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색암(嗇菴) - 고손지(高遜志)
중국 원(元) 말~명(明) 초의 문신ㆍ문인. 《원사(元史)》를 편수함.
중국>명ㅣ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생(生) - 김생(金生)
통일신라의 서예가. 일생을 서예에 바쳤으며, 예서(隸書)ㆍ행서(行書)ㆍ초서(草書)에 능하여 ‘해동(海東)의 서성(書聖)’이라 불림.
711~? 한국>통일신라 , 충청도>충주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생간(甥榦) - 황간(黃榦)
중국 송(宋) 나라 광종(光宗)~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이자 사위. 지안경부(知安慶府) 등을 지냈으며 양담계(陽潭溪)에서 담계정사(潭溪精舍)를 세워 저술활동과 후진교육에 힘씀.
1152~122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생량(省良) - 곤양(昆陽)
경상남도 사천(泗川)ㆍ하동(河東)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.
경상도>곤양 , 지명>행정지명
-
생명(生溟) - 김생명(金生溟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을사사화(乙巳士禍) 후 사직하고 학문연구에만 몰두함.
1504~157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생옹(眚翁) - 소상(蘇庠)
중국 송(宋) 나라의 시인ㆍ학자. 소식(蘇軾)이 그를 이백(李白)에 비유할 만큼 시(詩)로 명성을 떨침. 고종(高宗) 때 여러 차례 부름을 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여산(廬山)에 은거함.
1065~114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생천군(狌川郡) - 낭천(狼川)
강원도 화천(華川)에 있는 옛 고을 이름.
강원도>낭천 , 지명>행정지명
-
생해(生海) - 김생해(金生海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평양부 서윤(庶尹)을 지낸 김번(金璠)의 아들. 1537년(중종 32) 진사시에 입격하여 신천 군수(信川郡守)를 역임하였고, 의정부 좌찬성(議政府左贊成)에 추증됨.
1512~155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서(㥠) - 임서(林㥠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회진(會津)으로, 임복(林復)의 아들. 이괄(李适)의 난 때 공을 세워 가선대부(嘉善大夫)에 오르고, 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 등을 지냄.
1570~162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서(徐) - 이서(李徐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 이보(李𥙷)의 손자이며, 보성군(寶城君) 이합(李㝓)의 일곱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서(恕) - 홍서(洪恕)
고려 말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사범(洪師範)의 아들로, 고려 말에 대호군(大護軍)을 지냄. 조선 태종 때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되고, 전라도 병마도절제사(全羅道兵馬都節制使)로 파견되어 왜구를 소탕함.
?~141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서(恕)@왕서 - 왕서(王恕)
고려 제20대 신종(神宗)의 아들. 제21대 희종(熙宗)의 아우이며, 공양왕(恭讓王)의 6대조. 희종이 폐위될 때 최충헌(崔忠獻)에 의해 교동현(喬洞縣)으로 쫒겨남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교동ㅣ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자
-
서(敍) - 정서(鄭敍)
고려 인종(仁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문인. 지추밀원사(知樞密院事) 정항(鄭沆)의 아들이며, 인종의 비(妃)인 공예태후(恭睿太后)의 동생의 남편. 의종(毅宗) 때 참소를 받아 동래(東萊)ㆍ거제(巨濟)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서(曙) - 이서(李曙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참여한 공으로 정사공신(靖社功臣)에 봉해지고,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왕을 호종하여 남한산성에서 죽음.
1580~163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서(曙)@엄서 - 엄서(嚴曙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영월(寧越). 십성당(十省堂) 엄흔(嚴昕)의 아우로, 1543년(중종 38년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1511~159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서(曙)@이서 - 덕원군(德源君)
조선 제7대 세조(世祖)의 첫 번째 서자. 근빈박씨(謹嬪朴氏)의 소생으로, 남이(南怡)의 옥사(獄事)를 다스린 공으로 익대공신(翊戴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문소전 제조(文昭殿提調) 등을 지냄. 김종직(金宗直)을 벗삼아 이학(理學)에 종사함.
1449~1498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왕자
-
서(湑)@최서 - 최서(崔湑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해주(海州)로, 위원 군수(渭原郡守)를 지낸 최여우(崔汝雨)의 아들. 양포(楊浦) 최전(崔澱)의 형으로, 함께 이이(李珥)의 문하에서 수학했으나 요절(夭折)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서(湑) - 김서(金湑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효자로 이름 높은 김극일(金克一)의 아버지로, 의흥 현감(義興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관인>문신
-
서(湑)@조서 - 조서(曺湑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의릉 참봉(義陵參奉)을 지낸 조은손(曺銀孫)의 아들로, 문신인 송사침(宋士琛)ㆍ노수신(盧守愼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서(瑞)@황서 - 황서(黃瑞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해(平海)로, 정당문학(政堂文學)을 지낸 백문보(白文寶)의 장인. 첨의평리(僉議評理)ㆍ문하시중(門下侍中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평해 , 인명>관인>문신