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사룡(士龍)@정사룡 - 정사룡(鄭士龍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문인. 명종 때 이량(李樑)의 일당으로 지목되어 삭직(削職)당함. 시문(詩文)ㆍ음률(音律)에 뛰어나고, 당시 문단에서 신광한(申光漢)과 쌍벽을 이룸.
1491~157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사룡(士龍)@이반 - 이반(李攀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극견(李克堅)의 아들로, 장단 부사(長湍府使) 등을 지냄. 정사룡(鄭士龍)의 《호음잡고(湖陰雜稿)》에 그의 묘지명(墓誌銘)이 실려 있음.
1460~153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룡(士龍)@육운 - 육운(陸雲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ㆍ문인. 육기(陸機)의 아우로, 중서시랑(中書侍郞) 등을 지내고, 시문(詩文)에 뛰어나 형과 함께 ‘이륙(二陸)’으로 일컬어짐. 혜제(惠帝) 때 팔왕(八王)의 난(亂)에 휘말려 형과 함께 죽임을 당함.
262~303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사류집요(事類集要) - 백씨육첩사류집(白氏六帖事類集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인 백거이(白居易)의 어휘집. 고금(古今)의 문학(文學)에 나타난 어휘를 천지(天地)ㆍ산천(山川)ㆍ인사(人事)ㆍ조수(鳥獸)ㆍ초목(草木)에 이르기까지 1870개 부문으로 분류하여 수록함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사륜(舍輪) - 진지왕(眞智王)
신라 제25대 왕. 재위 576~579. 진흥왕(眞興王)의 둘째 아들로, 왕위에 올라 무열왕계(武烈王系)의 시조가 됨. 내리서성(內利西城)을 쌓아 백제의 잦은 침공을 방비했으며, 중국 남조(南朝)의 진(陳) 나라와 수교하여 화친을 도모하였으나, 4년 만에 화백회의에 의해 폐위됨.
?~579 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사륭(士隆) - 박신형(朴信亨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유학. 유호인(兪好仁) 등과 함께 낙동강(洛東江)에서 물놀이했던 내용이 《뇌계집(㵢谿集)》의 〈낙강범주시발(洛江泛舟詩跋)〉에 보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사릉(士陵) - 탁계현(卓繼賢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광산(光山). 탁빈(卓斌)의 아들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사릉(蛇陵) - 오릉(五陵)
경상북도 경주(慶州)에 있는 신라의 고분(古墳). 박혁거세(朴赫居世)ㆍ알영부인(閼英夫人)ㆍ남해왕(南解王)ㆍ유리왕(儒理王)ㆍ파사왕(婆娑王) 등 5명의 분묘라 전해지며, 박혁거세 사후에 큰 뱀의 방해로 인해 다섯 개로 분리된 유체(遺體)를 그대로 각각 매장한 분묘라는 설도 있음.
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유적>시설>능묘
-
사림원(詞林院) - 예문관(藝文館)
고려~조선시대 왕의 칙령(勅令)과 교명(敎命)의 기록을 맡아보던 관청.
한국>고려전기 , 법제>관청
-
사립(士立) - 권기(權紀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학자. 권호문(權好文)의 문인(門人)으로, 김성일(金誠一)ㆍ유성룡(柳成龍)에게서도 배웠음. 육경(六經)에 통달하고, 예문(禮文)ㆍ법률ㆍ지리 등에도 박식했음.
1546~162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사립(斯立) - 탁사립(卓斯立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전의감 정(典醫監正)을 지낸 탁념(卓恬)의 아들로, 음보(蔭補)로 영암 군수(靈巖郡守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사마^제갈(司馬^諸葛) - 제갈^사마(諸葛^司馬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나라의 장군인 사마의(司馬懿)와 촉(蜀) 나라의 문신인 제갈량(諸葛亮)을 함께 부르는 말. 통일전쟁에 공을 세운 두 공신을 일컫는 말.
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사마견자(司馬犬子) - 사마상여(司馬相如)
중국 한(漢) 나라의 문신ㆍ문인. 중랑장(中郞將)ㆍ효문원령(孝文園令) 등을 지내고, 〈자허부(子虛賦)〉ㆍ〈상림부(上林賦)〉 등 유명한 작품을 남김.
B.C.179~B.C.117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사마경(司馬鏡) - 사마휘(司馬徽)
중국 후한(後漢)의 은자. 유현덕(劉玄德)이 사마휘에게 인재를 추천하여 주기를 청하였는데, 제갈량(諸葛亮)ㆍ방통(龐統)을 추천함. 제갈량(諸葛亮)ㆍ서서(徐庶) 등과 종유하며 은거생활을 하였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사마덕문(司馬德文) - 공제(恭帝)@남북조(晉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제11대 황제. 재위 418~420. 효무제(孝武帝)의 아들로, 형인 안제(安帝)의 뒤를 이어 제위에 오름. 420년 송(宋) 무제(武帝) 유유(劉裕)에게 선위(禪位)하고 영릉왕(零陵王)이 되었다가 다음해 살해당함.
386~421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사마덕조(司馬德操) - 사마휘(司馬徽)
중국 후한(後漢)의 은자. 유현덕(劉玄德)이 사마휘에게 인재를 추천하여 주기를 청하였는데, 제갈량(諸葛亮)ㆍ방통(龐統)을 추천함. 제갈량(諸葛亮)ㆍ서서(徐庶) 등과 종유하며 은거생활을 하였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사마덕종(史馬德宗) - 안제(安帝)@남북조(晉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제10대 황제. 재위 396~418. 효무제(孝武帝)의 아들로, 404년 환현(桓玄)이 난을 일으키자 제위(帝位)를 선위(禪位)함. 환현을 토벌한 유유(劉裕)에 의해 복위(復位)되었으나 살해됨.
382~418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사마도권(飼馬圖卷) - 추교음마도권(秋郊飮馬圖卷)
중국 원(元) 나라의 문인이자 서화가인 조맹부(趙孟頫)의 말 그림이 그려진 두루마리 작품. 가을 들판에 한 관원이 말에게 물을 먹이는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, 열 필(匹)의 말이 생동감 있게 표현됨.
1312 중국>원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사마비(司馬丕) - 애제(哀帝)@남북조(晉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진(晉) 나라의 제10대 황제. 재위 362~365. 성제(成帝) 사마연(司馬衍)의 아들로 25세의 젊은 나이로 병사함.
340~365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사마사(司馬師) - 경제(景帝)@남북조(晉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나라의 대장군. 조카인 무제(武帝) 사마염(司馬炎)이 왕위를 찬탈하여 진(晉)을 세운 뒤 경제(景帝)로 추존함.
208~255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