參判)ㆍ동중추부사(同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439~149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관인>문신
-
사렴(士廉)@김사렴 - 김사렴(金士廉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김천(金蕆)의 아들. 정몽주(鄭夢周)ㆍ이색(李穡)과 교유하고, 신돈(辛旽)이 권력을 갖자 왕에게 직간(直諫)함. 조선이 건국되자 관직에 나가지 않고, 청주의 도산(陶山)에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렴(士廉) - 권렴(權廉)
고려 충선왕(忠宣王)~충혜왕(忠惠王) 때의 문신. 영가부원군(永嘉府院君) 권보(權溥)의 손자이며, 길창부원군(吉昌府院君) 권준(權準)의 아들.
1302~1340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사렴(士廉)@고사렴 - 고사렴(高士廉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제주(濟州). 훈련 판관(訓鍊判官)ㆍ현감(縣監) 등을 지냈으며, 《사암집(思菴集)》에 만사(輓詞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제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사렴(士廉)@허사렴 - 허사렴(許士廉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김해(金海). 허찬(許瓚)의 아들이며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처남으로, 1549년(명종 4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문사>유학
-
사렴(思廉) - 요간(姚簡)
중국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요찰(姚察)의 아들로, 위징(魏徵)과 함께 《양서(梁書)》ㆍ《진서(陳書)》를 편찬하였으며, 산기상시(散騎常侍) 등을 지냄.
557~637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사렴(思廉)@유사렴 - 유사렴(兪思廉)
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이색(李穡)의 《목은고(牧隱藁)》에 〈수원부차유선생운(水原府次兪先生韻)〉의 시(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사로(四老) - 상산사호(商山四皓)
중국 진(秦)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(商山)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. 동원공(東園公)ㆍ하황공(夏黃公)ㆍ녹리선생(甪里先生)ㆍ기리계(綺里季)를 이름.
중국>전한ㅣ중국>진 , 중국 , 인명>집단>조직
-
사로(師路) - 윤사로(尹師路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세종의 부마로, 세조의 즉위를 도와 좌익공신(佐翼功臣)에 책록되고, 충훈부 당상(忠勳府堂上) 등을 지냄.
1423~146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사로(師魯) - 김희삼(金希參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우옹(金宇顒)의 아버지. 이황(李滉)ㆍ조식(曺植)ㆍ김인후(金麟厚) 등과 교유함.
1497~156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로(思老) - 유숙(柳淑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기철(奇轍) 일당을 제거한 공으로 안사공신(安社功臣)에 책록되고, 홍건적의 난 때 공민왕을 호종한 공으로 충근절의찬화공신(忠勤節義贊化功臣)이 된 뒤 서령군(瑞寧君)에 봉해짐.
1324~1368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덕산ㅣ전라도>영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사로(斯盧) - 신라(新羅)
B.C. 1세기경에 영남(嶺南) 지방에서 일어나 최초로 한반도를 통일한 고대국가의 하나. 혁거세(赫居世)부터 경순왕(敬順王)까지 56대 992년간 존속.
B.C.57~A.D.935 한국>신라 , 시간>국명
-
사룡(士龍) - 송능상(宋能相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송시열(宋時烈)의 현손이며, 한원진(韓元震)의 문인(門人)으로, 윤봉구(尹鳳九) 등 노론 학자들과 교유하였으며, 여러 관직을 지내다가 묘향산(妙香山)에 들어가 《대학(大學)》을 강론함.
1709~1758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은진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