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사명(四明)@사명존요집 - 사명존요집(四明尊堯集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 때의 문신인 진관(陳瓘)이 지은 역사서. 왕안석(王安石)의 《일록(日錄)》에만 근거하여 개수(改修)한 《신종실록(神宗實錄)》에 대해 비판함. 1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사명(士明) - 김사명(金士明)
조선 전기의 유학. 박승임(朴承任)의 《소고집(嘯皐集)》에 만사(挽詞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사명(士銘) - 손사명(孫士銘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어의(御醫). 의관(醫官) 손문서(孫文恕)의 아버지로 의술이 뛰어나 온 나라에 이름이 났으며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를 지냄. 양예수(楊禮壽)와 함께 《의림촬요(醫林撮要)》를 저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기술인>의원
-
사명(師命) - 이사명(李師命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대사헌(大司憲) 이민적(李敏迪)의 큰아들. 경신대출척(庚申大黜陟)에 가담한 공으로 보사공신(保社功臣)에 책록되었다가, 기사환국(己巳換局) 때 사사됨.
1647~168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명(思明) - 사사명(史思明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 때의 무신. 안녹산(安祿山)과 동향 출신으로, 그가 반란을 일으키자 가세함. 안녹산이 피살된 후 당에 투항하였으나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가 결국 아들인 사조의(史朝義)에게 피살됨.
?~761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사명광(四明狂) - 하지장(賀知章)
중국 당(唐) 현종(玄宗) 때의 시인ㆍ문신. 비서감(秘書監) 등을 역임하였으며, 문사(文辭)에 능하고 특히 초서(草書)를 잘 썼음. 성격이 호탕하고 음주를 좋아하여 이백(李白)과 친하게 지냈으며, 만년에 도사(道士)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감.
659~74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사명광객(四明狂客) - 하지장(賀知章)
중국 당(唐) 현종(玄宗) 때의 시인ㆍ문신. 비서감(秘書監) 등을 역임하였으며, 문사(文辭)에 능하고 특히 초서(草書)를 잘 썼음. 성격이 호탕하고 음주를 좋아하여 이백(李白)과 친하게 지냈으며, 만년에 도사(道士)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감.
659~74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사명당(四溟堂) - 유정(惟政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승려ㆍ의병장. 본관은 풍천(豐川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스승 휴정(休靜)과 함께 승병(僧兵)을 모아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, 네 차례에 걸쳐 왜장 가등청정(加藤淸正)과 회담을 가짐.
1544~161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ㅣ인명>종교인>승려
-
사명산인(四溟山人) - 사진(謝榛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인. 시가(詩歌)에 능했으며 전칠자(前七子)의 복고설(復古說)을 계승하여 왕세정(王世貞)ㆍ이반룡(李攀龍)ㆍ서중행(徐中行) 등과 시사(詩社)를 결성하고 고문사설(古文辭說)을 제창하여 후칠자로 불림.
1495~1575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사무(士武) - 한사무(韓士武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서평부원군(西平府院君) 한계희(韓繼禧)의 아들이고 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낸 한승정(韓承貞)의 아버지로, 한성부 판관(漢城府判官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묵(士黙) - 안용(安容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안승명(安承命)의 아들로, 1558년(명종 36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 등을 지냄.
1522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문(士文)@이중호 - 이중호(李仲虎)@이공인의아들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홍문관 부제학(弘文館副提學) 이공인(李公仁)의 아들이며, 동암(東巖) 이발(李潑)의 아버지로, 담양 부사(潭陽府使) 등을 지냄.
1512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문(士文)@김사문 - 김사문(金士文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예안(禮安). 김우(金佑)의 아들로, 1538년(중종 33) 별시(別試)에 급제한 후 원주 교수(原州敎授)가 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사문(士文) - 김예손(金禮孫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선산(善山). 종묘서 봉사(宗廟署奉事)를 지낸 김세충(金世忠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사문(士文)@이사문 - 이사문(李士文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응교(應敎) 등을 지냈으며, 송응개(宋應漑)ㆍ유희춘(柳希春)과 교유함.
1516~? 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사문(思文) - 송응창(宋應昌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장군. 병부 우시랑(兵部右侍郞)ㆍ대사마(大司馬)를 지내다가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경략 군문(經略軍門)으로 임명되어 제독 군무(提督軍務) 이여송(李如松) 등과 명군(明軍) 4만여 명을 이끌고 참전함.
1536~1606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사문(斯文)@한사문 - 한사문(韓斯文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서평부원군(西平府院君) 한계희(韓繼禧)의 아들. 중종반정(中宗反正)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고, 함경도 관찰사(咸鏡道觀察使) 등을 지냄.
1446~1507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사문(斯文) - 진사문(陳斯文)
고려 충정왕(忠定王) 때의 문신. 정당문학(政堂文學)ㆍ도첨의참리(都僉議參理)를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사문명(姒文命) - 우(禹)
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(夏) 나라의 왕. 순(舜)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, 수토(水土)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.
중국>하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사문백(士文伯) - 백하(伯瑕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. 벼슬은 사공(司功)을 지냈고, 빈관(賓館)을 관장하였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